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기낙엽이 사과 '시나노스위트'의 수량, 저장양분 및 꽃눈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arly Defoliation on Fruit Yield, Reserve Accumulations and Flower Bud Formation in 'Sinano Sweet' Apple Trees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5 no.2, 2016년, pp.133 - 137  

한점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한현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권용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정재훈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류수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도경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이한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최인명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김태춘 (원광대학교 원예애완동식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박 및 태풍에 의해 생육기간 동안에 낙엽이 발생했을 때를 가정하여 5월부터 10월까지 1개월 간격으로 인위적으로 낙엽 처리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사과나무 '시나노스위트'의 수량, 저장양분 및 다음해 화총 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평균 과중은 낙엽 정도가 심할수록, 낙엽 시기가 빠를수록 감소하였으며 과실 비대 감소는 수량 감소로 이어졌다. 30% 낙엽구의 과실 크기 및 수량은 낙엽 시기와 관계없이 무처리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년생 가지의 탄수화물 함량은 8월 이전 낙엽구가 9월이후 낙엽구에 비해 현저히 낮은 함량을 보여 낙엽 정도보다는 낙엽 시기의 영향이 컸다. 8월 이전 낙엽구 중에서는 낙엽 시기가 늦어질수록 탄수화물 함량이 감소하여 8월 낙엽구에서 무처리구 대비 50% 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생육기 중의 조기 낙엽 다음해 화총 수는 낙엽 시기 및 정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5월 이후 낙엽 시기가 늦어질수록 화총 수가 감소하여 7월 낙엽구에서 가장 낮은 화총 수를 보였으며 8월 이후 낙엽구는 무처리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낙엽 이듬해 화총 수는 수체내 탄수화물 함량과 정의 상관을 보였다. 위의 결과, 7월 이전의 낙엽 피해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적과를 통해 개별 과실의 sink 기능을 강화하여 과실 비대를 향상시키고, 저장양분 확보를 통해 다음해 화총 수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ano Sweet' apple trees were defoliated at intervals of a month from May to October to simulate damage occured by hail and typhoon in Korea, accordingly fruit yield, reserve accumulations and return bloom were investigated. As the more severe defoliation degree was and earlier defoliation time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생육기간 동안 우박 및 태풍에 의한 낙엽 피해를 가정하여 인위적으로 낙엽 처리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사과나무의 수량, 저장양분 및 다음해 착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우박 및 태풍에 의한 낙엽 피해 경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엽과수의 잎은 어떤 역햘을 하는가? 낙엽과수의 잎은 저장양분 축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른 봄의 영양생장과 과실의 세포 수 결정이나 낙과 등 과실 생산량과 과실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Hirata와 Kurooka, 1974).
탄수화물 함량은 무엇의 영향을 크게 받나요? 낙엽의 시기 및 정도에 따른 사과 ‘시나노스위트’ 2년생 가지의 탄수화물 함량을 분석하였다(Table 1). 탄수화물 함량은 수량과는 반대로 낙엽 정도보다는 낙엽 시기의영향이 커서 8월 이전 낙엽구가 9월 이후 낙엽구에 비해 현저히 낮은 탄수화물 함량을 보였다. 8월 이전 낙엽구중에서는 8월 낙엽구의 탄수화물 함량이 가장 낮았으며 무처리구 대비 약 50% 수준이었다.
주당 화총 수는 낙엽 시기 및 정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엿나? 주당 화총 수는 낙엽 시기 및 정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5월 이후 낙엽시기가 늦어질수록 화총 수가 감소하여 7월 낙엽구에서 가장 낮은 화총 수를 보였으며 8월 이후에는 무처리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Kwack(2013)은 키위프루트에서 7월과 8월 낙엽구보다 9월 낙엽구에서 꽃눈 수 감소가 두드러졌으며, 이는 7월과 8월 낙엽구에서는 재발아된 신초의 잎들이 광합성 산물 생산을 위한 새로운 source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n, S.H., S.W. Lee, I.G. Kim, K.J. Park, J.Y. Kim, H.S. Shin, and B.J. Kim. 2014. Aanalysis of meteorological disasters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have occurred in the recent 35 years. Proc. Autumn Mtg. of KMS. p. 954-956 (in Korean). 

  2. Buwalda, J.G. and G.S. Smith. 1990. Effect of partial defoliation at various stages of the growing season on fruit yields, root growth and return bloom of kiwifruit vines. Scientia Hort. 42:29-44. 

  3. Cho, K.S., S.S. Kang, D.S. Son, M.S. Kim, J.B. Kim, J.H. Song, Y.K. Kim, S.B. Jeong, and G.U. Park. 2004. Survey of typhoon 'Maemi' damage in pear orchards in Ulsan district. Kor. J. Hort. Sci. Technol. 22(SUPPL. II). p. 54 (in Korean). 

  4. Choi, S.T. and S.M. Kang. 2007. Effects of defoliation and defruiting in early September on partitioning of nonstructural carbohydrates in 'Fuyu' persimmon at harvest. Hort. Environ. Biotechnol. 48(6):359-364. 

  5. Choi, S.W., J.H. Kim, and K.R. Kim. 2000. Effect of defoliation treatments during maturation on fruit quality of 'Fuji' apples. J. Kor. Soc. Hort. Sci. 41(4):383-386 (in Korean). 

  6. Choi, S.W. and K.R. Kim. 2000. Effects of girdling and pinching on the june drop of 'Sekaiichi' apple. Kor. J. Hort. Sci. Technol. 18(3):391-394 (in Korean). 

  7. Hale, C.R. and R.J. Weaver. 1962. The effect of developmental stage on direction of translocation of photosynthate in Vitis vinifera. Hilgardia. 33:89-131. 

  8. Hirata, N. and H. Kurooka. 1974. Physiological studies of developing and ripening fruits of the Japanese persimmon. I. The effects of degrees or times of artificial defoliation during last fall on carbohydrate contents in shoot, fruit growth and fruit quality. Dept. Hort. Faculty Agr. Tottori Univ. 26:1-14. 

  9. Hong, K.H., Y.S. Kim, K.K. Yiem, and M.S. Yiem. 1989. Investigation on hail injury at bloom period of pear fruits. Kor. J. Hort. Sci. Technol. 7(SUPPL. II):150-151 (in Korean). 

  10.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2013. Climate change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2. Observations: Atmosphere and surface. WMO & UNEP. p. 187- 193. 

  11. Kang, S.S., K.S. Cho, M.S. Kim, D.S. Son, and J.H. Han. 2003. Damage of pear (P. pyrifolia Nakai) fruit drop by typhoon called 'Rusa'. Kor. J. Hort. Sci. Technol. 21(SUPPL. I). p. 70 (in Korean). 

  12. Kim, D.E., W.J. Choi, and J.H. Shim. 2008. Analysis of global disaster trends and types. Water and Future. 41(2):56-61 (in Korean). 

  13. Kim, J.H., J.C. Kim, K.C. Ko, H.S. Park, K.R. Kim, and J.C. Lee. 1989. General Pomology. 3rd ed. Hyangmoonsa, Seoul, Korea (in Korean). 

  14. Kim, J.S., J.T. Yoon, D.H. Cho, B.S. Choi, W.S. Lee, and J.Y. Oh. 1994. Survey of the hailstorm damages on apple trees in Kyungbuk area in 1992. J. Kor. Soc. Hort. Sci. 35(4):345-350 (in Korean). 

  15. Kwack, Y.B. 2013. Effect of early defoliation on flower bud formation, nonstructural carbohydrate accumulation, and fruit quality in kiwifruit. PhD Diss., Gyeongsang Nat. Univ. Jinju Gyeongnam. p. 33-67 (in Korean). 

  16. Kwack, Y.B., H.L. Kim, Y.H. Choi, J.H. Lee, J.G. Kim, and Y.B. Lee. 2012. Fruit quality and fruit locule air hole of kiwifruit (Actinidia deliclosa cv. Hayward) affected by early defoliation. Kor. J. Environ. Agric. 31:229-234 (in Korean). 

  17. Kweon, H.J., D.H. Sagong, Y.Y. Song, M.Y. Park, S.I. Kwon, and M.J. Kim. 2013. Chilling requirement for breaking of internal dormancy of main apple cultivars in Korea. Kor. J. Hort. Sci. Technol. 31(6):666-676 (in Korean). 

  18. Lee, B.H.N., Y.S. Park, and H.S. Park. 2015. Changes in dormant phase and bud development of 'Fuji' apple trees in the chungju area of Korea. Kor. J. Hort. Sci. Technol. 33(4):501-510 (in Korean). 

  19. Lim, G.H., D.G. Lim, G.C. Ma, B.J. Jung, and G.C. Lim. 2000. Effect of typhoon on kiwifruit quality and development of technique to reduce its damages. Res. Rpt. ChunNam Provincial Rural Dev. Adm., Korea. p. 280-287 (in Korean). 

  20. Mehouachi, J., D. Serna, S. Zaragoza, M. Agusti, M. Talon, and E. Primo-Millo. 1995. Defoliation increases fruit abscission and reduces carbohydrate levels in developing fruits and woody tissues of citrus unshiu. Plant Sci. 107:189-197. 

  21. Oliveira, C.M. and A. Priestley. 1988. Carbohydrate reserves in deciduous fruit trees. Hort. Rev. 10:403-430. 

  22. Park, M.Y., Y.S. Jo, H.S. Cho, J.O. Park, T.D. Park, and C.S. Ahn. 2001. The growth and fruit quality in typoon-derived sweet persimmon. Kor. J. Hort. Sci. Technol. 19(SUPPL. II). p. 66 (in Korean). 

  23. Quinland, J.D. and R.J. Weaver. 1969. Influence of benzyladenine, leaf darkening and ringing on movement of 14Clabeled assimilates into expanded leaves of Vitis vinifera L. Plant Physiol. 44:1247-1252. 

  24. Rhee, Y.S. and K.C. Ko. 1973. Study on the flower bud differentiation of main fruit trees in Korea. 1. Study on the time of flower bud differentiation on leading fruit varieties in the localities of Korea. J. Kor. Soc. Hort. Sci. 13:115-123 (in Korean). 

  25. Wang, Z., Q. Pan, and B. Quebedeaux. 1999. Carbon partitioning into sorbitol, sucrose, and starch in source and sink apple leaves as affected by elevated $CO_2$ . Environ. Expt. Bot. 41:39-4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