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리놀레인산에 7종의 산화방지제를 각각 0.02% 농도로 첨가하여 $50^{\circ}C$의 dry oven에서 8일간 자동산화 시키면서 이들 산화방지제의 잔존량 및 산화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잔존량은 HPL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산화안정성은 과산화물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잔존량은 0일째(100%)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율을 측정하였고, 또한 잔존량을 이용하여 100-잔존량(%)으로 손실률(%)을 계산하였다. 산화방지제 손실률과 과산화물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잔존량 분석 결과 tert-butylhydroquinone(TBHQ)> dodecyl gallate(DG)> octyl gallate(OG)> propyl gallate(PG)> butylated hydroxyanisole(BHA)> 2,4,5-trihydroxybutyrophenone(THBP)> butylated hydroxytoluene(BHT) 순으로 낮은 잔존량을 나타내었으나, BHA 같은 경우 다른 실험군에 비해 8일째의 잔존량이 4일째의 잔존량에 비하여 감소량이 크지 않았으며 TBHQ은 4일째의 잔존량이 이미 0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어 8일째의 잔존량과 큰 차이가 없었다. 과산화물가 측정 결과 대조군> TBHQ> DG> OG> PG> BHA> THBP> BHT 순으로 높은 과산화물가를 보였으며 산화방지제 손실률과 과산화물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상관관계(correlation coefficient, $R^2$)는 0.3913~0.9963의 범위로, 특히 BHT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R^2$=0.9963)를 보였다. BHA와 TBHQ를 제외한 대부분의 실험군에서 $R^2$ 값은 0.8769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자동산화 과정에서 리놀레인산 기질 내 산화방지제의 잔존량과 기질의 산화안전성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ssess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residue level of phenolic antioxidants in autoxidation of linoleic aci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ic antioxidants was measured based on peroxide value of linoleic acid at $50^{\circ}C$ for 8 days. We further evaluated the residue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페놀계 산화방지제 중에서 국내에서 식품첨가물로 지정된 BHT, BHA, TBHQ 및 PG 등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아직 국내 식품첨가물로 지정되지 않은 dodecyl gallate(DG), octyl gallate(OG) 및 2,4,5-trihydroxybutyrophenone(THBP) 등에 대한 산화안정성 및 잔류량 분석 연구는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식품첨가물로 미지정된 산화방지제(DG, OG, THBP)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페놀계 산화방지제 7종(PG, DG, OG, BHA, BHT, TBHQ, THBP)을 리놀레인산(linoleic acid) 기질에서 자동산화(50 °C) 하는 동안 이들 산화방지제에 의한 산화안정 효능 및 잔존량을 분석하여 산화방지제 손실률에 따른 산화안정성과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지의 산화의 구분은? 유지의 산화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낮은 온도에서 일어나는 자동산화와 극히 고온에서 일어나는 가열산화로 구분할 수 있다. 실온에서의 유지의 변패는 주로 낮은 온도에서 일어나는 자동산화에 의한 것이며, 유지의 자동산화는 수소 분자가 이탈되어 생성된 자유 라디칼에 산소 분자가 작용하여 과산화물을 형성하는 산화로 이 과정은 열, 빛, 과산화물, 효소, 금속이온 등에 의해 촉진되며 EDTA 같은 금속제거제나 각종 산화방지제는 이들 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다(3,4).
유지를 가열산화시키면 어떤 물질이 생성되는가? 가열산화는 고온에서 일어나는 산화로 일반적으로 자동산화보다 유지분자의 탄소-수소 결합을 끊을 충분한 에너지가 제공되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보다 쉽게 수소가 이탈하여 산화속도가 빠르다(5). 유지를 고온에서 가열하면 지방질의 산화, 중합 및 분해 반응이 촉진되고 이로 인해 생성된 과산화물들이 기름 내 축적된다. 그리고 이들이 분해되어 알데하이드 및 케톤 등의 2차 산화 물질이 생성된다. 가열산화로 인해 식품의 색의 변화가 생기고 점도, 유리지방산 및 과산화물이 증가하며, 이로 인해 식품의 맛과 향기를 변화시키고 품질을 저하할 뿐 아니라 산화된 식품을 섭취시 체내의 암, 동맥경화 및 노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9).
자동산화를 방지하는 것은? 유지의 산화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낮은 온도에서 일어나는 자동산화와 극히 고온에서 일어나는 가열산화로 구분할 수 있다. 실온에서의 유지의 변패는 주로 낮은 온도에서 일어나는 자동산화에 의한 것이며, 유지의 자동산화는 수소 분자가 이탈되어 생성된 자유 라디칼에 산소 분자가 작용하여 과산화물을 형성하는 산화로 이 과정은 열, 빛, 과산화물, 효소, 금속이온 등에 의해 촉진되며 EDTA 같은 금속제거제나 각종 산화방지제는 이들 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다(3,4). 가열산화는 고온에서 일어나는 산화로 일반적으로 자동산화보다 유지분자의 탄소-수소 결합을 끊을 충분한 에너지가 제공되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보다 쉽게 수소가 이탈하여 산화속도가 빠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i H, Choe E. 2009. Comparison of autoxidative stability and minor compounds in oils extracted from bran and germ of Keumkang wheat and Dark Northern Spring wheat.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628-635. 

  2. Summerfield FW, Tappel AL. 1984. Detection and measurement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of malondialdehyde crosslinks in DNA. Anal Biochem 143: 265-271. 

  3. Chung HK, Choe CS, Lee JH, Chang MJ, Kang MH. 2003. Oxidative stability of the pine needle extracted oils and sensory evaluation of savored laver made by extracted oils. Korean J Food Cult 18: 89-95. 

  4. Kim M, Rhee SH, Cheigh HS. 1995. Effect of tocopherols and ${\beta}$ -carotene on the oxidation of linoleic acid mixture in the solid model system. J Korean Soc Food Nutr 24: 67-73. 

  5. Choe E, Min DB. 2009. Mechanisms of antioxidants in the oxidation of foods. Compr Rev Food Sci Food Saf 8: 345-358. 

  6. Kim DS, Koo BS, Ahn MS. 1990. A study on the formation of trans fatty acids with heating and storage of fats and oils (I)-The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otal trans fatty acids content-. Korean J Soc Food Sci 6: 37-49. 

  7. Artman NR. 1969. The 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heated and oxidized fats. Adv Lipid Res 7: 245-330. 

  8. Husain S, Sastry GSR, Raju NP. 1991. Molecular weight averages as criteria for quality assessment of heated oils and fats. J Am Oil Chem Soc 68: 822-826. 

  9. Taylor SL, Berg CM, Shoptaugh NH, Traisman E. 1983. Mutagen formation in deep-fat fried foods as a function of frying conditions. J Am Oil Chem Soc 60: 576-580. 

  10. Gray JI. 1978. Measurement of lipid oxidation: A review. J Am Oil Chem Soc 55: 539-546. 

  11. Oh SH, Kim YW, Kim MA. 2005.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ree solvent (ether, butanol, water) extrats from chestnut inner shell in soybean oil. Korean J Food Cult 20: 703-708. 

  12. Son JY, Rhim JH, Son HS. 1995. Effect of some synthetic and natural antioxidants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skip jack oil. Korean J Food Nutr 8: 88-92. 

  13. Ji CI, Byun HS, Kang JH, Lee TG, Kim SB, Park YH. 1992.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pices extracts on edible soybean oil. J Korean Soc Food Nutr 21: 551-556. 

  14. Choe E. 1997. Effects of heating time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heated palm oil.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07-411. 

  15. Moon JS, Lee OH, Son JY. 2005. The oxidation stability of virgin and pure olive oil on autoxidation and thermal oxid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93-98. 

  16. Wang S, Choe E. 2011. Lipid oxidation and antioxidant changes in perilla seeds during heat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711-718. 

  17. MFDS. 2015. Korean Food Standards Codex. 9. General test metho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song, Korea. 

  18. AOCS. 1993. Official Methods and Recommended Practices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4th ed.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Champaign, IL, USA. Cd 8-53, p 429-430. 

  19. Lee HS, Kim DH. 1979. Variation of antioxidant retention and some properties of soybean oil during simulated frying opera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11: 86-92. 

  20. Irache JM, Diaz-Garcia JM, Vega FA. 1993. Stability of some phenolic antioxidants in fatty preparations. Pharm Acta Helv 68: 135-1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