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식이섬유 성분표 구축 및 식이섬유 섭취 현황
Development of a Dietary Fiber Composition Table and Intakes of Dietary Fiber i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1 no.3, 2016년, pp.293 - 300  

연소영 (질병관리본부 건강영양조사과) ,  오경원 (질병관리본부 건강영양조사과) ,  권상희 (질병관리본부 건강영양조사과) ,  현태선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dietary fiber composition table (DFCT) and to assess dietary fiber intakes i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Methods: The DFCT was developed by compiling the food composition tables published by the agencie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품별 영양성분 DB는 식품 시료로부터 화학적으로 분석한 성분 값으로 구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비용 및 상당량의 자료를 수집하기까지의 시간을 고려할 때 이를 이유로 DB 구축을 지연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으므로 제한적이나마 여러 자료원으로부터 관심 영양성분의 DB 구축이 불가피하게 필요하다. DFCT를 포함하여 식품별 영양성분 DB의 충실도를 평가할 수 있는 명확한 방법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전 연구와 유사한 성별, 연령별 섭취량 결과가 산출되었고,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모든 식품코드에 대한 식이섬유 함량을 계산해 넣었기 때문에 향후 국민 건강영양조사 자료처리에 이용하는 데 우선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현재의 DFCT 구축 완료 후에도 식이섬유 분석치가 신규로 발간될 경우 지속적으로 보완해야 하며, 활용 중 발견되는 문제에 대해서도 일정 주기로 보완하는 등 DB의 완성도를 높여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우리 국민의 식이섬유 섭취량 산출에 필요한 DFCT 구축을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2년간의 국내외 자료원 검토, 전문가자문회의 등을 거쳐 DFCT 구축 원칙을 마련하고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별 영양성분 DB를 구성하고 있는 5,126개 식품에 대해 DFCT 구축을 추진하였다. 또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2014) 원시자료와 신규 구축한 DFCT를 이용하여 식이섬유 섭취량을 산출하고 이를 국내외 섭취수준 자료와 비교하여 향후 국민건강영양 조사 자료 산출에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DFCT는 국내외 국가기관에서 발간된 자료원을 참고하여 구축되었으며, 구축 대상 식품과 일치하는 식품으로부터 40.
  • 본 연구는 우리 국민의 식이섬유 섭취량 산출에 필요한 DFCT 구축을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2년간의 국내외 자료원 검토, 전문가자문회의 등을 거쳐 DFCT 구축 원칙을 마련하고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별 영양성분 DB를 구성하고 있는 5,126개 식품에 대해 DFCT 구축을 추진하였다. 또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2014) 원시자료와 신규 구축한 DFCT를 이용하여 식이섬유 섭취량을 산출하고 이를 국내외 섭취수준 자료와 비교하여 향후 국민건강영양 조사 자료 산출에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 국민의 식이섬유 섭취량 산출을 위한 DB 구축을 목표로 실시하였으며, 국내외 발간된 식품성분표를 참고하여 5,126개의 식품에 대한 식이섬유 DB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한 식이섬유 섭취량을 산출하여 여타 연구의 식이섬유 섭취량 수준과 비교해보았다.
  • 이러한 문제로 국민건강영양조사 식이섬유 섭취량 산출을 위한 별도의 성분표가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국내외 발간된 식품성분표를 활용한 DFCT를 구축하기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구축이 완료된 DFCT를 활용하여 국민건강영양 조사 제6기 2차년도(2014) 식이섬유 섭취량과 주요 급원 식품을 산출하고 이를 유사 연구 결과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이섬유의 특징은? 식이섬유는 식품의 풍미, 질감뿐 아니라 인체 내에서 영양성분의 흡수, 대장 활동, 심혈관계질환 및 당뇨병 관리 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까지도 식이섬유의 기능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식이섬유의 분석방법과 그 정의도 계속 진화하고 있어[1], 동일 식품성분표 내에도 식품마다 다른 방법으로 분석된 자료들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고[2] 이를 이용하는 데도 제한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사용하는 식품별 영양성분 DB는 어디서 나오는 것인가? 국민건강영양조사는 우리 국민의 건강 및 영양에 관한 국가 통계를 산출하기 위한 사업으로[3], 개인별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조사한 식품섭취조사 자료에 음식별 식품재료량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 식품별 영양성분 DB 등을 적용하여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산출이 가능하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사용하는 식품별 영양성분 DB는 농촌진흥청에서 발간하고 있는 식품성분표를 기반으로 하고, 일부 가공식품 및 수입식품에 대한 제조회사 제공 자료, 미국 농무부 식품성분표 등을 보완하여 구축되었다[4]. 해당 식품별 영양성분 DB는 에너지 및 14종의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식이섬유는 14종의 영양소에 속하지 않았다.
식품별 영양성분 DB에서 식이섬유가 속해있지 않는 이유는? 8%)[2] 이를 이용하여 식이섬유 섭취량을 분석할 경우 상당한 과소평가가 예상되었다. 또한 식이섬유 함량 값의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식품 내 여러 성분 중 식이섬유 값과 관련이 있는 성분, 즉 고형분 총량이나 탄수화물 값 등과의 비교 검토가 필요한데, 식품성분표 제8개정판 중에 포함된 식이섬유 값 중 대부분은 일반 성분 분석에 사용된 것과는 다른 시료로부터 분석된 값을 차용한 경우이므로 사용에 적절한지를 검토하는 데에도 제한점이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Westenbrink S, Brunt K, Kamp J-W. Dietary fibre: challenges in production and use of food composition data. Food Chem 2013; 140(3): 562-567. 

  2.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Food composition table. 8th revision. Suw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2011. 

  3. Kweon SH, Kim YN, Jang MJ, Kim YJ, Kim KR, Choi SH et al. Data resource profil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nt J Epidemiol 2014; 43(1): 69-77.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5. Yu KH, Chung CE, Ly SY. Analysis of dietary fiber intake in the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and newly established dietary fiber database. Korean J Nutr 2008; 41(1): 100-110. 

  6.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Development of nutrient database: 5 Dietary fiber composition of foods. Seoul: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5. p. 5-181. 

  7. Baek YJ, Kweon SH, Oh KW. Development of fatty acid composition table and intakes of fatty acids i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Public Health Wkly Rep 2015; 8(4): 75-81. 

  8.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Chemical composition of marine products. 2nd ed. Busa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09. 

  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Restaurant meal composition table.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2015. 

  10.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28 [interne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5 [cited 2016 Feb 3]. Available from: http://www.ars.usda.gov/. 

  11.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Standard tables of food composition in Japan - 2015 - (Seventh Revised Version) [internet].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2015 [cited 2016 Feb 3]. Available from: http://www.MEXT.go.jp/.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p. 2-23, 184-211.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Microdata user guide.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14. FAO/INFOODS. FAO/INFOODS Guidelines for checking food composition data prior to the publication of a user table. database-version 1.0. Rome: FAO; 2012. p. 1-40. 

  15. Lee HJ, Kim YA, Lee HS. Annual changes in the estimated dietary fiber intake of Korean during 1991-2001. Korean J Nutr 2006; 39(6): 549-559. 

  16.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What we eat in America, NHANES 2011-2012 [Interne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5 [cited 2016 February 20]. Available from: http://www.ars.usda.gov/. 

  17.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sults: Nutritional Intake Status Survey [internet].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2015 [cited 2016 Feb 20]. Available from: http://www.mhlw.go.jp/. 

  18. Sardinha AN, Canella DS, Martins AP, Claro RM, Levy RB. Dietary sources of fiber intake in Brazil. Appetite 2014; 79: 134-138. 

  19. Fukuda S, Saito H, Nakaji S, Yamada M, Ebine N, Tsushima E et al. Pattern of dietary fiber intake among the Japanese general population. Eur J Clin Nutr 2007; 61(1): 99-1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