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을활용한 모바일 기반 정신건강개입의 현황과 한계
Current State and Limit of Mobile-Based Mental Health Intervention Using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4 no.1, 2016년, pp.61 - 65  

이상민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건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승준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건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임우영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건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백종우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양한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CT)들이 정신건강 영역에서 성공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효과적인 ICT 중 하나이며,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된 이후 여러 앱들이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기반 정신건강 개입은 치료 접근성 향상,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증상 및 일상 활동의 손쉬운 확인과 같은 여러 장점이 있다. 치료 경과에서의 더 나은 추적 관찰, 개별화된 피드백과 향상된 이동성으로 인하여 환자들의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하지만 정신건강과 관련된 모바일 기술에는 전기통신 오류, 데이터 안전성 문제, 개인 정보 유출 같은 기술적인 애로사항들이 제한점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기술의 개발과 제공 과정에서 이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정신건강 전문가들이 근거에 기반을 둔 경험들을 결합하고, 양질의 임상적 수준을 보장하면서 개발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is being broadly utilized for mental health. Especially, mobile application is one of the effective ICT, and several applications have been developed after the spread of smartphones. The mobile-based mental health has several st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들은 현재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는 모바일 기반 정신건강개입의 유용성과 활용 현황, 효과성에 대한 근거들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보급과 활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현재에도 치료와 평가 과정에서 건강한 행동 변화를 유도하고, 치료 프로그램 순응도를 증가시키며, 즉각적인 심리지원을 제공하고, 자기 모니터링을 도와줌으로써 환자, 의료인에게 도움을 주는 유용한 앱이 다수 존재한다.32)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일반 대중 사이에서 활용이 늘어나게 될수록 개입의 질에 대한 요구는 높아질 것이고 근거에 기반한 치료를 제공해야 한다. 하지만 개인정보의 보호 등 해결해야 할 문제는 산적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기반 정신건강 개입의 장점은 무엇인가? 특히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효과적인 ICT 중 하나이며,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된 이후 여러 앱들이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기반 정신건강 개입은 치료 접근성 향상,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증상 및 일상 활동의 손쉬운 확인과 같은 여러 장점이 있다. 치료 경과에서의 더 나은 추적 관찰, 개별화된 피드백과 향상된 이동성으로 인하여 환자들의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하지만 정신건강과 관련된 모바일 기술에는 전기통신 오류, 데이터 안전성 문제, 개인 정보 유출 같은 기술적인 애로사항들이 제한점으로 존재한다.
모바일 기반 정신건강 개입의 제한점은 무엇인가? 치료 경과에서의 더 나은 추적 관찰, 개별화된 피드백과 향상된 이동성으로 인하여 환자들의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하지만 정신건강과 관련된 모바일 기술에는 전기통신 오류, 데이터 안전성 문제, 개인 정보 유출 같은 기술적인 애로사항들이 제한점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기술의 개발과 제공 과정에서 이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경도에서 중등도 우울 또는 불안 증상을 지닌 이들을 위한 정신건강 앱에 포함되는 치료적 요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호주의 여론조사에 의하면, 525명의 응답자 중 76%가 무료일 경우 스마트폰을 사용한 정신건강 자기관리와 자기모니터링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하였다.5) 경도에서 중등도 우울 또는 불안 증상을 지닌 이들을 위한 정신건강 앱에는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 행동활성화(behavioral activation), 정신교육(psychoeducation), 증상 모니터링 같은 치료적 요소가 포함되기도 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Hidalgo-Mazzei D, Mateu A, Undurraga J, Rosa AR, Pacchiarotti I, Bonnin Cdel M, Sanchez-Moreno J, Colom F, Vieta E. e-HCL-32: a useful, valid and user friendly tool in the screening of bipolar II disorder. Compr Psychiatry 2015;56: 283-288. 

  2. Zimmerman M, Martinez JH. Web-based assessment of depression in patients treated in clinical practice: reliability, validity, and patient acceptance. J Clin Psychiatry 2012;73:333-338. 

  3. 한국인터넷진흥원, 2015한국인터넷백서. 2015년; Accessed 5월 4일, 2016년. 

  4. Donker T, Petrie K, Proudfoot J, Clarke J, Birch MR, Christensen H. Smartphones for smarter delivery of mental health programs: a systematic review. J Med Internet Res 2013;15:e247. 

  5. Proudfoot J, Parker G, Hadzi Pavlovic D, Manicavasagar V, Adler E, Whitton A. Community attitudes to the appropriation of mobile phones for monitoring and managing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J Med Internet Res 2010;12:e64. 

  6. 조맹제, 성수정, 신서연, 김진선, 전승범, 김민정. 2011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보건복지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2011. 

  7. Whiteford HA, Degenhardt L, Rehm J, Baxter AJ, Ferrari AJ, Erskine HE, Charlson FJ, Norman RE, Flaxman AD, Johns N, Burstein R, Murray CJ, Vos T. Global burden of disease attributable to mental and substance use disorders: findings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Lancet 2013; 382:1575-1586. 

  8. Bakker D, Kazantzis N, Rickwood D, Rickard N. Mental Health Smartphone Apps: Review and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for Future Developments. JMIR Ment Health 2016;3:e7. 

  9. Harrison V, Proudfoot J, Wee PP, Parker G, Pavlovic DH, Manicavasagar V. Mobile mental health: review of the emerging field and proof of concept study. J Ment Health 2011;20: 509-524. 

  10. Whittaker R, McRobbie H, Bullen C, Borland R, Rodgers A, Gu Y. Mobile phone-based interventions for smoking cessatio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2 Nov 14;11:CD006611. 

  11. Proudfoot J, Nicholas J. Monitoring evaluation in low intensity CBT interventions. In: Bennett-Levy J, Richards DA, Farrand P, Christensen H, Griffiths KM, Kavanagh DJ, Klein B, Lau MA, Proudfoot J, Ritterband L, White J, Williams C, editors. Oxford Guide to Low Intensity CBT Interventions. In: Oxford, editor. Oxford Guide to Low Intensity CBT Interven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niversity Press;2010. p.97-104. 

  12. Warmerdam L, Riper H, Klein M, van den Ven P, Rocha A, Ricardo Henriques M, Tousset E, Silva H, Andersson G, Cuijpers P. Innovative ICT solutions to improve treatment outcomes for depression: the ICT4Depression project. Stud Health Technol Inform 2012;181:339-343. 

  13. Burns MN, Begale M, Duffecy J, Gergle D, Karr CJ, Giangrande E, Mohr DC. Harnessing context sensing to develop a mobile intervention for depression. J Med Internet Res 2011;13:e55. 

  14. Luxton DD, Kayl RA, Mishkind MC. mHealth data security: the need for HIPAA-compliant standardization. Telemed J E Health 2012;18:284-288. 

  15. O'Reilly MK, Nason GJ, Liddy S, Fitzgerald CW, Kelly ME, Shields C. DOCSS: doctors on-call smartphone study. Ir J Med Sci 2014;183:573-577. 

  16. Christensen H, Griffiths KM, Farrer L. Adherence in internet interventions for anxiety and depression. J Med Internet Res 2009;11:e13. 

  17. Puiatti A, Mudda S, Giordano S, Mayora O. Smartphone-centred wearable sensors network for monitoring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Conf Proc IEEE Eng Med Biol Soc 2011;2011: 3644-3647. 

  18. Marley J, Farooq S. Mobile telephone apps in mental health practice: us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BJPsych Bull 2015; 39:288-290. 

  19. Rizvi SL, Dimeff LA, Skutch J, Carroll D, Linehan MM. A pilot study of the DBT coach: an interactive mobile phone application for individual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substance use disorder. Behav Ther 2011;42:589-600. 

  20. Lewis TL, Wyatt JC. mHealth and mobile medical Apps: a framework to assess risk and promote safer use. J Med Internet Res 2014;16:e210. 

  21. Ehrenreich B, Righter B, Rocke DA, Dixon L, Himelhoch S. Are mobile phones and handheld computers being used to enhance delivery of psychiatric treatment? A systematic review. J Nerv Ment Dis 2011;199:886-891. 

  22. Heron KE, Smyth JM. Ecological momentary interventions: incorporating mobile technology into psychosocial and health behaviour treatments. Br J Health Psychol 2010;15:1-39. 

  23. Price M, Yuen EK, Goetter EM, Herbert JD, Forman EM, Acierno R, Ruggiero KJ. mHealth: a mechanism to deliver more accessible, more effective mental health care. Clin Psychol Psychother 2014;21:427-436. 

  24. Murphy SA. An experimental design for the development of adaptive treatment strategies. Stat Med 2005;24:1455-1481. 

  25. Collins LM, Baker TB, Mermelstein RJ, Piper ME, Jorenby DE, Smith SS, Christiansen BA, Schlam TR, Cook JW, Fiore MC. The multiphase optimization strategy for engineering effective tobacco use interventions. Ann Behav Med 2011;41:208-226. 

  26. Labrique A, Vasudevan L, Chang LW, Mehl G. H_pe for mHealth: more "y" or "o" on the horizon? Int J Med Inform 2013; 82:467-469. 

  27. Burgess PM, Pirkis JE, Slade TN, Johnston AK, Meadows GN, Gunn JM. Service use for mental health problems: findings from the 2007 National Survey of Mental Health and Wellbeing. Aust N Z J Psychiatry 2009;43:615-623. 

  28. Trusz SG, Wagner AW, Russo J, Love J, Zatzick DF. Assessing barriers to care and readiness f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 early acute care PTSD interventions. Psychiatry 2011;74:207-223. 

  29. Epstein DH, Willner-Reid J, Vahabzadeh M, Mezghanni M, Lin JL, Preston KL. Real-time electronic diary reports of cue exposure and mood in the hours before cocaine and heroin craving and use. Arch Gen Psychiatry 2009;66:88-94. 

  30. Payne KB, Wharrad H, Watts K. Smartphone and medical related App use among medical students and junior doctors in the United Kingdom(UK): a regional survey. BMC Med Inform Decis Mak 2012;12:121-6947-12-121. 

  31. Migo EM, Haynes BI, Harris L, Friedner K, Humphreys K, Kopelman MD. mHealth and memory aids: levels of smartphone ownership in patients. J Ment Health 2015;24:266-270. 

  32. Spurgeon JA, Wright JH. Computer-assiste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Curr Psychiatry Rep 2010;12:547-5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