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공기 사용사업에서의 안전관리요소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Importance of Safety Management Factors in Aircraft Using Business 원문보기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v.24 no.2, 2016년, pp.68 - 73  

변아름 (한서대학교 대학원 항공운항관리학과) ,  조영진 (한서대학교 헬리콥터조종학과) ,  최연철 (한서대학교 항공산업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6, in total 53 corporations operate 160 aircraft. Since 2000, 52 accidents occurred in these corporations. This number takes 20.2% out of in total 257 accidents. Especially in 2016, in two(2) accidents, two(2) aircraft and people onboard were damaged. According to accident reports of aircraft u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항공기사용사업의 안전을 개선하기 위한 요소의 우선순위에 의한 평가항목을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외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현재까지도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항공분야의 SHELL Model을 기초로 Software, Hardware, Environment, Liveware와 그들의 하위변수들을 제시하고 전문가의 인터뷰사전조사 등을 실시하여 사용사업의 안전에서의 중요 요인들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 따라서 향후 연구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항공기사용사업체의 전반적인 실태파악과 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항공기사용사업체의 사고원인에 대한 세부적 요인을 중요도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지며 특히, 우선적으로 관리해야할 요소들의 순위를 제시함으로써, 항공기사용 사업체의 안전관리에 기여하였다는 점에 큰 의미를 가진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기사용사업의 안전관리를 위한 다양한 요소가운데 우선적으로 적용되어야 하고 높은 관심을 가져야 하는 부분을 도출하는 것이므로 이를 위하여 중요도를 분석할 수 있는 AHP에 의한 의사결정방법을 적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 사고를 분석한 사고보고서를 살펴보면 사고의 대부분은 어처구니 없거나 상식 밖의 행동이 사고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나서 관련된 관리자 혹은 조종사의 관심으로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큰 아쉬움을 남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항공기사용사업체의 안전관리를 기본적인 부분부터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요소들을 확인하고, 이들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공운송사업에 대해 설명하시오. 항공운송사업이란 타인의 수요에 맞추어 항공기를 사용하여 유상으로 여객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사업을 말하며, 국내항공운송사업, 국제항공운송사업, 소형항공운송사업, 항공기사용사업으로 분류된다.[1] 이 가운데 항공기사용사업은 항공운송사업 외의 사업으로서 타인의 수요에 맞추어 항공기를 사용하여 유상으로 농약 살포, 건설 또는 사진촬영 등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업무를 하는 사업이며, 항공분야의 타 업종과 달리 다양한 분야의 업무를 수행하는 사업으로 농약살포, 공중광고, 사진촬영, 측량, 산불진압, 수색구조, 건설자재운반, 비행훈련, 고공낙하 및 글라이더 견인 등이 대표적이다.
항공기 사용 사업체의 문제점인, 조종사의 부족으로 계기비행 및 다양한 교육을 접하기 어려운 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또한 항공기사용사업체의 경우 조종사의 부족으로 계기비행 및 다양한 교육을 접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임무가 집중되지 않는 공한기를 활용한 집체교육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항공기사용사업의 경우 안전관리 부분에 있어서 근본적으로 인원의 부족, 지원인원의 미편재, 교육의 부재 등의 문제가 잠재되어있다.
항공기사용사업이 항공운송사업 중의 타 업종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 항공운송사업이란 타인의 수요에 맞추어 항공기를 사용하여 유상으로 여객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사업을 말하며, 국내항공운송사업, 국제항공운송사업, 소형항공운송사업, 항공기사용사업으로 분류된다.[1] 이 가운데 항공기사용사업은 항공운송사업 외의 사업으로서 타인의 수요에 맞추어 항공기를 사용하여 유상으로 농약 살포, 건설 또는 사진촬영 등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업무를 하는 사업이며, 항공분야의 타 업종과 달리 다양한 분야의 업무를 수행하는 사업으로 농약살포, 공중광고, 사진촬영, 측량, 산불진압, 수색구조, 건설자재운반, 비행훈련, 고공낙하 및 글라이더 견인 등이 대표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Korea Aviation Law, (201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 Flight Safety Regulations for Aeroplanes, 201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3. Airpotal(2015) 

  4. Park,Hyun Soon, (2013), Study Regarding the Logistics Center Evaluation Model Using the AHP and ANP Methods, Graduate School Myongj Uniersiy 

  5. Yong Jeong Kim(2014),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of Korea Air Logistics for Hubbing in Northeast Asia -Focused on the Experts Survey Using AHP Method, Journal of the Aviation Management Society of Korea, Vol.12 No.1. 

  6. Kim, Seon-nyeo(2015), Analysis of hospital entry errors cause with the SHELL model, Th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7. Chun-Yong Kim(2015), An Empirical Study on Safety Culture of Aviation Maintenance Organization in Korea, Korea Aerospace University. 

  8. A Study on the Human Factors Influencing on the Safety of the Training Flight, Seol EunSuk, 2011, Graduate School of Hanseo Uniersiy 

  9. HUMAN FACTORS CONTRIBUTION TO AVIATION SAFETY, INTERNATIONAL CONFERENCE of SCIENTIFIC PAPER AFASES 2015, Iulia Madalina Dumitru and Mircea Boscoianu. 

  10. Edwards, E., Man and Machine: Systems for Safety. In Proceedings of the British Airline Pilots Association Technical Symposium, London, UK: British Airline Pilots Association, pp.21-36, 19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