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일의 의료분쟁과 대체적 분쟁 해결 기구
The Medical Disputes and Its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s in Germany 원문보기

의료법학, v.17 no.1, 2016년, pp.139 - 168  

김장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  이석배 (단국대학교 법과대학)

초록

독일은 의료분쟁에 대하여 주의사협회를 중심으로 설립된 두 가지 방식의 대체적 분쟁해결방식을 두고 있는데, 첫째는 하노버를 중심으로 한 북독일 지역의 의료조정원이고, 다른 하나는 노트라인 지역을 중심으로 한 감정위원회 방식이다. 두 조직은 의사협회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북독일의료조정원은 법조인과 의사가 각각 1인 포함된 조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감정위원회는 법조인 1인을 감정위원장으로 임명하고 그 이하에 4명의 의사 감정위원을 둠으로써, 조정위원 또는 감정위원들이 가진 고도의 의학적 지식에 법률적 중립성을 부여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의료사고 피해 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설립된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에 의한 대체적 분쟁 해결 방식은 감정과 조정 중재라는 두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독일의 감정위원회 절차와 조정위원회 절차가 참고가 될 수 있다. 의료 분쟁 조정제도가 의료인 중심으로 운영되면, 환자 측으로부터 불신을 받을 것이지만, 현재 우리의 제도는 의사측이 의료중재원 절차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 역시 주요한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법 개정에 의하여 사망자와 중상자에 대한 조정 자동개시가 도입되면서, 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중립성과 효율적 운영이 중요한 문제점이 되었다. 독일의 조정원과 감정위원회의 구성에 비추어 보면, 조정원 구성은 법조인과 의사가 동등하게 참여하여 구성하는 것과 감정위원회 구성은 위원장을 법조인이 하고, 감정 위원들을 의사들로 구성하는 것과 같이 전문가들의 협조와 견제를 고려하고 있다. 현재 의료분쟁 조정법에서 조정과 감정은 하나의 절차처럼 운영되고 있는데, 적절한 협력을 고려하면서 의료인 중심의 감정 분야와 법조인 중심의 조정 분야를 독립적으로 운영 발전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s for medical dispute have been operated under the States of German Medical Associations. The first is the medical mediation committee of North german area, the other is the advisory committee on medical errors in North-Rhine area. The former has focused on the medi...

주제어

참고문헌 (17)

  1. 이백휴.이얼.최진욱, 의료분쟁 조정 제도의 실효적 운영방안, 의료정책연구소, 2011. 11. 

  2. 전병남, "의료분쟁조정법안(약칭)의 민사법적 고찰", 의료법학 제11권 제1호, 2010. 6. 

  3. 남준희, "독일의 의료분쟁과 대체적 분쟁해결방안(ADR)-독일 의료중재원과 의료감정위원회를 중심으로-", 의료법학 제10권 제2호, 2009. 12. 

  4. 법률신문, 의료분쟁조정 협력 MOU. 장혜진. 2014.01.24. 

  5. Eberhard, Die Aufgabe von Schlichtungsstellen und Gutachterkommissionen, Gynakologe 1989. 

  6. Franzki, Der Arzthaftungsprozess in: Arzt und Patient zwischen Therapie und Recht, 1981. 

  7. Laufs/Kern-Ulsenheimer, Handbuch des Arztrechts, 2010. 

  8. LG Baden-Baden MedR 1987, 159; Hans OLG Bremen MedR 2003. 

  9. Rumler-Detzel, Die Gutachterkommissionen und Schlichtungsstellen fur Haftpflichtstreitigkeiten zwischen Arzten und Patienten, VersR 1988, 6; Bodenburg/Matthies, Arztliche Gutachter- und Schlichtungsstellen Theorie und Praxis eines Modells, VersR 1982. 

  10. Smentkowski, Erfolgreiche Streitschlichtung mit hoher Akzeptanz, Der Chirurg BDC 2004. 

  11. Schlichtungsstelle fur Arzthaftpflichtfragen der norddeutschen Arztekammern 

  12. Gutachterkommission fur arztliche Behandlungsfehler bei der Arztekammer Nordrhein. http://www.aekno.defpage.asp?pageiD5213. Accessed 09 June 2016. 

  13. Verfahrensordnung der Schlichtungsstelle fur Arzthaftpflichtfragen der norddeutschen Arztekarnmern. http://www.norddeutsche-schlichtungsstelle.de/das-schlichtungsverfahren/verfahrensordnung/ Accessed 09 June 2016. 

  14. Weizel, Gutachterkommissionen und Schlichtungsstellen, 1999. 

  15. BGH VersR 1987, 1091, 1092. 

  16. OLG Koln VersR 1990, 311. 

  17. Hans Hans OLG Bremen MedR 2003, 639, 6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