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 기반 군수품 품질정보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Munition's Quality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6, 2016년, pp.315 - 325  

전수연 (국방기술품질원) ,  이동헌 (국방기술품질원) ,  배만재 (국방기술품질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방산업에 관련된 데이터의 양적팽창과 기술성장에 따라, 유의미한 품질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통해 정책 제정 및 품질보증 업무에 활용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데이터에 기반한 경향 파악 및 의사결정 도출은 다수의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업무의 생산성을 높이고 새로운 기회를 발견하는 핵심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국방산업에서는 개발단계부터 양산단계까지 다양한 품질정보들을 수집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 기반의 업무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축적된 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정보체계 운용을 통해 신뢰성이 확보된 군수품의 품질정보를 수집하여 정형화된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사용자가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종합표준플랫폼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종합표준플랫폼은 군수품시험성적서 정보시스템(Test Report Information Service for Military Supplies, TRIS 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수행하였으며, TRIS 시스템을 통해 축적되는 정형 데이터의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국방산업 비정형 데이터 활용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방산업의 데이터 인프라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종합표준플랫폼을 통해 수집된 정보들은 군수품 품질보증에 관한 무기체계 별 전략 수립 및 동향 파악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expansion of data and technical progress in the military industry, it is important to extract meaningful information for assuring quality and making policies. The analysis of trends and decision making based on big data is helpful for increasing productivity in business and finding new b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군수품 품질정보 활용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빅데이터 기반 환경 조성의 필요성 및 국가적 차원에서의 국방 정보자원의 통합·공유를 제안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빅데이터 활용 연구, 품질정보 시스템 및 군수품 품질데이터 활용 연구사례를 분석하여 군수품 품질정보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플랫폼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시스템 구축 방안과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의 TRIS 시스템을 고도화하여 정형화된 빅데이터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정형화된 시험성적 결과를 수신하기 위하여 군수품 시험성적서 정보체계와 공인시험기관 정보체계 간 양방향 데이터 연계 처리를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시험기관 시스템의 시험성적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TRIS 시스템으로 의뢰되는 시험의뢰서들을 시험기관에서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데이터 신뢰성을 확보하고, 빠른 시간 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도록 하였다.
  • 하지만 아직까지는 군수품의 전반적인 품질문제의 동향을 파악하여 정책수립에 국방 분야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례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빅데이터의 비정형데이터 활용을 통한 동향파악 및 군수품 품질정보 데이터 활용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위한 키워드 기반 네트워크 분석법을 제안하였다.
  • 정형화된 빅데이터의 구축 범위는 품질보증활동 중 수집되는 군수품의 계약번호, 시험기관, 시험일자, 시료번호, 시험 결과치 등 정형화가 가능한 데이터로 한정하였다. 또한, 전자 및 전자화 문서 형태의 시정조치요구서, 품질보증일지 등과 같은 비정형 데이터를 정형화 데이터에 연계시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군수품 시험분석 정보체계 구축을 시작으로, 군수품 품질보증 종합 플랫폼을 구축할 것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품질정보시스템은 TRIS 시스템의 고도화를 통해 수집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공정능력 및 통계적 품질관리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TRI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공정능력 정보는 시험일자, 시료 명, 시험항목, 시험방법, 시험결과를 제공하며, 정부규격의 합부 여부를 빅데이터와 연계하여 시스템에서 판단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이 확보된 군수품 품질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공인시험기관과 데이터 연계를 통해 지속적으로 군수품 품질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였다. 또한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한 통계기능 및 공정능력 평가 플랫폼을 구축하여 사용자가 시각화 자료를 활용할 수 있고, 군수품 별 품질동향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상기 선행연구의 품질정보시스템 플랫폼은 품질 이력관리, 성적서의 신뢰성 확보, 정보연계, 품질해석 및 추적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품질관리시스템 플랫폼 제공을 통해 정부의 위험관리(Riskmanagement)기반의 품질보증활동 및 하도급업체 관리방안 수립, 중소기업의 품질관리에 대한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시험성적서 신뢰성 확보 및 정보연계 기능이 탑재된 군수품 시험성적서 정보체계에 구축된 빅데이터를 활용한 품질해석 및 품질추적관리 기능을 추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빅 데이터는 무엇인가? 빅 데이터는 정형화 혹은 비정형화 데이터를 구분하지 않는 대량의 데이터 세트로, 순환속도가 빠르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10]. 최근 IT(Information Technology),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기술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정보채널이 등장하여 언제 어디서든 최신화 된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었다.
현재 군수품 시험성적서 정보체계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재 국방 분야에서는 군수품 시험성적서 정보체계(Test Report Information Service for Military Supplies, TRIS 시스템)를 통해 계약업체의 시험분석 의뢰에서 시험성적서 확인까지 품질보증기관에서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무기체계에서 성적서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다[8]. 하지만, 실질적인 종합데이터 축적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으며, 여러 분야의 계약업체 등에 의하여 산발적으로 데이터를 축적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렇게 각 업체 및 분야별로 수집된 데이터는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의 비정형성은 데이터 해석 오류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9]. 또한, 정보체계 사용자가 원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추출할 때 수작업으로 데이터를 수집해야하기 때문에 데이터 분석에 제한이 있었다. 또한, 정보체계를 통한 유효 데이터 추출 및 분석의 한계로 업체의 공정능력지수 및 공정성능 지수 등 품질수준이 점차 향상되고 있는지 알 수가 없었으며, 오직 규격에 의한 합부만을 판정함에 따라, 업체의 자발적인 품질개선 의지 저하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데이터 기반의 패턴분석의 장점은 무엇인가? 데이터를 통한 새로운 가치와 가능성에 집중하는 ‘빅 데이터(Big Data)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데이터의 양적팽창을 활용하는 것이 새로운 기회를 발견하는 핵심 수단이 되었다[1]. 데이터 기반의 패턴분석은 다수의 상황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 할 수 있으며, 기업과 공공부문의 생산성을 높여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2-3]. 이에 따라 공공부문의 빅 데이터 활용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브라질의 재난 발생 대응시스템, 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노선 결정 사례 등이 있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 Park, "New Possibilities and Strategies of Big Data Era", Korean Society of Hazzard Mitigation Congress, pp.179, 2013. 

  2. M. Gang, S. Kim, S. Park, "Analysis and Utilization of Big data",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Vol.30, No.6, pp.25-32, 2012. 

  3. McKinsey Global Institute, "Big data: The next frontier for innovation, competition, and productivity", 2011 

  4. S. Lee, D. Lee, "Current Status of Big Data Utiliz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1, No.2, pp.229-233, 2013. 

  5. G. No, "A Study on Utilization Strategy of Big Data for Local Administration by Analyzing Ca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1, pp.89-97, 2014. DOI: http://dx.doi.org/10.14400/JDPM.2014.12.1.89 

  6. B. Lee, Y. Seo, "A Design of Operational Test & Evaluation System for Weapon Systems thru Process Based Modeling",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Vol.23, No.4, pp.211-218, 2014. 

  7. D. Lee, J. Seo, G. Nah, S. Hong, "Quantitative Analysis of Fat, Protein, Moisture, and Salt in Meat Products by Near Infra-Red",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 19, pp.154-160, 2015. 

  8. D. Lee, S. Jeon, M. Bae, "A Study on Test Report Information Service Architecture for Preventing Forgery and Alteration in Defense Industry",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April, 2016. (To be published) 

  9. G. Min, D. Jeong, "Research on Assessment of Impact of Big Data Attributes to Disaster Response Decision-Making Process",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ol.18, No.3, pp.17-43, 2013. 

  10. J. Lee, C. Hong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s for Big Data at a Corporation - Cases of A and Y Corporation Big Data System Projec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15, No.1, pp.103-112, 2014. DOI: http://dx.doi.org/10.9708/jksci.2014.19.7.103 

  11. IDC, "Extraction Value from Chaos", 2011. 

  12. H. Kim, "The Utilization Method of Public Information and Change of IT Paradigm in Big Data",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Government Studies. Vol.22, No.3, pp.277-302, 2012. 

  13.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A Conceptual Study for Establishing System for Defense Quality", 2015. 

  14. K. Yoon, S. Park,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Shelf-life for 155mm propelling charge KM4A2 using ASRP's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Quality Management, Vol.42. pp. 291-300, 2014. DOI: http://dx.doi.org/10.7469/JKSQM.2014.42.3.291 

  15. J. Kang, D. Shin, S. Hong, "A Study on Analysis of Digital Textile's Physical Characteristics by Data Mi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2014. 

  16. D. Lee, T. Kim,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y using multi media technology.",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4, No.4, pp.78-88, 2000. 

  17. H. Jung, "Developing the Design Quality Information System in Industry of Automobile Parts", Society of CAD/CAM Engineers Congress. 

  18. Y. Kim, "A study on Computerization Method for the Quality Test Management System in Construction materials" Korea Computer Congress, Vol.39, pp.37-39, 2012. 

  19. J, Yoon, B. Ryue, S. Lee, "Development of Quality-Based Project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pp. 479-480, 2013. 

  20. Y. Kim, W. Jung, J. Choi, W. Kim, D. Kim, W. Gu, J. Noh, S. Kim, K. Kim, D. Lee, I. Lee, G. Youn, J. Yu, J. Kim, Y. Kim, "Introduction to Defense quality management", Hyungsul, 2010. 

  21. B. Kim, M. Jung, S. Jeon, D. Shin, "Global Research Trends on Geospatial Information by Keywor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ol.23, No.1, pp.69-77, 2015. DOI: http://dx.doi.org/10.9708/jksci.2015.20.10.069 

  22. J. Kho, K. Cho, Y. Cho, "A Study on Recent Research Trend in Management of Technology Using Keywords Network Analysis", Journal of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 Vol.19, No.2, pp.101-123, 2013. DOI: http://dx.doi.org/10.13088/jiis.2013.19.2.101 

  23. H. W. Park, Loet Leydesdorff, "Understanding the KrKwic: A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Korean tex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6, No.5, pp.377-387, 2004. 

  24. S. Jeon, "The Expectation and Reality of Big Data", LG Business Insight, 2012. 

  25. J. Park, G. Park, Y. Lee, "Big data as new technology paradigm",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Vol.23, No.3, pp. 17-30,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