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ORA 유전자 다형성과 한국인 젊은 성인에서 일중선호도와의 연관성
Association of the RORA Gene Polymorphism and Diurnal Preference in a Young Korean Population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23 no.1, 2016년, pp.25 - 28  

주훈 (고려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  조철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문정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헌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Retinoid-related orphan receptor A (RORA) 유전자가 일주기리듬의 조절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RORA 유전자다형성과 일중선호도의 연관성을 한국인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방 법 : 광고를 통해 모집한 504명의 젊은 성인이 최종적으로 대상에 포함되었다. 모든 대상은 13문항 composite scale for morningness (CSM)를 작성하였다. RORA rs11071547 단일염기다형성은 PCR 기반한 실험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CSM 점수결과 일중선호도는 RORA rs11071547 SNP의 유전자형과 대립유전자 보유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이러한 연구결과는 RORA rs11071547 SNP가 일중선호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retinoid-related orphan receptor A (RORA) gene has been reported to have an impact on circadian rhythm regul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RA gene polymorphism and diurnal preference in Korean young adults. Methods: A population of 504 young adult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RORA 유전자 단일염기다형성(SNP) 중 rs11071547을 후보 유전자로 선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과거 연구에서 이 SNP가 수면잠복기와 연관있다는 결과를 얻었기 때문이다(Kripke 등 2015). 저자들은 유전적으로 비교적 동질적인 한국인 젊은 성인에서 RORA 유전자의 다형성과 일중선호도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중선호도는 무엇에 영향을 받나? 일중선호도는 개인의 내적 일주기리듬(circadian rhythm)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지금까지의 유전학 연구 결과들은 분자생물학적인 기전들이 일주기리듬을 조절한다는 것이 확립이 되어있으며, 이러한 일주기리듬은 전시상하부(anterior hypothalamus)의 시상교차상핵(suprachiasmatic nuclei:SCN)에서 조절되며 이곳을 생물학적 시계라고 부른다(Liu 등 2007).
일중선호도란 무엇인가? 일중선호도(diurnal preference)는 한 개인이 아침 또는 저녁 중 언제 좀더 활동성과 수행능력이 좋아지는 가를 나타내는 것이며, 시간형(chronotype) 또는 아침형/저녁형(morningness/eveningness)이라고도 불린다. 아침형 인간은 보통 아침에 일찍 일어나며, 아침시간에 각성도가 증가되며 생산성이 높다.
시상교차상핵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은 무엇을 통해 이루어지는가? 지금까지의 유전학 연구 결과들은 분자생물학적인 기전들이 일주기리듬을 조절한다는 것이 확립이 되어있으며, 이러한 일주기리듬은 전시상하부(anterior hypothalamus)의 시상교차상핵(suprachiasmatic nuclei:SCN)에서 조절되며 이곳을 생물학적 시계라고 부른다(Liu 등 2007). SCN의 분자생물학적인 기전은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전사-번역 되먹임(transcriptional-translational feedback)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이 과정을 통하여 약 24시간의 생물학적 리듬이 만들어지게 된다(Takahashi 등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dan A, Archer SN, Hidalgo MP, Di Milia L, Natale V, Randler C. Circadian typology: a comprehensive review. Chronobiol Int 2012;29:1153-1175. 

  2. Liu AC, Welsh DK, Ko CH, Tran HG, Zhang EE, Priest AA, et al. Intercellular coupling confers robustness against mutations in the SCN circadian clock network. Cell 2007;129:605-616. 

  3. Takahashi JS, Hong HK, Ko CH, McDearmon EL. The genetics of mammalian circadian order and disorder: implications for physiology and disease. Nat Rev Genet 2008;9:764-775. 

  4. Kripke DF, Kline LE, Nievergelt CM, Murray SS, Shadan FF, Dawson A, et al. Genetic variants associated with sleep disorders. Sleep Med 2015;16:217-224. 

  5. Kim HI, So SJ, Yang HJ, Song HM, Moon JH, Yoon HK, et al. Association of the RORA Gene Polymorphism and Seasonal Variations in Mood and Behavior. Sleep Med Psychophysiol 2013; 20:63-68. 

  6. Kim HI, Lee HJ, Cho CH, Kang SG, Yoon HK, Park YM, et al. Association of CLOCK, ARNTL, and NPAS2 gene polymorphisms and seasonal variations in mood and behavior. Chronobiol Int 2015;32:785-791. 

  7. Smith CS, Reilly C, Midkiff K. Evaluation of three circadian rhythm questionnaires with suggestions for an improved measure of morningness. J Appl Psychol 1989;74:728-738. 

  8. Greenwood KM. Long-term stability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composite scale of morningness. Ergonomics 1994;37: 377-383. 

  9. Randler C, Diaz-Morales JF. Morningness in German and Spanish students: a comparative study. Eur J Person 2007;21:419-427. 

  10. Yoon JS, Shin SM, Kook SH, Lee HY. A preliminary study on the Korean translation of composite scale (KtCS) to measure morningness eveningnes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7;36: 122-134. 

  11. Allebrandt KV, Amin N, Muller-Myhsok B, Esko T, Teder-Laving M, Azevedo RV, et al. A K(ATP) channel gene effect on sleep duration: from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to function in Drosophila. Mol Psychiatry 2013;18:122-132. 

  12. Utge S, Kronholm E, Partonen T, Soronen P, Ollila HM, Loukola A, et al. Shared genetic background for regulation of mood and sleep: association of GRIA3 with sleep duration in healthy Finnish women Sleep 2011;34:1309-13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