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 학습 동기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Development of Program for Enhancing Learners'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and Analysis of Its' Effects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8 no.2, 2016년, pp.397 - 423  

김부미 (원광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 고등학생의 수학 학습 동기 증진 프로그램을 학습자 특성, 수학 과제 특성, 자기조절학습이론을 고려하여 정의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으로 개발하였다. 정의적 프로그램은 수학 학습에서 학생의 조절초점 확인, 수학적 자기조절효능감 향상, 학업스트레스 대처, 수학 불안 감소를 목적으로 개발되었고, 인지적 프로그램은 중 고등학교의 수학 과제난이도에 대한 선호 정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수학 성취수준과 학업동기유형을 고려하여 프로그램 참가를 희망한 남녀 중 고등학생들 12명에게 10주 동안 적용하였다. 수학 교사의 관찰일지와 4차에 걸친 심층면담을 분석한 결과, 조절초점 확인 프로그램에서 학생의 향상초점예방초점이 변화하지는 않았으나, 수학적 자기조절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은 성취수준이나 성차와 관계없이 자율동기, 통제동기가 높았던 학생들에게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 대처와 수학 불안 감소 프로그램에서는 신체적 대처 활동이 학교급, 성차, 성취수준에 관계없이 수학 학습 동기 증진에 효과적이었고, 수학 시험 불안 해소 활동이 학업동기유형과 관계없이 효과적이었다. 인지적 프로그램에서는 오답노트와 문제만들기 활동이 결합된 '수학의 달인' 노트가 수학 학업 성취수준이 중 또는 하인 학생들에게서 수학 학습 동기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is an important variable which is not only the primary goal of learning mathematics but also mediates the effects of the mathematics learning. Nevertheless, the present learning environment is full of impeding factors which reduce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mathe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예방을 목표로 자기조절을 해 나가며, 목표 달성과 관련하여 자기조철의 초점을 어디 에 두는가에 성향적인 개인차가 있음을 제안하 였다.
  • Taylor & Trice-blak(2007), Woolfolk, Lehrer, & Allen(2007), Tummers(2011) 등은 교실에서, 수업 중에, 방과 후 학교 활동 등 학교생활 중에 학생들이 스트레스에 대처하여 쉽게 행할 수 있는 정서적 활동과 신체적 활동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결과, 학생의 학업 성취와 학습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스트레스 대처 활동을 통하여 수학 학습에서 정서적 안정을 느낄 수 있도록 수학 학습 동기 증진을 위한 보조 프로그램으로서 신체적 활동을 추가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신체적 활동은 Tummers(2011)의 연구를 참고하여 학생이 학교나 가정에서 쉽게 할 수 있는 호흡조절, 근이완법, 요가 동작을 이용한 신체 활동 프로그램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에서 중·고등학생의 수학 학습 동기를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수학 학습 동기 증진 프로그램은 수학 학습 맥락과 정의적 조절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최근의 연구 동향, 기존의 연구들에서 수행되어 온 수학 불안 에 대한 처치, 수학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강력한 변인 중 하나인 수학적 자기조절효능감에 대한 연구 결과, 김부미(2014a; 2014b)의 중·고등 학생의 학업동기유형 및 학업스트레스의 정도와 수학 학습 동기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 등을 바탕으로 개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중·고등학생의 학업동기유형 및 학업스트레스의 정도를 고려하고, 수학적 자기조절효능감 신장과 수학 불안 감소 및 수학 학습 과제 특성을 고려한 수학 학습 동기 증진 프로그램을 정의적 영역과 인지적 영역으로 구분하여 개발할 것이다.
  •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차 본 연구에서는 수학 학습 동기 증진 방안을 인지적ㆍ정의적 방법의 상호보완적 측면을 고려 하되, 정의적 조절에 초점을 두어 개발하고자 하 였다.
  • 그러나 학생들의 수학 학습동기를 신장시키는 방안에 대한 국내의 선행연구로는 김성일ㆍ윤미선 (2004)의 연구와 같이 일반적인 자기조절학습 이론과 관련한 교수ㆍ학습 모형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고, 수학 교과에 있어서는 김용수 (1998), 장인실·이성규(2009)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역량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통해 학업성취도에서 향상을 일으킨다는 연구 외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에서 중·고등학생의 수학 학습 동기를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수학 학습 동기 증진 프로그램은 수학 학습 맥락과 정의적 조절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최근의 연구 동향, 기존의 연구들에서 수행되어 온 수학 불안 에 대한 처치, 수학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강력한 변인 중 하나인 수학적 자기조절효능감에 대한 연구 결과, 김부미(2014a; 2014b)의 중·고등 학생의 학업동기유형 및 학업스트레스의 정도와 수학 학습 동기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 등을 바탕으로 개발하고자 한다.
  • 수학 학습 동기는 학습자가 수학 학습에서 성공적인 성취 경험을 경험하거나 교사나 부모의 언어적 설득에 의해서, 또는 실패나 어려운 과제에 접할 때 유발되는 정서적 각성을 긍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기 자신에 대한 평가가 변화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수학 학습 동기 증진 프로그램을 중ㆍ고등학생에게 최소한 학기 이상에 걸쳐 적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학생과 학부모, 담당 교사와 상의한 결과, 정기고사 기간, 공휴일, 현장학습과 같은 학교 행사일 등을 제외한 10주 동안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 수학 학습 동기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 정에서 수학교육 전문가, 교육심리 전문가, 참여 중ㆍ고등학교의 담당 수학 교사와 수차례 회의 를 진행하여 프로그램을 검토하고 수정・보완하였다. 특히 프로그램 구성 내용의 타당성과 현장 적합성을 검토 받았을 뿐만 아니라 각 프로그램이 하루 일과의 15분~20분 이하의 시간을 할애하는지를 검토하여 학생들에게 시간적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노력하였다. 수학 학습 동기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할 학생들의 모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 조절학습자가 수업에서 보이는 태도는? 실제로 학습과정과 결과에서 자기조절학습의 긍 정적 영향은 Zimmerman(1998), Eilam, Zeidner, & Aharon(2009)등의 연구에서 확인되어 왔다. 자기 조절학습자는 정서적, 동기유발 면에서 긍정적인 참여를 하였으며, 수업에서 구체적인 전략을 수 행함으로써 지식과 기능을 획득하기 위해 자기 주도적 노력을 기울였다(Zimmerman, 1998). 그러 나 학생들의 수학 학습동기를 신장시키는 방안 에 대한 국내의 선행연구로는 김성일ㆍ윤미선 (2004)의 연구와 같이 일반적인 자기조절학습 이 론과 관련한 교수ㆍ학습 모형에 대한 연구가 주 를 이루고 있고, 수학 교과에 있어서는 김용수 (1998), 장인실․이성규(2009)의 초등학생을 대상 으로 자기조절학습역량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을 통해 학업성취도에서 향상을 일으킨다는 연 구 외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자기조절학습자들이 자신의 학습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고, 그 과정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14가지 전략은? 행동적 측면에서는 학습에 최적화된 환경 조성을 위하여 선택하고 구조화하며, 창조하는 행동을 특징으로 한다. 이 러한 과정을 통해 자기조절학습자들은 자신의 학습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고, 그 과정을 최적 화하기 위해여 자기평가, 조직 및 변형, 목표설 정 및 계획, 정보탐색, 기록유지 및 모니터링, 환 경의 구조화, 자기보상, 시연 및 암기, 동료도움 구하기, 교사도움 구하기, 성인지원 구하기, 시험 결과 검토, 노트정리 복습, 교재복습의 열네 가 지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사용한다(Zimmerman & Martinez-Pons, 1986). 최근의 자기조절학습전락에는 인지 전략의 활 용, 동기나 정서(emotion)의 통제 및 조절, 이를 통한 스스로의 행동 통제, 다양한 외부 학습 자 원의 효과적 활용 등의 요인도 포함시키고 있다.
우리나라 학생이 가지는 수학 교과에 대한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의 부조화를 해소하기 위해 교육부가 추진한 방안은? 국제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성취도는 최상위이나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등 정의적 특성이 최하위로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교과에서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의 부조화가 지속되고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교육부는 수학 교과서 진술 방식 및 소재의 다양화, 학생의 흥미와 난이도를 고려한 수학 교 수ㆍ학습 자료 개발 등의 정책을 시행하였고, 최 근에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 고 있는 배움을 즐기는 수학교육을 실현하기 위 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수학에 대한 흥미, 자신감, 학습의욕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누적 관리하는 평가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교육부, 2016.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교육부 (2016). 2016년 교육부 업무계획. 교육부 보도자료(2016. 1. 25). 

  2. 김문희.권혁진(2009). 문제중심학습이 중.상위권 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2), 171-193. 

  3. 김부미(2011). 수학 문제해결 신념의 측정도구 개발. 교육과정평가연구, 14(1), 229-255. 

  4. 김부미(2012).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 측정 및 특성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2(2), 229-259. 

  5. 김부미(2014a).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수학학습 동기의 관계: 동기유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18(1), 1-28. 

  6. 김부미(2014b).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동기유형 및 수학 학습 동기의 관계 분석, 학교수학, 16(1), 157-180. 

  7. 김부미.김수진(2010). 수학 학습 성취 귀인에 대한 측정 도구 개발. 수학교육 49(4), 501-522. 

  8. 김성일.윤미선(2004). 학습에 대한 흥미와 내재동기 증진을 위한 학습환경 디자인. 교육방법연구, 16(1), 39-66. 

  9. 김영국.박기양.박규홍.박혜숙.박윤범.유현주.권오한.이선아(2001). 수학교과에 대한 기피성향 측정.분석 도구의 개발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2000-VI-6. 한국교원대학교 부설 교과교육공동연구소. 

  10. 김영국.박기양.박규홍.박혜숙.박윤범.권오한.박노경.백상철.이선아(2003). 수학 기피 유형의 분류와 치유 효과의 분석. 수학교육, 42(1), 19-39. 

  11. 김용수(1998).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실험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김응환.최성은(2006). 활동중심 수업이 수학 학습 부진아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2), 209-227. 

  13. 김판수.최성우(2013). 자기주도학습 & 코칭 A, B, C. 테크빌닷컴(주). 

  14. 류관열.엄우용.최성열(2010). 중.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타인기대와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효과. 교육심리연구, 24, 661-685. 

  15. 박병문(2007). 오답노트를 활용한 형성평가 피드백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오홍석.조한익(2014). 조절초점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 목표달성에 대한 기대정서, 의지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1), 45-64. 

  17. 이종연(2002). 고등학교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수행평가 기준 개발. 학교수학, 4(2), 193-204. 

  18. 이종희.김부미(2010). 수학 학습 동기와 귀인의 측정 도구 개발 및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0(3), 413-444. 

  19. 이종희.이진향.김부미(2003). 중학생들의 유추에 의한 수학적 문제 해결 과정 : 사상 명료화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6, 245-267. 

  20. 이종희.김선희.김부미.김기연.김수진(2011).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평가 결과 분석과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학술진흥재단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 연구보고서(KRF-2009-32A-B00216). 

  21. 이혜미(2012). 수학 쓰기 활동을 활용한 유형별 수학 학습부진아의 지도 효과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장인실.이성규(2009). 자기조절 학습 프로그램이 수학 학습부진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22, 327-349. 

  23. 정경아(2002). 수학성취모형에서 수학 자기효능감의 예측적.매개적 역할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최경아(2005). 수학에 대한 정서, 정서지능, 학업성취도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최옥영(2006).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전략 훈련 및 효과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최정원.이영호(2011a) 학습동기 향상 전략 -학생용 워크북: 학습치료 프로그램. 학지사. 

  27. 최정원.이영호(2011b) 효과적인 시간.공간 관리 전략 및 학업스트레스 관리 전략 -학생용워크북: 학습치료 프로그램. 학지사. 

  28. 허혜자(1996). 수학교육에서의 정서적 경험과 관련된 용어 고찰: 신념, 태도, 감정. 대한수학교육학회논문집 6(2), 147-156. 

  29. Boekaerts, M., & Niemivirta, M. (2000). Selfregulated learning: finding a balance between learning goals and ego-protective goals. In M. Boekaerts, P. R. Printrich & M. Zeidner(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San Diego, CA: Academic Press, 417-450. 

  30. Deci, E. L. (1995). Why we do what we do: Understanding self-motivation. New York: Penguin. 

  31. DeBellis, V. A., & Goldin, G. A. (2006). Affect and meta-affect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representational perspectiv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 131-147. 

  32. Eilam, B., Zeider, M., & Aharon, I.,(2009). Student conscientiousness, self-regulated learning, and science achievement: An explorative field study. Psychology in the schools, 46(5), 420-432. 

  33. Eshel, Y. & Kohavi, R.(2003). Perceived Classroom Control,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al psychology, 23(3), 249-260. 

  34. Freitas, A. L., Liberman, N., Salvey, P., & Higgins, E. T. (2002). When to begin? Regulatory focus andinitiating goal pursui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8, 121-130. 

  35. Goldin, G. A.(2004). Characteristics of affect as a system of representation. PME Conference, 28(1) 109-114. 

  36. Hannula, M. (2006). Affect in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Towards integration of emotion, motivation, and cognition. In J. Maas, W. Schloeglamann (Eds.), New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209-232. 

  37. Higgins, E. T. (1998). Promotion and prevention: Regulatory focus as a motivation a principle.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dy, 30, 1-46. 

  38. Higgins, E. T. (2000). Promotion and prevention as a motivational duality. Dual process theories in social psychology (pp.503-525). New York: Guilford Press. 

  39. Kjeldsen, T. F. & Blomhoj, M. (2012). Beyond motivation: history as a method for learning meta-discursive rules in mathematic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0, 327-429. 

  40. Leone, L., Perugini, M., & Bagozzi, R. P. (2005). Emotion and decision making: Regulatory focus moderates the influence of anticipated emotions on action evaluations. Cognition and Emotion, 19(8), 1175-1198. 

  41. Malmivuori, M. L. (2004). A dynamic viewpoint: affect in the functioning of self-system processes. PME Conference, 28(1) 114-118. 

  42. Meyer, D. K. & Turner, J. C. (2002). Discovering emotion in classroom motivation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7(2), 107-114. 

  43. Pajares, F. (1996). Self-efficacy beliefs in academic setting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6(4), 543-578. 

  44. Pintrinch, P. R., & Schunk, D. H. (2002).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Englewood Cliffs, NJ: Merrill Prentice Hall. 

  45. Posamentier, A. S., & Krulik, S. (2010). The art of motivating students for mathematics instruction. NY: McGraw-Hill Companies, INC. 

  46. Schwinger, M. Steinmayr, R. Spinath, B.(2009). How do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ffect achievemen: Mediated by effort management and moderated by intelligence.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19, 621-627. 

  47. Taylor, J. V., & Trice-Black, S. (2007). Girls in real-life situations: Group counseling activities for enhancing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Champaign, IL: Research Press. 

  48. Tobias, S. (2005). 수학걱정 뛰어넘기. 허혜자 옮김. (원작은 1993년) 

  49. Tummers, N. E. (2011). Teaching stress management: Activities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Human Kinetics. 

  50. Woolfolk, R., Lehrer, P. & Allen, L.(2007). Conceptual issues underlying stress management (pp.1-15). In Lehrer, P., Woolfolk, R., & Sime, W. (Eds.). Pronciples and practice stress management (3rd ed.). NY: Guilford Press. 

  51. Zimmerman, B. J (1989).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 329-339. 

  52. Zimmerman, B. J. (1998). Academic studying and the development of personal skill: A selfregulatory perspective. Educational Psychologist, 33, 73-86. 

  53. Zimmerman, B. J., Bandura, A., & Martinez-Pons, M. (1992). Self-motivation for academic attainment: The role of self-efficacy beliefs and personal goal sett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9(3), 663-676. 

  54. Zimmerman, B. J., & Campillio, M. (2003). Motivating self-regilated problem solvers. In J. E. Davidson & R. J. Sternberg(Eds.). The Psychology of problem solving.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3-262. 

  55.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86). Development of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 614-6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