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북한 가임기 여성의 영양상태 비교
Status of Maternal Nutri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1 no.3, 2016년, pp.265 - 273  

윤소윤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권영혜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지현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the nutritional status of child-bearing age women betwee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and the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Methods: The data presented in the DPRK Final Report of the National Nutrition Survey 2012 was utilized for the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최소량 미만으로 섭취한 경우에도 섭취한 것으로 표시될 수 있어 식품군의 섭취 비율이 과대평가 되었을 우려도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연구방법으로 남북한 대상자들의 식품군별 섭취율을 비교한 것이므로 대상자들 간의 상대적인 식품 섭취율 비교를 통하여 남북한 대상자들이 얼마나 다른 양상으로 식품을 섭취하고 있는지를 볼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본 연구에서는 남한과 북한 가임기 여성들의 영양상태를 빈혈 유병률, 영양불량률, 식품섭취 다양성 자료를 통하여 객관적으로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북한 영양상태 보고서[1]에서 사용한 영양상태의 평가 내용 및 방법을 이용하여 남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에는 SPSS 21.
  • 이 중 2004년의 보고서 내용을 남한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분석결과와 남북한 가임기 여성의 영양상태를 중심으로 비교한 연구[21]가 보고된 바 있으나, 이러한 비교 결과는 2000년대 초반의 남북 현황을 담고 있기에 통일 준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보다 최근의 자료를 통한 비교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최신 자료인 2012 북한 영양실태보고서를 바탕으로 이 시기와 대응하는 남한의 인체계측 수치 자료 및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남북한 가임기 여성의 영양상태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 5 cm와 각 백분위수에 해당하는 상완위둘레를 비교하여 구간추정 하였다. 그러나 추정된 구간이 너무 넓어 북한 자료와의 비교가 어려워, Shim 등 [21]의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을 적용하여 추정된 구간 내에서는 상완위둘레가 백분위수에 비례하여 증가한다는 가정 하에 영양불량률을 점 추정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부 영양이란? ‘임신부 영양’은 임신 준비기부터 시작하여 임신과 분만기를 대상으로 하는 영양으로, 건강한 임신과 순산, 태아성장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10]. 특히 임신기간 동안의 건강은 태아의 발육과 신생아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임신부 영양이 중요한 이유는? ‘임신부 영양’은 임신 준비기부터 시작하여 임신과 분만기를 대상으로 하는 영양으로, 건강한 임신과 순산, 태아성장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10]. 특히 임신기간 동안의 건강은 태아의 발육과 신생아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저체중인 임신부가 정상이나 과체중인 임신부에 비해 유의적으로 작은 신생아를 출생하고[11] 임신부의 영양결핍이 아이들의 발육 저하나 저체중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12]에서 드러나듯 임신부의 건강 상태는 세대에 걸쳐 영향을 미친다.
임신부가 산전관리를 받지 않는 경우 어떻게 되는가? 이처럼 임신부의 건강은 태아성장과 직결되므로 적절한 산전관리가 필요하다. 임신부가 산전관리를 받지 않은 경우 임신부와 신생아의 주산기 합병증이 증가하였으며[13] 적절한 산전관리가 저체중아 출산 및 주산기 사망률 감소와 연관이 있다[14, 15]는 연구가 이를 뒷받침해 준다. 특히 개도상국의 경우 적절한 산전관리가 신생아 출생의 결과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DPRK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DPRK Final Report of the National Nutrition Survey 2012 [internet]. UNICEF, World Food Programm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cited 2015 Oct 21]. Available from: http://www.unicef.org/eapro/DPRK_National_Nutrition_Survey_2012.pdf. 

  2. FAO, IFAD and WFP. The state of food insecurity in the world 2015. Meeting the 2015 international hunger targets: taking stock of uneven progress. Rome, FAO; 2015. ISBN. 978-92-5-108785-5. 

  3. Statistics Korea. Population projection of DPRK from 1993 to 2055 [internet]. 2010 [cited 2015 Oct 21].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4. Bae SI. Humanitarian assistance to DPRK of international community. The Korean J Int Stud 2004; 44(1): 255-280. 

  5. EU, UNICEF, WFP. Nutrition Survey of the DPRK [internet]. UNICEF; 1998 [cited 2015 Oct 21]. Available from: http://www.pwdigby.co.uk/pdf/Report_on_the_DPRK_Nutrition_Assessment_1998.pdf. 

  6. DPRK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Report of the Second 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 2000, DPRK [internet]. 2000 [cited 2015 Oct 21]. Available from: https://mics-surveysprod.s3.amazonaws.com/MICS2/East%20Asia%20and%20the%20Pacific/Korea%2C%20Democratic%20People%27s%20Republic%20of/2000/Final/Korea%2C%20Democratic%20People%27s%20Republic%20of%202000%20MICS_English.pdf. 

  7. DPRK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Report of the DPRK Nutrition Assessment [internet]. UNICEF; 2002 [cited 2015 Oct 21]. Available from: http://www.unicef.org/dprk/nutrition_assessment.pdf. 

  8. DPRK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DPRK 2004 Nutrition Assessment Report of Survey Results [internet]. 2004 [cited 2015 Oct 21]. Available from: http://www.unicef.org/dprk/dprk_national_nutrition_assessment_2004_final_report_07_03_05.pdf. 

  9. UNICEF CBS. DPRK 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 2009 [internet]. DPRK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09 [cited 2015 Oct 21]. Available from: http://planipolis.iiep.unesco.org/upload/Korea%20DPR/Korea_DPR_MICS_2009.pdf. 

  10. Koo J, Kim JH, Byun KW, Son JM, Lee JW, Lee JH et al.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2nd ed. Seoul: Powerbook; 2013. p. 32. 

  11. Bae HS. Risk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of pregnant women and fetus.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6): 805-817. 

  12. Black RE, Victora CG, Walker SP, Bhutta ZA, Christian P, Onis M et al. Maternal and child undernutrition and overweight in low-income and middle-income countries. Lancet 2013; 382(9890): 427-451. 

  13. Song YW, Shin JH, Yoon YS, Jeong HC, Yim HE, Choi BM. Perinatal complications of mothers and neonates resulting from inadequate prenatal care. Korean J Perinatol 2010; 21(4): 347-355. 

  14. Gortmaker SL. The effects of prenatal care upon the health of the newborn. Am J Public Health 1979; 69(7): 653-660. 

  15. Quick JD, Greenlick MR, Roghmann KJ. Prenatal care and pregnancy outcome in an HMO and general population: a multivariate cohort analysis. Am J Public Health 1981; 71(4): 381-390. 

  16. Garrido GG. The impact of adequate prenatal care in a developing country: testing the WHO recommendations [internet]. 2009 [cited 2015 Oct 21]. Available from: http://papers.ccpr.ucla. edu/papers/PWP-CCPR-2009-014/PWP-CCPR-2009-014.pdf. 

  17. Lim HS. Nutritional factors of the women of reproductive age and pregnancy outcome.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6): 894-906. 

  18. Jeon BJ. Low fertility era and maternal health promotion. J Korea Contents Assoc 2014; 14(6): 162-173. 

  19. Kim S, Lee E. The trend and the task of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J Korean Assoc North Korean Stud 2012; 16(2): 229-268. 

  20. Lim SH. The impact of the food crisis on North Korean women. Korean J Unification Aff 2005; 17(1): 167-190. 

  21. Shim JE, Yoon J, Jeong SY, Park M, Lee YS. Status of early childhood and maternal nutrition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2): 123-132.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cited 2015 Aug 31].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23. Korea Agency of Technology and Standards. 6th Korean Agency of Technology and Standards data[Internet]. Korea Agency of Technology and Standards; 2010 [cited 2015 Aug 31] Available from: http://sizekorea.kats.go.kr.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Iron deficiency anaemia: assessment, prevention and control. A guide for programme managers. WHO/NHD/01.3; 2001. p. 17. 

  25. de Benoist B, McLean E, Egli I, Cogswell M. Worldwide prevalence of anaemia 1993-2005. WHO global database on anaemi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p. 8. 

  26. World Food Programme. Hunger map 2015 [internet]. 2016 [cited 2015 Sep 17]. Available from: http://documents.wfp.org/stellent/groups/public/documents/communications/wfp275057.pdf. 

  27. Kim Y, Hwang SJ. Effects of socio-cultural pressure and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on the behavior of women for appearance management. J Korean Soc Costume 2008; 58(10): 112-122. 

  28. Joo JY, Bae JI, Lee JH, Park JS, Han KS, Bae KH. The association of maternal body mass index with birth weight and cesarean delivery. Korean J Obstet Gynecol 2001; 44(6): 1103-1108. 

  29. Kim SG, Kim YK, Kim HR, Park JS, Son CG, Choi YJ et al. The 2012 national survey of fertility, family health & welfare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Apr. Report No. 2012-54. 

  30. Lee JJ. Effect of women's first childbearing age on the risk of low birth weight. Korean J Pediatr 2007; 50(12): 1206-1211. 

  31. Lim HS, Lee JA, Jin HO. The evaluation of the dietary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s of Korean child-bearing women. Korean J Human Ecol 2000; 3(1): 15-24. 

  32. Choi JH, Kim SK. Comparison of the dietary factors between normal and osteopenia groups by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8; 37(7): 869-878. 

  33.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Population Census [internet]. Statistics Korea; 2010 [updated 2012 Aug 28; cited 2015 Sep 16].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A#SubCont. 

  34. Hanyang 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ealth promotion strategies and programmes development for health inequalities alleviation. Hanyang 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2009 Dec. Report No. 08-55. 

  3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National Health Plan 20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Report No. 11-1352000-00028-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