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환자를 위한 모바일 앱용 네비게이션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Navigation Program for Cancer Patients using Mobile application 원문보기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 QIH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21 no.2, 2015년, pp.28 - 38  

권근애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정가진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박주미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정미경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서화정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김지윤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김연희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박정윤 (울산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develop and evaluate a mobile application for navigation program for cancer patients who might experience some difficulties in obtaining and understanding further schedules, directions due to flooding information at a time and scattered educatio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환자 스스로 자신의 질병, 치료 방법에 대한 이해 및 증상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접근성이 편리하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반복적인 학습이 가능한 암환자 교육용 모바일 앱 개발을 통하여 맞춤형 암환자 교육 환경을 구축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접근성이 편리하고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반복적인 학습이 가능한 암환자 교육용 모바일앱을 개발하고 암환자에게 적용한 후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 암환자를 위한 모바일용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사망 원인 1위는? 전 세계적으로 암의 발생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국내 사망 원인 1위는 이다.[1] 암 치료가 입원치료에서 외래 통원 치료로 변화되면서 암 치료와 관련된 오심과 구토, 식욕부진, 피로감, 복통 설사, 탈모 등을 의료인이 없는 가정에서 경험하게 되었다.
암 치료가 외래 통원 치료로 변화되면서 어떤 상황이 발생했는가? 전 세계적으로 암의 발생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국내 사망 원인 1위는 암이다.[1] 암 치료가 입원치료에서 외래 통원 치료로 변화되면서 암 치료와 관련된 오심과 구토, 식욕부진, 피로감, 복통 설사, 탈모 등을 의료인이 없는 가정에서 경험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암환자는 자기간호와 추후관리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증가되었다.
암환자 교육용 모바일앱 개발의 목적은? - 암환자를 위한 모바일용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 암환자를 위한 모바일용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Office KNS.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Daejeon: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2. Lev EL, Daley KM, Conner NE, Reith M, Fernandez C, Owen SV. An intervention to increase quality of life and self-care self-efficacy and decrease symptoms in breast cancer patients. Research and Theory for Nursing Practice. 2001;15(3):277-94. 

  3. Jahraus D, Sokolosky S, Thurston N, Guo D. Evaluation of an educ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receiving radiation therapy. Cancer nursing. 2002;25(4):266-75. 

  4. Dunn J, Steginga SK, Rose P, Scott J, Allison R. Evaluating patient education materials about radiation therapy.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04;52(3):325-32. 

  5. Dodd MJ, Miaskowski C, editors. The PRO-SELF Program: a self-care intervention program for patients receiving cancer treatment. Seminars in Oncology Nursing; 2000: Elsevier. 

  6. Kim Y-J. Exploratory study on acceptance intention of mobile devices and applications for healthcare servic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12(9):369-79. 

  7. Lee S-H, Lim M-J, Lee K-Y. Healthcare application modeling using smartphon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2010;10(4):35-40. 

  8. Ciemins E, Coon P, Sorli C. An analysis of data management tools for diabetes self-management: can smart phone technology keep up? Journal of diabetes science and technology. 2010;4(4):958-60. 

  9. Jung E-Y, Kim J, Chung K-Y, Park DK.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with EMR interoperability for diabetes patients. Cluster Computing. 2014;17(3):871-80. 

  10. Borrero AF, Vasques J, Vargas R, editors. Implementation of a Mobile Application to Promote Self-care in Elder Diabetic Patients. VI Latin American Congress on Biomedical Engineering CLAIB 2014, Parana, Argentina 29, 30 & 31 October 2014; 2015: Springer. 

  11. De Leo G, Gonzales CH, Battagiri P, Leroy G. A smart-phone application and a companion website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clinical rationale, technical development and preliminary results. Journal of medical systems. 2011;35(4):703-11. 

  12. Cueto-Manzano AM, Gallardo-Rincon H, Martinez-Ramirez HR, Cortes-Sanabria L, Rojas-Campos E, Tapia-Conyer R, et al. A pilot study of a mobile phone application to improve lifestyle and adherence of patients with kidney disease. Journal of telemedicine and telecare. 2015;21(2):119-20. 

  13. Park D-K, Kim J-H, Kim J-K, Jung E-Y, Lee Y-H. U-health service model for managing health of chronic patients in multi-platform environmen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1;11(8):23-32. 

  14. Hong H-S, Lee I-K, Cho H, Kim H-S. Development of education courseware for clinical care classification system based PC and smartphone.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2011;12(3):49-56. 

  15. Sim Y-B, Seo Y-J, Kim J-M, Kim S-H, Sung D-H. Factors related to the intent to use the medical application (M-APP) of smart phone of hospital nurses.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2;22(2):249-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