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Public Awareness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s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8 no.4, 2017년, pp.621 - 629  

문세연 (연세의료원 Health-IT 산업화 지원센터) ,  윤영미 (연세의료원 Health-IT 산업화 지원센터) ,  한태화 (연세의료원 Health-IT 산업화 지원센터) ,  이상은 (연세의료원 Health-IT 산업화 지원센터) ,  장혁재 (연세의료원 Health-IT 산업화 지원센터) ,  송시영 (연세의료원 Health-IT 산업화 지원센터) ,  김현창 (연세의료원 Health-IT 산업화 지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구구조의 고령화와 만성질환 환자 증가로 인한 빠른 의료비 지출 상승에 따라,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기존 서비스의 이용자인 환자 외에 일반인까지 수요자 범위를 확장하였으며, 이에 따라 일반인의 디지털 헬스케어 이용현황 및 요구 파악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반인 1,0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건강정보 서비스, 스마트폰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 웨어러블 디바이스, 유헬스 등 4개 부문에서 각각의 서비스 이용 경험, 이용 목적 및 보완점 등을 조사하고, 제공 받고 싶은 헬스케어 서비스 및 콘텐츠 유형, 이용 의사 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일반인들의 디지털 헬스에 대한 인식과 현재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및 미충족 서비스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rapid population aging and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the digital healthcare services are getting more and more attention. Recent improvement in information technology has expanded the consumers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 from the patients to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일반적 인식을 살펴보고자 수행된 설문 자료를 기반으로 하였다. 설문은 전국 20세 이상의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온라인 패널 DB에 등록되어 있는 100만 명 중에서 성별, 연령, 지역을 고려한 인구비례할당 방식으로 대상자를 표집하였다.
  • 본 연구는 디지털 헬스케어에 해당하는 각 서비스들의 이용경험, 이용목적, 보완점, 향후 필요한 서비스 및 콘텐츠 유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해당하는 인터넷 건강정보 서비스, 스마트폰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 웨어러블 디바이스, 유헬스 등 4개의 부문에서 각각의 서비스 이용 경험, 이용 목적 및 보완점 등을 살펴보고, 제공 받고 싶은 헬스케어 서비스 및 콘텐츠 유형, 이용 의사 등을 파악하여 향후 헬스케어 산업의 발전 방향을 가늠하고자 한다.
  • 일반인의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이용 및 인식 현황 파악을 목적으로 수행된 본 연구를 통하여 사용자들의 현재 서비스에 대한 미충족 수요 및 신규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여 향후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에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해당하는 것으로 무엇이 있는가? 본 연구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해당하는 인터넷 건강정보 서비스, 스마트폰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 웨어러블 디바이스, 유헬스 등 4개의 부문에서 각각의 서비스 이용 경험, 이용 목적 및 보완점 등을 살펴보고, 제공 받고 싶은 헬스케어 서비스 및 콘텐츠 유형, 이용 의사 등을 파악하여 향후 헬스케어 산업의 발전 방향을 가늠하고자 한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무엇인가? 만성질환 환자 증가 및 고령화로 의료비 지출이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디지털 헬스케어 (digital healthcare) 산업에 대한 주목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1]. 디지털 헬스케어는 유헬스 (u-health), 스마트 헬스 (sHealth), 모바일 헬스 (mHealth) 등 IT 기술과 융합된 모든 범위의 헬스케어를 아우르는 분야로, 예방, 진단, 관리, 치료 등 다양한 단계에서 활용되고 있다[2,3]. IT 기술의 혁신에 따라 의료 패러다임의 변화는 맞춤의료, 정밀의학, 예방관리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으며[4,5], 질병 치료를 넘어 예방, 관리하여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것으로까지 목표를 확장한 헬스케어 3.
유헬스 서비스의 경우에 의료기관의 진단 및 치료 행위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할 때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높을 것이라 예상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수요자들이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질병의 치료나 관리적인 측면 보다는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건강관리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고 보여지는 대목으로 기존의 연구와도 부합하는 결과이다[14]. 한편 유헬스 서비스에 대해서는 일시적 거동이 불편할 경우나 응급 상황 등 근처 의료 기관과의 접촉이 어려운 상황일 때 이용하겠다는 응답이 높아 앞의 서비스들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유헬스 서비스의 경우, 의료기관의 진단 및 치료 행위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할 때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높을 것이라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S. H. Kim, "Health IT Technology Trends," The Magazine of the IEEE, Vol. 43, No. 2, pp. 18-24, 2016. 

  2. M. Volk, J. Sterle, and U. Sedlar, "Safety and privacy considerations for mobile application design in digital healthcare," International Journal of Distributed Sensor Network, Vol. 2015, 2015. 

  3. B. M. Choi, T. R. Kim, "Global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with Growth of Digital Health Care Industry," Global Social Walfare Review Vol. 5, No. 2, pp. 95-120, 2015. 

  4. C. Auffray, D. Charron, and L. Hood, "Predictive, preventive, personalized and participatory medicine: back to the future," Genome medicine, Vol. 2, No. 8, pp. 57, 2010. 

  5. C. M. Christensen, R. Bohmer, and J. Kenagy, "Will disruptive innovations cure health care?," Harvard business review, Vol. 78, No. 5, pp. 102-112, 2000. 

  6. J. Y. Choi, Healthcare 3.0: The Era of Healthy Long Life,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Industry Report, 2011. 

  7. S. W. Kang, The Advent of the Era of U-Health,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Industry Report, 2007. 

  8. J. S. Kim, J. M. Kim, T. S. Lee. "A Study on the Demand for Ubiquitous Computing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12, No. 4, pp. 103-110, 2007. 

  9. C. Grossmann, B. Powers and J. M. McGinnis, eds. 2011, Growing the Digital Health Infrastructure. Available: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83557/ . 

  10. K. Woo, A Study on Promotional Strategies of u-Health Through the Recognition Survey in Korea : Based on u-Healthcare, MS. dissertation, Hansung University, Korea, 2012. 

  11. I. H. Jo, Analysis of Recognition in u-Health Service for IT Convergence Technology, MS. dissertation, Mokwon University, Korea, 2011. 

  12. T. Song, S. H. Jang, "u-Healthcare: Issue and Research Trend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p. 119-129, 2011. 

  13. H. Lee, M. Choi and K. Kim, "The recognition of Medical Providers and Users on Telemedicine," Journal of Health Science&Medical Technology, Vol. 30, No. 2, pp. 59-66, 2004. 

  14. H. S. Yoon, D. Shin, "Exploring Strategy of Health Contents for Smart Media - Utilizing Information and Data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16, No. 1, pp. 85-96,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