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직접 삼킴 치료가 삼킴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irect Swallowing Treatment on the Swallowing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Stroke Patient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8 no.9, 2013년, pp.1413 - 1420  

서은진 (군산의료원 작업치료실) ,  백현희 (군장대학교 작업치료과) ,  김정자 (호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직접 삼킴 치료가 삼킴 기능 회복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는 뇌졸중 환자 중 삼킴장애로 진단받은 1명의 환자를 2012년 12월 3일부터 동년 12월 21일 까지 3주간 실시하였다. 연구 디자인은 개별사례 연구 방법 중 반전 설계(AB)를 이용하였다. 직접 삼킴 치료는 주 5회, 1회기에 2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고, 결과는 기초선과 직접 삼킴 치료 기간의 점수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직접 삼킴 치료 후에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은 향상되었고 향상된 삼킴 기능은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임상에서는 직접 삼킴 치료가 가능한 대상자은 조기에 구강 섭취를 통한 직접 삼킴 치료를 실시해 환자들의 삼킴 기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rect swallowing treatment on recovering swallowing functions and quality of life. The study was performed over three weeks from December 3 to 21, 2012 for one dysphagia patient who was diagnosed with a stroke. The study design was carri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삼킴장애에 대한 연구는 장애의 발생 원인 및 자극 방법 등과 같은 기본적인 문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직접 삼킴 치료에 따른 기능 향상 정도를 살펴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으로 인한 삼킴장애 환자 중 직접 삼킴 치료에 적절한 대상자를 중심으로 직접 삼킴 치료를 적용하여 그 효과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삼킴장애 환자 중 기존에 간접 삼킴 치료를 받아온 환자를 대상으로 직접 삼킴 치료가 삼킴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직접 삼킴 치료가 삼킴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뇌졸중 환자 중 삼킴장애로 진단받은 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2012년 12월 3일부터 동년 12월 21일 까지 3주간 실시하였고, 연구 디자인은 개별사례 연구 방법 중비 동시적 중다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에 정상적인 혈액공급을 방해하는 뇌혈관 장애로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당 사망률이 남자 80.3명, 여자 53.
뇌졸중의 사망률은 어떻게 되나? 뇌졸중은 뇌에 정상적인 혈액공급을 방해하는 뇌혈관 장애로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당 사망률이 남자 80.3명, 여자 53.1명으로 단일질환으로서 남녀 사망 원인 제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중증질환이다[1].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의 양상은 손상된 부위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편마비, 삼킴장애, 감각 손상, 운동 손상, 인지 장애, 언어 장애, 시지각 장애 등의 문제를 보인다[2].
뇌혈관 장애로 생긴 뇌졸중으로 인해 생기는 후유증은 무엇인가? 1명으로 단일질환으로서 남녀 사망 원인 제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중증질환이다[1].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의 양상은 손상된 부위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편마비, 삼킴장애, 감각 손상, 운동 손상, 인지 장애, 언어 장애, 시지각 장애 등의 문제를 보인다[2]. 그 중 삼킴장애는 뇌졸중 이후 25~32%의 환자에게서 나타나며[3], 심할 경우 탈수, 폐혈증, 영양실조, 흡인성 폐렴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여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Pack, C.H, Moon, JH., "Rehabilitation Medicine", Hanmi Medica Publishing, 2007. 

  2. Mercier, L., Audet, T., Hebert, R., Rochette, A., Dubois, M. F., "Impact of motor, cognitive, and perceptual disorders on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fter stroke", Stroke, Vol. 32, No. 11, pp. 602-2608, 2001. 

  3. Daniel, S. K., Ballo, L. A., Mahoney, M. C., Foundas, A. L., "Clinical predictors of dysphagia and aspiration risk, outcome measures in acute stroke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Vol. 81, No. 8, pp. 1030-1033, 2002. 

  4. Barer, D. H., "The natural history and functional consequences of dysphagia after hemiplegic stroke",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Vol. 52, No. 2, pp. 236-241, 1989. 

  5. Langmore, S. E., Terpenning, M. S., Schork, A., Chen, Y., Murray, J. T., Lopatin, D., Loesche, W. J., "Predictors of aspiration pneumonia: How important is dysphagia?", Dysphasia, Vol. 13, No. 2, pp. 69-81, 1998. 

  6. Song, YJ., Lee, HS., Jung, YM., Park, SJ., Park, EJ., Yang, KH., Jang, KY., "Swallowing Disorder", Gyechuk Munwhasa, 2007. 

  7. Neumann, S., Bartolome G., Buchholz D., Prosiegel M., "Swallowing therapy of neurologic patients: correlation of out come with pretreatment variables and therapeutic methods", Dysphagia, Vol. 10, pp. 1-5, 1995. 

  8. Logemann, J. A., "Swallowing disorders", Best Practice and Research: Clinical Gastroenterology, Vol. 21, No. 4, pp. 563-573, 2007. 

  9. Perlman A., Lu C., Jones B., "Radiographic contrast examination of the mouth, pharynx and esophagus", Deglutition and Its Disorders, Vol. 19, pp. 153-199, 1997. 

  10. Robbins, J., Kays, S. A., Gangnon, R. E., Hind, J. A., Hewitt, A. L., Gentry, L. R., Taylor A. J., "The effects of lingual exercise i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88, No. 2, pp. 150-158, 2007. 

  11. Han, TL., Paik, NJ., & Park, JW., "The Functional Dysphagia Scale Using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23, No. 6, pp. 1118-1263, 1999. 

  12. Jung, SH., Lee, KJ., Hong, JB., & Han TL., "Validation of Clinical Dysphagia Scale: Based on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29, No. 4, pp. 343-350, 2005. 

  13. Trapl, M., Enderle, P., Nowotny, M., Teuschl, Y., Matz, K., Dachenhausen, A., Brainin, M., "Dysphagia bedside screening for acute-stroke patients: The Gugging Swallowing Screen", Stroke, Vol. 38, No. 11, pp. 2948-2952, 2007. 

  14. McHorney, C. A., Robbins, J. A., Lomax, K., Rosenbea, J. C., Chignell, K., Kramer, A. E., Bricker, E., "The SQAL-QOL and swal-care outcomes tool for oropharyngeal dysphagia in adults", Dysphagia, Vol. 17, No. 2, pp. 97-114, 2002. 

  15. Cha, TH., "Correlation Between Dietary Stages and Quality of Life Assessed by SWAL-QOL in Patients with Dysphagia",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Occupational Therapy Major, Master Thesis, 2009. 

  16. Dantas, R. O., Kern. M. K., Massey, B. T., Adodds, W. J., Kahrilas, P. T., "Effects of swallowed bolus variables on oral and pharyngeal phases of swallowing",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Vol. 258, pp. 675-681, 1990. 

  17. Logemann, J. A., "Swallowing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Otolaryngologic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21, pp. 613, 1998. 

  18. Greenblatt, D. Y., Sippel, R., Leverson, G., Frydman, J., Schaefer, S., Chen, H., "Thyroid resection improves perception of swallowing function in patients with thyroid disease", World Journal of Survey, Vol. 33, pp. 255-260, 2009. 

  19. Byona, N. A., Bitensky, J., Salter, K., Teasell, R., "The role of task-specific training in rehabilitation therapies",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Vol. 12, No. 3, pp. 58-65, 2005. 

  20. Kim, JJ, Kweom, EH, "A study on the therapists protective actions of medical information privacy-with a focus on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ist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 Vol. 7, No. 2, pp. 447-455, 2012. 

  21. Shim, JS, Seong, JM, Lee, MR, Song, "A study on adolescents misconceptions about oral health knowledge in some area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 Vol. 8, No. 1, pp. 181-189, 2013. 

  22. Ji, MG, Park, YN, "A Job analysis on oral health education task in dental hospital and clinic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 Vol. 7, No. 5, pp. 1235-1243,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