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유아교사의 협동학습에서의 갈등경험 의미 탐색
A Research on Meaning of Conflict Experience in Cooperative Learning Activ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6, 2016년, pp.45 - 52  

마지순 (원광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  안라리 (광양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의 협동학습 과정에서 출현하는 갈등경험과 갈등해결 경험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과정의 의미를 알아봄으로써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바람직한 협동학습이 진행 될 수 있는 기초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W대학에 재학 중인 85명의 예비유아교사로 저널쓰기, 비형식적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는 협동학습에서 구성원 모임, 공정성, 대인관계 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는 협동학습과정에서 모임시간의 자율성을 확보하고, 반성적 사고, 동료 간의 정서적 지지, 타인 이해 하기, 함께 하는 시간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하는 갈등 경험의 의미는 지각된 책임감의 형성, 타인 배려를 통한 자신의 성장, 호혜적 이타성 경험, 협동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구성원이 함께 직접 만나 협동학습을 하는 시간의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과, 갈등해결을 위하여 교수자는 적절한 시기에 학습자의 공정한 참여와 평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협동 학습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제공할 때 협동학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conflict experience in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were 8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W universit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unstructured interviews and journal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의 협동학습 과정에서 출현하는 갈등의 경험과 갈등해결 경험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과정의 의미를 알아봄으로써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바람직한 협동학습이 진행 될 수 있는 기초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자료분석과 해석에 대한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범주별, 그리고 범주 내 자료의 적합성을 유아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인 2인의 전문가와 반복적으로 검토 및 확인과정을 거치면서 연구의 주제, 목적과 관련성 및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연구자들이 분석한 범주의 의미와 다르거나 내용이 다르게 나타난 것들에 대한 수정 및 확인과정에 참여하였다. 자료분석 초기에는 예비유아교사들이 협동학습 과정에서 경험하는 모든 것들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나 분석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연구자와 전문가들은 초기 연구주제인 협동학습 과정에서의 모든 경험이었던 것을 갈등경험으로 구체화하는 것에 합의하였다.
  • 자료분석 초기에는 예비유아교사들이 협동학습 과정에서 경험하는 모든 것들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나 분석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연구자와 전문가들은 초기 연구주제인 협동학습 과정에서의 모든 경험이었던 것을 갈등경험으로 구체화하는 것에 합의하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이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긍정적,부정적인 면들이 분석되었지만 협동학습의 효과에 대한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좀 더 긍정적인 해결방안들을 분석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구성원이 함께 직접 만나 협동학습을 하는 시간의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과, 갈등해결을 위하여 교수자는 적절한 시기에 학습자의 공정한 참여와 평가에 대한 점수와 피드백을 제공하고, 협동학습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제공할 때 협동학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의 협동학습 과정에서 어떠한 갈등을 경험하며 갈등 해결의 경험을 알아보고, 이러한 과정의 의미를 알아봄으로써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바람직한 협동학습 활동이 진행 될 수 있는 기초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예비유아교사와 함께 협동학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에 대해 이해하고 갈등해결 과정과 갈등경험이 갖는 의미에 대해 탐색함으로써 협동 학습의 긍정적 방향을 모색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단기간동안 소수의 연구자를 대상으로 제한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했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협동학습 과정에서의 나타나는 갈등경험은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협동학습이란 무엇인가? 대학교육의 패러다임이 교수(teaching)에서 학습(learning)으로 변화되면서 협동학습은 학습자가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소집단을 이루면서 주도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고 구성원들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서로의 학습에 도움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스스로의 학습 성취를 극대화하는 과정이기 때문에[1,2] 교수중심이 아니라 학습중심이 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었다. 또한 학습자가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의사소통능력, 공동체에서의 문제해결 능력 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협동학습은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3].
협동학습은 개별학습과 비교하여 어떤 긍정적 효과를 가지는가?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협동학습은 사회적 응집성을 위한 긍정적 상호의존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9]. 한 집단안의 구성원들이 다양한 잠재력이 다른 구성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결국 집단구성원들은 단순한 개인들의 합 이상의 더 큰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10]. 이렇듯 협동학습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바라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에서 학생들은 조 구성원들과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과제성취도가 높아진다[9].
협동학습의 장점은 무엇인가? 대학교육의 패러다임이 교수(teaching)에서 학습(learning)으로 변화되면서 협동학습은 학습자가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소집단을 이루면서 주도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고 구성원들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서로의 학습에 도움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스스로의 학습 성취를 극대화하는 과정이기 때문에[1,2] 교수중심이 아니라 학습중심이 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었다. 또한 학습자가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의사소통능력, 공동체에서의 문제해결 능력 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협동학습은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3]. 이는 협동학습이 전통적 수업 방법을 보충하는 방안으로서가 아니라 학교 학습상황을 조직하는 하나의 대안적 수단으로써 관심을 받고 있음을 나타낸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E. J. Kim, S. L. Do, "The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competence, relatedness, intrinsic motivation and engagement in cooperative 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23, no.1, pp. 181-196. 2009. 

  2. Johnson, D. W., & Johnson, F. P., "Joining together" Group theory and group skills(7 th ed.)," Boston: Allyn & Bacon. 2000. 

  3. H. J. Kim, S. K. Kim, M. G. Kim, "The study on evaluation of team grouping method using cooperative education program,"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0, no. 6, pp. 125-130. 2010. 

  4. E. Y. Choi. "Learners' experiences during cooperative learning, in college english reading classroom," English 21, vol. 20, no. 1, pp. 133-180. 2007. 

  5. H. S. Kang, M. C.l Kang,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 15, no. 1, pp. 69-82. 2006. 

  6. Fantuzzo, J. W., Riggio, R. E., Connelly, S., & Dimoff, L. "A. Effects of reciprocal peer tutor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 component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 pp. 173-177, 1989. DOI: http://dx.doi.org/10.1037/0022-0663.81.2.173 

  7. J. S. Hee. "The Effects of the Discussion and Debate-Based Class in Jigsaw Cooperative Learning Settings on TOEIC Learners -Focused on Learning Attitudes and Motivation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vol. 22, no. 4, pp. 181-206. 2014. 

  8. Cohen, E. G, "Restructuring the classroom conditions for productive small group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 64, no. 1, pp. 1-35. 1994. DOI: http://dx.doi.org/10.3102/00346543064001001 

  9. Johnson, D. W., & Johnson, R. T. "Positive interdependence: Key to effective cooperation," In R. Hettz-Lazaowitz & N. Miller(Eds., pp. Interaction in cooperative group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74-197, 1992. 

  10. J. Y. Choi,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Brain-Science," Institute of Brain Education vol. 1, no. 1, pp. 129-146. 2006. 

  11. Ames, C. "Achievement attributions and self-instructions under comparative and individualistic goal structur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76, no. 3, pp. 478-487, 1984. DOI: http://dx.doi.org/10.1037/0022-0663.76.3.478 

  12. M. K. Lee, "The effects of TOEIC reading comprehension classes using STAD cooperative learning," Modern English Education, vol. 13, no. 3, pp. 125-148. 2012. 

  13. Brooks, C. M, & Ammons, J. L. "Free riding in group projects and the effects of timing, frequency, and specificity of criteria in peer assessments," Journal of Education for Business, 77, pp. 268-272, 2003. DOI: http://dx.doi.org/10.1080/08832320309598613 

  14. T. H. Noh, K. H. Yeo, K. M. Jeon, Instructional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in problem solving strateg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ol. 19, no. 4, pp. 635-644, 1999. 

  15. S. L. Do. E. J. Kim, "The actions and interactions between content and social aspect in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situat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21, no. 4, pp. 1047-1070, 2007. 

  16. Y. M. Choi, "Learners' evaluation on team learning activities in college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vol. 22, no. 4, pp. 143-163. 2010. 

  17. Creswell, J. W, "Research design-Qualitative & Quantitative approaches," Thousand Oak,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Ins. 1994. 

  18. Bogdan, C., & Biklrn, S. K,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MA: Allyn & Bacon. 2007. 

  19. K. Ho, "A study of perception of official's outcome evaluation on justice factor," Korean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Review, vol. 11, no. 3, pp. 309-330. 2012. 

  20. S. T. Hong, S. K. Lee, "An analysis of korean college student' s verbal interactions during their cooperative reading activity,"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vol. 55, no. 3, pp. 555-594. 2013. 

  21. H. M. Kang, & K. J. Choi,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y Ownership and Role Differentiation among Sport Group Member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38, no. 3, pp. 69-76. 1999. 

  22. M. S. Lee, "Narrative inquiry on experiences and recognition about care-oriented morality of student teachers," Journal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38, pp. 155-176.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