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의 합병증에 관한 임상적 평가
Clinical evaluation of the removable partial dentures with implant fixed prostheses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4 no.3, 2016년, pp.239 - 245  

강수현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김성균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허성주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곽재영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이주희 (울산대학교 서울아산병원 치과보철과) ,  박지만 (관악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치과보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의 합병증을 임상적으로 조사하고, 임플란트 식립위치, 보철물 연결고정여부, 국소의치의 유지장치 종류, 케네디 분류, 대합치에 따른 연관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부터 2016년까지 임플란트 고정성 서베이드 보철물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을 받은 환자 11명(남자 7명, 여자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7.5세였으며, 상악 7개, 하악 4개의 국소의치가 제작되었다. 장착된 국소의치 11개와 이를 지지하는 37개의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의 기계적 합병증, 잔존 자연치아 상태, 주변 연조직 상태 등 모든 합병증과 그와 관련된 요소를 조사하였다. 결과: 장착된 국소의치 11개를 지지하는 총 임플란트는 37개로 국소의치마다 평균 3.4 개의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고정성 보철물이 이용되었다. 평균 41.5 개월의 추시 기간 동안 발생한 합병증은 임시시멘트 접착 탈락, 대합치 파절/동요, 나사 파절, 나사 풀림, 클래스프 헐거움, 상부 도재파절, 임플란트 주위 골 흡수/동요, 국소의치 인공치아 파절 순으로 발생하였다. 이러한 합병증은 구치부보다 전치부에서, 연결한 보철물 보다 연결하지 않은 보철물에서, 가공선 클래스프를 유지장치로 이용한 보철물에서, 대합치가 의치를 포함하는 보철물보다 자연치열인 경우 합병증 발생이 좀 더 높은 빈도로 나타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케네디 분류에 따른 합병증 발생 빈도 차이는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결론: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는 장기간 사용되고 있고 충분히 효과적으로 기능하고 있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러한 치료의 예후에 대한 축적된 임상 결과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므로 좀 더 장기적인 임상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linical complications in removable partial denture (RPD) with implant-supported surveyed prostheses, and to analyz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omplications such as location of the implant, splinting adjacent prostheses, the type of retenti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 중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의 합병증을 임상적으로 조사하고, 1. 임플란트 해부학적 식립 위치(전치부 또는 구치부), 2. 보철물 연결 유무(splinting 또는 nonsplinting), 3. 유지장치 클래스프의 종류, 4. 케네디 분류, 5. 대합치 종류에 따른 연관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의 임상 적용 방식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의 임상 적용 방식은 임플란트를 의치 하방에 두며 부착장치를 통해 이를 활용하는 ‘의치하방 연결 술식’과 임플란트 지지 상부 보철물을 서베이드 금관의 형태로 만든 후 이를 국소의치의 지대치로 활용하고, 그 위에 통상적인 국소의치를 제작하는 ‘서베이드금관 활용 술식’의 두 가지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다.14
해부학적 한계로 후방 구치부의 임플란트 식립이 불가능할 경우 고려할 수 있는 치료 방안은 무엇인가? 임플란트 치료 계획을 세울 때 후방 구치부의 골 흡수가 심한 경우처럼 해부학적 한계로 인해 후방 구치부의 임플란트 식립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9 이러한 상황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수복은 불가능하지만, 골 지지가 양호한 곳에 소수의 임플란트를 전략적으로 식립 후 이를 지지로 하는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가 선택 가능한 치료 방안의 하나로 고려될수있다.5,7,10-13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 치료 양식에는 어떤 방법이 있는가? 치아가 상실된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 치료 양식은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하는 방법과 가철성 의치로 수복하는 방법으로나눌수있다.1 완전 무치악인 경우 1999년 van Steenberghe 등이 하악 무치악에 2개의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수복하는 방법을 처음으로 제시하였고,2 2002년 McGill consensus 에서 하악 무치악의 표준적인 치료방법으로 2개의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를 추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sch CE. Contemporary implant dentistry. 3rd ed. Mosby; Elsevier; 2008. 

  2. Naert I, Gizani S, Vuylsteke M, van Steenberghe D. A 5-year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 on the influence of splinted and unsplinted oral implants retaining a mandibular overdenture: prosthetic aspects and patient satisfaction. J Oral Rehabil 1999;26:195-202. 

  3. Thomason JM. The McGill Consensus Statement on Overdentures. Mandibular 2-implant overdentures as first choice standard of care for edentulous patients. Eur J Prosthodont Restor Dent 2002;10:95-6. 

  4. Ohkubo C, Kurihara D, Shimpo H, Suzuki Y, Kokubo Y, Hosoi T. Effect of implant support on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in vitro assessment. J Oral Rehabil 2007;34:52-6. 

  5. Kaufmann R, Friedli M, Hug S, Mericske-Stern R. Removable dentures with implant support in strategic positions followed for up to 8 years. Int J Prosthodont 2009;22:233-41. 

  6. Kuzmanovic DV, Payne AG, Purton DG. Distal implants to modify the Kennedy classification of a removable partial denture: a clinical report. J Prosthet Dent 2004;92:8-11. 

  7. Mijiritsky E, Ormianer Z, Klinger A, Mardinger O. Use of dental implants to improve unfavorable removable partial denture design. Compend Contin Educ Dent 2005;26:744-6, 748, 750. 

  8. Schneid T, Mattie P.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In: Phoenix RD, Cagna DR, DeFreest CF editors. Stewart's clinical removable partial prosthodontics. 4th ed. Hanover Park; IL; Quintessence Publishing; 2008. p. 259-77. 

  9. Kordatzis K, Wright PS, Meijer HJ. Posterior mandibular residual ridge resorption in patients with conventional dentures and implant overdenture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3;18:447-52. 

  10. Grossmann Y, Nissan J, Levin L. Clinical effectiveness of 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trospective case evaluation. J Oral Maxillofac Surg 2009;67:1941-6. 

  11. Lacerda TESP, Lagana DC, Gonzalez-LIMA R, Zanetti AL. Contribution to the planning of implant-supported RPD in the distal region. RPG Rev Po's Grad 2005;12:293-300. 

  12. Mijiritsky E. Implants in conjunction with removable partial dentures: a literature review. Implant Dent 2007;16:146-54. 

  13. Ohkubo C, Kobayashi M, Suzuki Y, Hosoi T. Effect of implant support on distal-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in vivo assessmen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8;23:1095-101. 

  14. Park JM, Koak JY, Kim SK, Joo JH, Heo SJ. Consideration for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implant. Implantol 2015;19:104-11. 

  15. Ancowitz S. Esthetic removable partial dentures. Gen Dent 2004;52:453-9. 

  16. Mijiritsky E, Karas S. Removable partial denture design involving teeth and implants as an alternative to unsuccessful fixed implant therapy: a case report. Implant Dent 2004;13:218-22. 

  17. Vahidi F, Pinto-Sinai G.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implant-retained removable prostheses. Dent Clin North Am 2015;59:215-26. 

  18. Mitrani R, Brudvik JS, Phillips KM. Posterior implants for distal extension removable prostheses: a retrospective study.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2003;23:353-9. 

  19. Jang Y, Emtiaz S, Tarnow DP. Single implant-supported crown used as an abutment for a removable cast partial denture: a case report. Implant Dent 1998;7:199-204. 

  20. Pellecchia M, Pellecchia R, Emtiaz S. Distal extension mandibular removable partial denture connected to an anterior fixed implant-supported prosthesis: a clinical report. J Prosthet Dent 2000;83:607-12. 

  21. Starr NL. The distal extension case: an alternative restorative design for implant prosthetics.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2001;21:61-7. 

  22. Chronopoulos V, Sarafianou A, Kourtis S. The use of dental implants in combination with removable partial dentures: a case report. J Esthet Restor Dent 2008;20:355-64. 

  23. Saito M, Notani K, Miura Y, Kawasaki T. Complications and failures in removable partial dentures: a clinical evaluation. J Oral Rehabil 2002;29:627-33. 

  24. Bilhan H, Erdogan O, Ergin S, Celik M, Ates G, Geckili O. Complication rates and patient satisfaction with removable dentures. J Adv Prosthodont 2012;4:109-15. 

  25. Goodacre CJ, Bernal G, Rungcharassaeng K, Kan JY. Clinical complications with implants and implant prostheses. J Prosthet Dent 2003;90:121-32. 

  26. Weinberg LA. Lateral forces in relation to the denture base and clasp design. J Prosthet Dent 1956;6:785-800. 

  27. Stoumpis C, Kohal RJ. To splint or not to splint oral implants in the implant-supported overdenture therap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 Oral Rehabil 2011;38:857-69. 

  28. Miyaura K, Morita M, Matsuka Y, Yamashita A, Watanabe T. Rehabilitation of biting abilities in patients with different types of dental prostheses. J Oral Rehabil 2000;27:107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