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특성, 직무만족, 직무배태성 관련 이직의도 모형
A Structural Model of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Focusing o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and Job Embeddednes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2 no.3, 2016년, pp.292 - 302  

유미자 (단국대학교병원) ,  김종경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build and verify a model of clinical nurses' turnover intention using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and job embeddednes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389 hospital nurses. SPSS and AMOS 22.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he mo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Price와 Mueller[7]의 간호사의 이직의도 구조모형을 기본으로 하여, 조직 특성과 직무만족, 직무배태성을 중심으로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과 관련된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rice와 Mueller[7]의 이직의도 구조모형과 다른 관련 변수들을 이용한 연구[1-3,10-15]들을 중심으로 간호사의 이직의도 모형을 구축하였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모형을 조직 특성, 직무만족, 직무배태성을 중심으로 구축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는 구조모형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모형을 조직 특성, 직무만족, 직무배태성을 중심으로 하여 연구모형을 만들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특성이 간호사 만족과 직무배태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간호사에 대한 공정성, 동기부여 및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모형을 조직 특성, 직무만족, 직무배태성을 중심으로 구축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 현재 이직의도와 관련하여 대도시 상급종합병원, 특정간호사 집단 등의 연구가 있으나[1,6], 특히 이직의도와 조직 특성과 직무만족 및 직무배태성을 고려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 특성과 직무만족, 직무배태성을 중심으로 하여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과 관련된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하였으며, 이 연구결과는 병원 간호사의 인력관리, 성과관리 및 유지관리에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 추후 대형종합병원이나 요양병원 등 대상 병원을 확대하여 결정요인인 조직 특성과 직무만족, 직무배태성,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다각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직무배태성을 높일 수 있는 간호중재나 프로그램의 개발 등을 제안한다. 또한 간호조직 특성 변수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특성이란 무엇인가? 조직특성은 조직체계의 본질적인 속성에 대하여 조직원들이 가지는 다차원적인 인식으로, 구성원들의 행위와 동기부여는 물론이고 조직성과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병원간호 조직은 의료진 서로간의 원만한 대인관계와 신뢰, 지지, 올바른 의사소통 등을 중요시하는 기관이라고 할 수 있으며, 조직특성 요소로 조직구조, 지지, 리더십, 구성원들의 상호작용, 상사와의 관계, 의사소통, 신뢰 등이 포함된다[8,9].
조직특성 요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조직특성은 조직체계의 본질적인 속성에 대하여 조직원들이 가지는 다차원적인 인식으로, 구성원들의 행위와 동기부여는 물론이고 조직성과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병원간호 조직은 의료진 서로간의 원만한 대인관계와 신뢰, 지지, 올바른 의사소통 등을 중요시하는 기관이라고 할 수 있으며, 조직특성 요소로 조직구조, 지지, 리더십, 구성원들의 상호작용, 상사와의 관계, 의사소통, 신뢰 등이 포함된다[8,9]. Lee[9]는 조직특성을 구조적, 관리적, 환경적 특성으로 구분하였으며, 간호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의 형태적 변수라 하였으며, 여러 연구[8,9,10-14]에서 조직특성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보고하였다.
병원에서 간호사의 높은 이직은 어떠한 문제점을 야기하는가? 병원에서 환자에게 제공되는 대부분의 서비스가 간호사에 의해 제공되며, 간호사는 병원인력 중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어 질적으로 수준 높은 간호서비스의 중요성은 날로 부각되고 있으나 개인적 이유와 직업적 환경 등의 이유로 다른 직종의 인력에 비해 이직이 많다[3]. 간호사의 높은 이직은 조직의 효과성과 생산성 문제를 야기 시킬 뿐 아니라, 이직하는 간호사 자신에게는 직무전환에 따른 스트레스를 가중시킬 수 있고, 조직에 남아 있는 간호사에게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1]. 또한 간호사 이직은 간호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새로운 인력을 모집하고 훈련시키는 비용을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조직에 재정적인 손해를 끼치게 된다. 이에 병원들은 간호사의 이직을 방지하고, 나아가 유능한 간호사를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oon SJ, Han SS. A predictive model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 41(5):633-641. http://dx.doi.org/10.4040/jkan.2011.41.5.633 

  2. Yoo SJ, Choi YH.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in Daegu c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1):16-25. 

  3. Kim JK, Kim MJ. A review of research on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538-550.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4.538 

  4. Park SK, Cho KM, Jwa YK, Yi YJ. Survey of status on nursing activities. Osong: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4. 

  5. Chang HT, Chi NW, Miao MC. T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component organizational/occup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occupational turnover intention using a non-recursive model.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007;70(2):352-368. http://dx.doi.org/10.1016/j.jvb.2006.10.001 

  6. Cho YK.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new graduate nurses' turnover intentions and turnover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3. 

  7. Price JL, Mueller CW. A causal model of turnover for nurs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1981;24(3):543-565. http://dx.doi.org/10.2307/255574 

  8. Lee YJ, Kim SH, Lee TW.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public institutio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4):354-365.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4.354 

  9. Lee SM.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outcome variab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13(2):156-166. 

  10. Yom YH.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dispositional affectivity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 to leave among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3):276-285. http://dx.doi.org/10.11111/jkana.2010.16.3.276 

  11. Ha HI. The influence of nursing manag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 th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s of nurses: nursing unit characteristics [master's thesis]. Seoul: Konkuk University; 2012. 

  12. Lee YS, Park SH, Kim JK.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fairness, motivation, job satisfaction, intention to stay of nurs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10):596-609. 

  13. Kim EH, Lee E, Choi HJ.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4):394-401.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4.394 

  14. Kwon JO, Kim EY. Impact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nurse turnover intention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4):414-423.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4.414 

  15. Mitchell TR, Holtom BC, Lee TW, Sablynski CJ, Erez M. Why people stay: using job embeddedness to predict voluntary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001;44(6):1102-1121. http://dx.doi.org/10.2307/3069391 

  16. Benner P. From novice to expert.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982;82(3):402-407. 

  17. Anderson JC, Gerbing DW.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988;103(3):411-423. http://dx.doi.org/10.1037/0033-2909.103.3.411 

  18. Lim JS. A study of influences of fairness perception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emphasis on the comparison between profit and non-profit organizations [dissertation]. Gangneung: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2008. 

  19. Lake ET.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2;25(3):176-188. http://dx.doi.org/10.1002/nur.10032 

  20. Cho E, Choi M, Kim EY, Yoo IY, Lee NJ.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3):325-332. http://dx.doi.org/10.4040/jkan.2011.41.3.325 

  21. Kim IJ. Empirical study on the motivation of nurses: focusing on Herzberg's two factor theory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1994. 

  22. Lim JY. A study of the effects of motivation-hygiene factors on nurse'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5;11(3):1-19. 

  23. Podsakoff PM, MacKenzie SB, Moorman RH, Fetter R. Transformational leader behaviors and their effects on followers' trust in lead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The Leadership Quarterly. 1990;1(2):107-142. http://dx.doi.org/10.1016/1048-9843(90)90009-7 

  24. Lee ES. The effects of perioperative nurse's personal & job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4. 

  25. Bass BM, Avolio BJ. MLQ,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Palo Alto, CA: Mind Garden; 1995. 

  26. Kim MJ. The effect of the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27. Stamps PL, Piedmont EB, Slavitt DB, Haase AM.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Medical Care. 1978;16(4):337-352. 

  28. Jang HS. Effect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in hospitals [master's thesis]. Gongju: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09. 

  29. Kim JS. The effect of job embeddednes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oderating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and type of enterprise [dissertation]. Daejeon: Daejeon University; 2014. 

  30. Mobley WH.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Reading, MA: Addison-Wesley; 19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