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외 선진국 규정 분석을 통한 국내 정부품질보증 효율성 향상 방안
Improving Government Quality Assurance Efficiency by Analyzing Related Instructions of Advanced Countries 원문보기

品質經營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v.45 no.3, 2017년, pp.335 - 347  

서상원 (국방기술품질원 품질경영운영실) ,  노태주 (국방기술품질원 품질경영운영실) ,  변재현 (경상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Defense government agencies in the world continuously try to improve operational efficiency in government quality assurance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some suggestions to enhance efficiency of government quality assurance (GQA) activit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CMA와 NATO를 비롯한 해외 정부품질보증 제도에서는 사업장단위 품질보증을 지향하고 있는데, 이를 통하여 담당 품보원이 동일업체 유사품목들에 대해서는 일괄적으로 보증 업무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품보활동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것이다. 현재 기품원의 경우에는 품목 단위로 품보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품보원이 사업장 내유사 품목에 대해서 중복된 품보활동을 수행하거나 품질 안정화가 이루어진 품목에 대해서도 전 단계의 품보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업무 효율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군수품이 아닌 일반 공공기관 물자의 구매공급을 담당하는 조달청도 예산 절감 및 업무 효율성을 위해 조달업체의 품질관리 능력을 평가한 후, 우수 업체에 대해서는 일정기간 납품검 사를 면제하는 ‘품질보증조달물품’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PPS, 2017).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진 기관의 품질보증활동(품보활동)을 분석하고 국내 정부품질보증 프로세스의 문제점을 식별하여 정부품질보증활동(정부품보활동)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위에서 제시한 기존 문헌들은 정부품보활동의 특정 분야에 대한 개선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반면 전반적인 정부품보활동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품보활동의 전 과정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고, 해외 선진기관의 품질보증제도와 국내의 정부품보활동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정책적인 개선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미 군수품 정부품질보증기관인 DCMA와 유럽 정부품보활동에 공통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AQAP-2070 교범을 전체적인 프로세스 관점에서 분석하여 현재 기품원이 수행하는 양산단계 군수품 정부품질보증 활동의 품질보증 효율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 DCMA의 경우 제품을 실제로 검사하는 업무에서 프로세스 중심의 예방 중심 품보활동으로의 전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NATO AQAP-2070에서도 위험도에 따른 정부품질보증방법을 명시함으로써 업무를 수행하는 품보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른 업무 수행의 차이를 줄여 일관된 품보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단위 품질보증, 공급업체 위험관리,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위조품 관리 방안 등 한정된 인력으로 품보활동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해외 선진 품질보증기관으로 대표되는 미국 국방계약관리국(Defense Contract ManagementAgency; DCMA) 및 북대서양조약기구(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에서 군수품 품질보증에 적용하고 있는 규정과 절차 및 활동 사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국내 군수품 품질보증 분야의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DCMA는 1960년대 초부터 미국의 군수품 계약관리 및 품질보증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현재는 미국 내를 포함하여 전 세계 19,600 계약업체를 대상으로 347,000건의 계약을 담당하고 있다(DCMA, 2017b).
  • 본 절에서는 DCMA 지침의 주요 변경 사항들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국내 품질보증 기관인 기품원에서의 각 항목별 대응 현황을 분석한 후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DCMA의 지침은 DCMA 홈페이지(DCMA, 2017a) 규정 항목에서 열람이 가능한데, 본 연구에서는 2017년 기준으로 품질보증 관련 지침 31개를 검토하고, 31개 지침 중 기품원의 업무와 유사성을 가진 [Table 1]의 12개 지침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절에서는 기품원의 군수품 품질보증 기본 규정, DCMA의 품질보증 지침, NATO AQAP-2070을 정부품질보증의 각 단계인 계약서 검토, 정부품보활동 계획수립, 정부품보활동 실시, 수락 및 납품, 위험추적 및 피드백 측면에서 상호 비교하고자 한다. 국내 기품원에서는 ‘군수품 품질경영 기본 규정’을 바탕으로 군수품 품질보증을 실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품질경영시스템 평가란 무엇인가? 정부품보활동은 품질경영시스템(Quality Management System; QMS) 평가, 프로세스검토(Process Review;PR), 제품확인감사(Process Examination; PE)로 분류할 수 있다. 품질경영시스템 평가는 업체의 품질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 충족여부를 검토하는 것으로 해당 규격의 이행여부를 평가하고 필요시 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이다. 프로세스 검토는 제조 및 생산 프로세스를 확인하고 검증하는 것으로서 프로세스에 따라 방법 및 심도를 조정할 수 있다.
정부품보활동은 무엇으로 분류되는가? 정부품보활동은 품질경영시스템(Quality Management System; QMS) 평가, 프로세스검토(Process Review;PR), 제품확인감사(Process Examination; PE)로 분류할 수 있다. 품질경영시스템 평가는 업체의 품질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 충족여부를 검토하는 것으로 해당 규격의 이행여부를 평가하고 필요시 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이다.
기존에 연구된 군수품 정부품질보증 향상에 관한 국내 문헌의 한계는 무엇인가? 위에서 제시한 기존 문헌들은 정부품보활동의 특정 분야에 대한 개선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반면 전반적인 정부품보활동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품보활동의 전 과정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고, 해외 선진기관의 품질보증제도와 국내의 정부품보활동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정책적인 개선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hn N. S. 2015. "Suggestion for Enhancement of Product Examination Government Quality Assurance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43(3):327-340. 

  2. Ahn N. S. 2015. "Suggestion for Change in Risk Management based on Government Quality Assurance Activities of Military Suppli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9):5914-5923. 

  3. Defense Contract Management Agency(DCMA). 2013. Government Contract Quality Assurance (GCQA) Surveillance Planning DCMA-INST 309. 

  4. Defense Contract Management Agency(DCMA). 2013. Process Review - QA DCMA-INST 311. 

  5. Defense Contract Management Agency(DCMA). 2013. Product Examination DCMA-INST 324. 

  6. Defense Contract Management Agency(DCMA). 2015.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DCMA-INST 323. 

  7. Defense Contract Management Agency(DCMA). 2015. Counterfeit Mitigation DCMA-INST 1205. 

  8. Defense Contract Management Agency(DCMA). 2017. DCMA policy lists, Accessed May 10. http://www.dcma,mil/POLICIES. 

  9. Defense Contract Management Agency(DCMA). 2017. Introduction to DCMA, Accessed May 16. http://www.dcma.mil. 

  10.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DTaQ). 2016. Military Supplies Quality Management Basic Regulation, Revised on September 28. http://www.DTaQ.re.kr. 

  11.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DTaQ). 2017. Organization Journal Summer. 

  12.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GAO). 2016. Counterfeit Parts: DoD needs to improve reporting and oversight to reduce supply chain risk. 

  13. Kim, Y. S., Choi, J. S., Kim, D. H., Noh, J. Y., Kim, K. Y., Lee, I. H., Yoo, J. M., Kim, Y. H., and Jung W. K. 2010. Defense Quality Management, Hyungseul Press. 

  14. NATO Standardization Office(NSO). 2015. NATO Mutual Government Quality Assurance(GQA) Edition B, Version 3. 

  15.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NATO). 2017. http://www.nato.int/cps/en/natohq/topics_124879.htm, Accessed May 18, 2017. 

  16. Public Procurement Service(PPS). 2017. http://pps.go.kr, Public Procurement Service of Korea homepage accessed August 22, 2017. 

  17. Shin, B. C., Byun, J. H., Lee, C. W., Lee, K. Y., Choi, J. S., Woo, H. S., and Seo, B. G. 2015. "Small-Sample Inspection Plans for the New Product Quality Level Evaluation of Finite Population : Focused on Guided Weapons in Development Stag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41(5):481-487. 

  18. Shin B. C., Hwang W. Y., Ahn N. S., Kim D. H., Lee G. L., Jang B. K., and Byun J. H. 2016. "Suggestions on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quality assurance activities for military supplies in production st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44(1):153-1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