$\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의 테마전시 이용에 따른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 및 이용행태 변화 연구
A Study on Public Library Users' Perceptions and Behavior Changes after Using the Theme Display Service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4 no.2 = no.104, 2017년, pp.27 - 45  

정유라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  이지연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적극적 정보제공 서비스로서의 테마전시 이용행태를 조사하고, 그 효과로서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행태 변화와 인식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테마전시를 제공하는 3개 도서관의 7명의 사서와 8명의 이용자 심층인터뷰를 통해 연구 질문 및 설문지를 개발하고, 232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및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테마전시 서비스가 이용자들의 다양한 자료이용을 도울 뿐 아니라, 사서에 대한 인식 및 도서관 평가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각 도서관의 환경과 이용자층에 맞춰 테마전시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user behavior of the theme display provided by the public libraries as an active information service. Specifically, we wanted to study the library patrons' library use behavior and perception. There were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librarians and eight patrons to develop a set...

주제어

참고문헌 (23)

  1. 강미혜 (1996). 대학도서관의 전시에 대한 효과분석- 이용자와 사서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0(2), 107-125. Kang, Mia-Hye (1996).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exhibits in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0(2), 107-125. 

  2. 강준만 (2013). 교양영어사전. 서울: 인물과 사상사. Kang Jun Man (2013). The story dictionary of English etymology. Seoul: Inmul-gwa-sasang. 

  3. 김용, 김태경 (2006). 공공도서관의 정보검색대행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모형화 및 기대효과에 관한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1), 195-215. https://doi.org/10.4275/kslis.2006.40.1.195 Kim, Yong, & Kim, Tae-Kyung (2006). A study on service modeling for IR agency service in a public library and its expect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1), 195-215. https://doi.org/10.4275/kslis.2006.40.1.195 

  4. 박양하 (2016). 학교도서관 북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도서추천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1), 279-303. https://doi.org/10.16981/kliss.47.1.201603.279 Park, Yang-Ha (2016). A study on the book recommendation standards of book-curation service for school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1), 279-303. https://doi.org/10.16981/kliss.47.1.201603.279 

  5. 박준식 (2000). 정보환경의 변화와 사서의 역할변용.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1(2), 21-40. Park, Joon-Shik (2000). Changing roles of the librarians under the new information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1(2), 21-40. 

  6. 박현희, 이성숙 (2015). 지역 지식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393-412. https://doi.org/10.4275/kslis.2015.49.3.393 Park, Hyun-Hee, & Lee, Sung-Sook (2015). A study on the regional knowledge-information service,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in Korea and Jap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3), 393-412. https://doi.org/10.4275/kslis.2015.49.3.393 

  7. 송혜지 (2015). 사서 신뢰성과 도서관 가치 인식 간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Song, Hye Ji (2015).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brarian-trust and recognized value of the library-based on public librarie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8. 안인자 (2005). 사서직 업무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6(1), 233-246. Ahn, In-Ja (2005). A study of evolution of the librarian job.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6(1), 233-246. 

  9. 윤영민 (2002). 정보사회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역할.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3(2), 45-58. Yun, Young-Min (2002). Roles of the pubic library in information societ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3(2), 45-58. 

  10. 이란주 (2002). 지식기반사회에서의 공공도서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3(2), 183-195. Lee, Lan-Ju (2002). A study on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3(2), 183-195. 

  11. 이해성, 권준희 (2013). 빅 데이터 시대의 개인화 데이터 큐레이션에 대한 연구. 한국산업번역원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124-127. Lee, Haesung, & Kwon, Joonhee (2013). The survey about the personalized data curation in the age of big data. Proceedings of KIIT Summer Conference, 124-127. 

  12. 장우권, 박성우, 여진원 (2014). 공공도서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1), 345-367. https://doi.org/10.4275/kslis.2014.48.1.345 Chang, Woo-Kwon, Park, Seong-Woo, & Yeo, Jin-Won (2014).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for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1), 345-367. https://doi.org/10.4275/kslis.2014.48.1.345 

  13. 조찬식 (2008).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실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171-188. https://doi.org/10.4275/kslis.2008.42.2.171 Cho, Chan-Sik (2008). A study on the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2), 171-188. https://doi.org/10.4275/kslis.2008.42.2.171 

  14. 최은주 (2002). 이용자 서비스 관련 항목이 공공도서관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2), 165-184. https://doi.org/10.4275/kslis.2002.36.2.165 Choi, Eun-ju (2002). A study on the impact of user service-related items for the public library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6(2), 165-184. https://doi.org/10.4275/kslis.2002.36.2.165 

  15. 한나은, 김성희 (2014). 외국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 비교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2), 93-116. https://doi.org/10.16981/kliss.45.2.201406.93 Han, Na-eun, & Kim, Seonghee (2014). Comparative analysis on digital curation process in foreig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2), 93-116. https://doi.org/10.16981/kliss.45.2.201406.93 

  16. Aguilar, W. (1982). The influence of a book display on circulation in a two-year college library. [S.l.: s.n.]. 

  17. Baker, S. L. (1986). The display phenomenon, An exploration into factors causing the increased circulation of displayed books. The Library Quarterly, 56(3), 237-257. https://doi.org/10.1086/601769 

  18. Camacho, L., Spackman, A., & Cluff, D. (2014). Face out: The effect of book displays on collection usage. Journal of Business & Finance Librarianship, 19(2), 114-124. https://doi.org/10.1080/08963568.2014.883874 

  19. Cochran, G. W. (1963). Sampling techniques. NY: John Wiley & Sons. 

  20. Dutta, D. N. (1961). Display of books in the library. Journal of library science, 4, 5-8. 

  21. Jones, D. Y., McCandless, M., Kiblinger, K., Giles, K., & McCabe, J. (2011). Simple marketing techniques and space planning to increase circulation. Collection Management, 36(2), 107-118. https://doi.org/10.1080/01462679.2011.553774 

  22. Ladhari, R., & Morales, M. (2007). Perceived service quality, perceived value and recommendation: A study among Canadian public library users. Library Management, 29(4), 352-366. https://doi.org/10.1108/01435120810869129 

  23. Patricia, E. (2014). Tips from the experts: Creating a featured book display when most of the books are e-books. Science and Technology Librarianship, 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