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체되먹임을 통한 삼킴훈련이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만족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wallowing Training with Biofeedback on Swallowing Function and Satisfac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4, 2017년, pp.63 - 71  

문종훈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작업치료학전공) ,  김규용 (강남구립행복요양병원 물리치료실) ,  원영식 (신성대학교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표면 근전도 생체되먹임을 통한 삼킴훈련이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식이수준, 만족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뇌졸중 후 삼킴장애 환자 16명이 참여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8명씩 무작위 할당되었다. 두 군은 4주간 주 5회, 하루 30분의 전통적 삼킴장애 치료를 받았다. 실험군은 표면 근전도 생체되먹임을 통한 삼킴훈련을 30분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였으며, 대조군은 삼킴훈련을 30분 수행하였다. 평가는 삼킴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능적 삼킴장애 척도와 침습-흡인 척도를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식이수준은 기능적 구강 섭취 척도를 이용하였다. 중재 후, 각 치료 만족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각상사 만족감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은 중재 전과 후로 삼킴기능과 식이수준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05). 중재 후, 두 군간의 치료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두 군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식이수준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05). 표면 근전도 생체되먹임을 통한 삼킴훈련은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식이수준 향상에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current investigation was identified to the effects of swallowing training with surface electromyography biofeedback on swallowing function and dietary level, satisfac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Sixtee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was participated in our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욱이 국내의 경우, 표면 근전도 생체되먹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었다 [11]. 이에 본 연구는 표면 근전도 생체되먹임을 통한 삼킴훈련이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식이수준, 만족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그 결과, 두 군은 중재 전과 후로 기능적 삼킴장애 척도, 침습-흡인 척도, 기능적 구강 섭취 척도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 본 연구는 표면 근전도를 이용한 생체되먹임 삼킴훈련을 수행하기 위하여 목뿔위근에 전극을 부착하였다. 삼킴장애 환자들에게는 목뿔위근의 근력 강화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며[7][17], 이 근육의 강화는 삼킴 동안 에 적절한 후두의 상승(laryngeal elevation)을 유발하여 기도 보호(airway protection)와 상부식도 조임근 열림을 향상시킨다[18].
  • 본 연구의 목적은 표면 근전도 생체되먹임을 통한 삼킴훈련이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식이수준, 만족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 더욱이 국내의 경우, 표면 근전도 생체되먹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었다 [11]. 이에 본 연구는 표면 근전도 생체되먹임을 통한 삼킴훈련이 삼킴장애가 있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식이수준, 만족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그 결과, 두 군은 중재 전과 후로 기능적 삼킴장애 척도, 침습-흡인 척도, 기능적 구강 섭취 척도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삼킴재활에서 구강인두 삼킴장애의 보상적인 치료전략으로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무엇인가? 삼킴재활에서 노력삼킴(effortful swallow)과 멘델슨 메뉴버(mendelsohn maneuver)는 구강인두 삼킴장애의 보상적인 치료전략으로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4][5]. 노력삼킴은 구강인두의 삼킴 압력과 혀 기저부의 뒤쪽 움직임을 증대시킨다[4].
삼킴장애는 무엇인가? 삼킴장애(dysphagia)는 음식이 구강에서 위까지 이동하는 과정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말한다. 뇌졸중 후 삼킴장애는 16-64%로 다양하게 보고되었다[1]. 뇌졸중 후 삼킴장애는 삼킴반사의 지연, 상부식도 조임근 열림 감소, 후두상승 저하와 같은 삼킴기능의 약화를 보인다[1-3].
생체되먹임의 기능은 무엇인가? 생체되먹임은 시각 신호 또는 청각 신호의 생리적인 정보를 즉각적으로 수치화시킬 수 있는 특별한 장비를 사용한다[8]. 이는 환자들의 생리적인 변화를 유도하여 수행의 증진을 도모하고 감각을 향상하도록 돕는다[9]. 생체되먹임은 시각 및 청각적 감각입력으로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신경계 손상이 있는 환자들의 재활을 위해 권고되는 방법이다 [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G. Mann, G. J. Hankey, and D. Cameron, "Swallowing function after stroke: Prognosis and prognostic factors at 6 months," Stroke, Vol.30, No.1, pp.744-748, 1999. 

  2. T. C. Drulia and C. L. Ludlow, "Relative efficacy of swallowing versus non-swallowing tasks in dysphagia rehabilitation: current evidence and future directions," Current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reports, Vol.1, No.4, pp.242-256, 2013. 

  3. 문종훈, 김희진, 강민규, 원영식, "혀 근력 및 정확도 훈련이 삼킴장애가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혀 근력, 삼킴기능,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288-297, 2016. 

  4. M. L. Huckabee, S. G. Butler, M. Barclay, and S. Jit, "Submental surface electromyographic measurement and pharyngeal pressures during normal and effortful swallowing,"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6, No.11, pp.2144-2149, 2005. 

  5. G. H. McCullough, E. Kamarunas, G. C. Mann, J. W. Schmidley, J. A. Robbins, and M. A. Crary, "Effects of Mendelsohn maneuver on measures of swallowing duration post stroke.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Vol.19, No.3, pp.234-243, 2012. 

  6. M. L. Huckabee and M. P. Cannito, "Outcomes of swallowing rehabilitation in chronic brainstem dysphagia: A retrospective evaluation," Dysphagia, Vol.14, No.1, pp.93-109, 1999. 

  7. L. M. Burkhead, C. M. Sapienza, and J. C. Rosenbek, "Strength-training exercise in dysphagia rehabilitation: Principles, procedure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Dysphagia, Vol.22, No.2, pp.251-265, 2007. 

  8. H. C. A. Bogaardt, W. Grolman, and W. J. Fokkens, "The use of biofeedback in the treatment of chronic dysphagia in stroke patients," Folia Phoniatr Logop, Vol.60, No.4, pp.200-205, 2009. 

  9. M. A. Crary, "A direct intervention program for chronic neurogenic dysphagia secondary to brainstem stroke," Dysphagia, Vol.10, No.4, pp.6-18, 1995. 

  10. H. Huang, S. L. Wolf, and J. He, "Recent developments in biofeedback for neuromotor rehabilitation,"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Vol.3, No.1, pp.156-163, 2006. 

  11. 강승희, 허진강, 김희수,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료과학회지, 제5권, pp.5-12, 2013. 

  12. M. A. Crary, G. D. Carnaby, and M. E. Groher, "Helseth E. Functional benefits of dysphagia therapy using adjunctive sEMG biofeedback," Dysphagia, Vol.19, pp.160-164, 2004. 

  13. T. R. Han, N. J. Paik, and J. W. Park, "Quantifying swallowing function after stroke: a functional dysphagia scale based on videofluoroscopic studi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2, No.5, pp.677-682, 2001. 

  14. J. C. Rosenbek, J. A. Robbins, E. B. Roecker, J. L. Coyle, and J. L. Wood, "A penetration-aspiration scale," Dysphagia, Vol.11, No.2, pp.93-98, 1996. 

  15. M. A. Crary, G. D. C. Mann, and M. E. Groher, "Initial psychometric assessment of a functional oral intake scale for dysphagia in stroke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6, No.8, pp.1516-1520, 2005. 

  16. A. J. Singer, "Determination of the minimal clin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a patient visual analog satisfaction scale," Academic emergency medicine, Vol.5, No.10, pp.1007-1011, 1998. 

  17. 김본이, 이슬, 문종훈, 원영식, "삼킴장애가 있는 뇌졸중 노인 환자에서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과 Shaker 운동의 목뿔위 및 목빗근 활성 비교," 재활복지, 제20권, 제3호, pp.179-193, 2016. 

  18. 문종훈, 김희진, 서진영, 홍덕기, "비디오 투시조영 검사를 통한 높은 점도의 음식 삼킴훈련이 삼 킴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자통신학회, 제9권, 제11호, pp.909-916, 2016. 

  19. R. Bonita and R. Beaglehole, "Recovery of motor function after stroke," Stroke, Vol.19, No.12, pp.1497-1500, 1988. 

  20. M. Bryant, "Biofeedback in the treatment of a selected dysphagic patient," Dysphagia, Vol.6, No.1, pp.140-144, 1991. 

  21. 권진, "노인요양병원 선택요인이 환자만족도와 재이용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0호, pp.301-311, 2011. 

  22. 김세연, "정상노인의 삼킴관련 삶의 질이 노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288-297,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