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D 투자와 기술무역 간의 인과관계 분석
A Causality Analysis between R&D Investment and Technology Trade 원문보기

기술혁신연구, v.24 no.2, 2016년, pp.91 - 113  

박철민 (UST 과학기술경영정책학과) ,  구본철 (기초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R&D 투자와 기술무역 변수들 간에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검토하고, 그 결과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함으로써 연구개발 활동의 촉진과 기술무역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정부 R&D 투자, 민간 R&D 투자, 기술도입, 그리고 기술수출로 구성된 다변량 모형을 설정하고, 오차수정모형을 토대로 Granger-인과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단기적으로는 총 5개의 인과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기적으로는 정부 R&D 투자에서 기술수출로의 인과관계를 제외한 11개의 관계에서 인과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충격반응분석을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 변수들이 특정변수의 충격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R&D 투자와 기술무역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 관계를 명확히 하고, 도출된 결과들을 토대로 연구개발 활동 및 기술무역진흥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R&D spending and variables of technology trade, and to explore promoting R&D activities and revitalizing technology trade.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we built a multivariate model that consists of government R&D spend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정부 및 민간 R&D 투자와 기술수출 간의 인과관계 분석은 R&D 투자가 과연 기술수출을 진작시키는지 그 실효성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 그리고 정부 및 민간 R&D 투자와 기술수출 간의 인과관계 분석은 R&D 투자가 과연 기술수출을 진작시키는지 그 실효성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기술도입과 기술수출 사이의 인과관계도 분석함으로써 두 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밝혀냄과 동시에 그로부터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D 투자와 기술무역 간의 인과관계 및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세부적으로 R&D 투자는 정부 R&D 투자와 민간 R&D 투자, 기술무역은 기술도입, 기술수출과 같이 네 가지 변수로 구분한 뒤, 이들 간 총 12가지 인과관계 방향과 상호 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D 투자와 기술무역 변수들 간에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 그 인과구조를 실증적으로 밝혀냄으로써 연구개발 활동의 촉진 및 기술무역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즉, 상호 간에 미치는 영향이 양(+)인지 음(-)인지 그 효과에 대한 성격을 분간하기 어려우며, 또한 이러한 영향이 미치는데 얼마나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지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격반응분석(impulse response analysis)을 통해 각 변수들의 변동성이 자신은 물론 상호 간 어떠한 반응을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마찬가지로 정부 및 민간 R&D 투자와 기술도입의 경우도 그 인과관계를 살펴봄으로써 R&D 투자와 기술도입 간에 대체효과를 초래하는지 아니면 보완효과가 발생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 먼저, 정부 R&D 투자와 민간 R&D 투자의 인과관계를 살펴보는 이유는 정부 R&D 투자와 민간 R&D 투자는 상호 구축효과를 초래하는지 아니면 보완효과가 발생하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X t – j , △Y t – j , 오차수정항의 추정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지 그 여부를 검정하기 위해 보편적 분석도구인 Wald-test를 활용하며, 이를 통해 변수들 간의 단기 및 장기적인 인과관계를 밝혀내고자 한다.
  • ADF-검정은 시차차분변수(lagged differenced variable)를 회귀식에 포함시켜 자료의 불일치성(inconsistency)의 문제를 점근적으로 해소시키는 반면, PP-검정은 계열상관을 고려하기 위해 수정항을 통상의 t 또는 F통계량에 추가함으로써 일치성을 확보하였다는데 그 차이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DF-검정과 PP-검정 결과를 함께 참고하여 단위근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가설 설정

  • 공적분 검정을 시행함에 있어 본 연구는 원시계열에 선형 확정적 추세(linear deterministic trend)가 있다고 가정하였으며, 공적분 방정식에는 시간추세항은 제외하였으나, 절편항은 포함하였다. 또한 Johansen(1990)이 제안한 우도비(likelihood ratio) 검정 통계량 중에서 trace 검정통계량(trace statistic)을 기준으로 검정을 실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VAR모형에 기초한 Granger-인과성 검정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이는 두 변수 사이에 공적분 관계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인 인과성 검정기법을 적용할 경우, 검정의 유효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인과관계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인과관계를 포착하지 못하는 모형설정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Rotemburg and Woodford, 1992). 아울러 VAR모형에 기초한 Granger-인과성 검정은 두 변수 사이의 단기적인 관계에서의 인과성 유무만을 검정하므로 장기적인 관계를 살펴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하면 독립변수의 차분항이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오차수정항의 변화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도 알 수 있기 때문에 장⋅단기 인과관계 모두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5).
단위근을 검정하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단위근을 검정하는 방법은 크게 DF-검정(Dickey-Fuller test), ADF-검정(Augmented Dickey-Fuller test), PP-검정(Phillips-Perron test)을 들 수 있다. DF-검정은 처음으로 개발된 단위근 검정기법이지만, 그 사용상 자기상관(autocorrelation) 및 이분산(heteroskedasticity)이 존재하지 않음을 전제로 한다는 제약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잘 이용되지 않는 검정이다.
공적분의 검정법 중 Johansen and Juselius의 방법은 무엇인가? 공적분의 검정법에는 크게 Engle and Granger(1987)의 방법과 Johansen and Juselius(1990)의 방법이 있다. 전자는 공적분 관계에 있다고 생각되는 변수들을 회귀시켜서 공적분 벡터를 구한 후 그 회귀식으로부터 유도된 잔차항의 단위근을 검정하여 공적분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이고, 후자는 벡터자기회귀분석(VAR) 모형에 제한정보 최우추정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을 적용한 다음 추정계수 행렬의 공적분 위수(rank)를 측정함으로써 공적분 존재 유무를 검정하는 방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KISTEP (2014), 2013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 

  2.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3), 기술무역 심층분석 및 정책방안(안), 미래창조과학부. 

  3. 김선근.오완근 (2004), "정부와 민간의 R&D 투자 및 국민소득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미.일 국제비교", 기술혁신학회지, 7(2), pp. 257-281. 

  4. 문권순 (1997), "벡터자기회귀(VAR)모형의 이해", 통계분석연구, 2(1), pp. 23-56. 

  5. 문병기.이정현 (2013),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 기술무역이 나아가야 할 길: 기술수준별 대.중소기업 수출분석과 기술무역 위상 제고 방안, 한국무역협회. 

  6. 박철민.구본철.남상성 (2015), "R&D 디플레이터 산출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공학회지, 20(3), pp. 121-137. 

  7. 박추환.정동헌 (2001), "국내 산업별 성장에 있어서 정보통신자본 및 R&D 스톡 변동이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경영과학회/대산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pp. 240-241. 

  8. 백은영.문희철 (2010), "우리나라 기술무역의 산업별 특성에 관한 연구: OECD 국가를 대상으로", 통상정보연구, 12(4), pp. 151-170. 

  9. 송종국.서환주 (2003), "기업의 R&D 구조변화와 정부정책 방향에 대한 소고", 기술혁신연구, 11(1), pp. 79-97. 

  10. 오세홍.임수진.손소영 (2002), "국내 연구개발투자와 경제성장간의 인과관계", 기술혁신연구, 10(1), pp. 65-82. 

  11. 유승훈 (2003), "정부 R&D 투자와 민간 R&D 투자의 인과관계 분석", 기술혁신연구, 11(2), pp. 175-193. 

  12. 이재영 (2009), "한국 기술무역의 수출 강화 방안", e-비즈니스연구, 10(2), pp. 3-27. 

  13. 이진우.권오성 (2008), "국방 R&D 투자 및 정부, 민간 R&D 투자와 국민소득간의 상호 인과관계분석",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34(1), pp. 79-98. 

  14. 장진규.홍순기 (1994), "연구개발과 기술도입의 경제효과 및 상호관계 분석", 기술경영경제학회지, 2(1), pp. 242-255. 

  15. 전해정.박헌수 (2012), "주택시장과 거시경제변수 요인들간의 동태적 상관관계 분석", 주택연구, 20(1), pp. 125-147. 

  16. 정수관.강상목 (2012), "정부 R&D, 민간 R&D와 생산성의 인과관계 분석", 생산성논집, 26(3), pp. 107-137. 

  17. 정윤세 (2013), "기술무역수지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pp. 55-66. 

  18. 정재승 (2012), "우리나라의 기술무역수지 적자개선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14(2), pp. 227-248. 

  19. 조상섭.강신원 (2013), "연구개발의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시계열영역접근과 주기영역접근 비교", 국제지역연구, 17(3), pp. 99-117. 

  20. 최종일.오동훈.이영수 (2013), "과학기술 정책기조를 고려한 정부 R&D 투자 민간 R&D 투자에의 영향", 한국질서경제학회, 16(1), pp. 1-19. 

  21. 한국무역학회 (2012), 기술무역수지 개선을 위한 대책 방안 마련. 

  22. 한국무역협회 (2005), 우리나라 기술무역수지의 현황과 정책과제. 

  23.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14), 2013년도 기술무역통계조사, 미래창조과학부. 

  24. Almus, M. and Czarnitzki, D. (2003), "The Effects of Public R&D Subsidies on Firms' Innovation Activities: the Case of Eastern Germany", Journal of Business & Economic Statistics, 21(2), pp. 226-236. 

  25. Blomstrom, M., Lipsey, R. E. and Zejan, M. (1996), "Is Fixed Investment the Key to Economic Growth?",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11(1), pp. 269-276. 

  26. Braga, H., and Willmore, L. (1991), "Technological Imports and Technological Efforts: An Analysis of Their Determinants in Brazilian Firms",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pp. 421-432. 

  27. Can, D. L. (1987), "The Role of R&D in High-Technology Trade: An Empirical Analysis", Atlantic Economic Journal, 15(4), pp. 32-38. 

  28. Czarnitzki, D. and Fier, A. (2002), "Do Innovation Subsidies Crowd out Private Investment: Evidence from the German Service Sector", Applied Economics Quarterly, 48(1), pp. 1-25. 

  29. David, P., Hall B., and Toole, A. (2000), "Is Public R&D a Complement or Substitute for Private R&D?", Research Policy, 29(4), pp. 497-529. 

  30. Duguet, E. (2004), "Are R&D Subsidies a Substitute or a Complement to Privately Funded R&D? Evidence from France Using Propensity Score Methods for Non-experimental Data", Revue d'Economie Politique, 114(2), pp. 263-292. 

  31. Engle, R. F. and C. W. J. Granger, C. W. J. (1987),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Representation, Estimation and Testing", Econometrica, 55(2), pp. 251-276. 

  32. G. W. Schwert (1989), "Tests for Unit Roots: A Monte Carlo Investigation", Journal of Business & Economic Statistics, 7(2), pp. 147-159. 

  33. Geweke, J. (1978), "Temporal Aggregation in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Econometrica, 46(3), pp. 643-661. 

  34. Geweke, J., R. Meese, and W. Dent (1983), "Comparing Alternative Tests for Causality in Temporal Systems: Analytic Results and Experimental Evidence", Journal of Econometrics, 21(2), pp. 161-194. 

  35. Gonzalo, J. (1994), "Five Alternative Methods of Estimating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s", Journal of Econometrics, 60(1), pp. 203-233. 

  36. Gonzalez, X. and Pazo, C. (2008), "Do Public Subsidies Stimulate Private R&D Spending?", Research Policy, 37(3), pp. 371-389. 

  37. Granger, C. W. J. (1969), "Investigating Causal Relation by Econometric and Cross Sectional Method", Econometrica, 37(3), pp. 424-438. 

  38. Granger, C. W. J. and P. Newbold (1974), "Spurious Regressions in Econometrics", Journal of Econometrics, 2(2), pp. 111-120. 

  39. Guilkey, D. K. and M. K. Salemi (1982), "Small Sample Properties of the Three Tests of Causality for Granger Causal Ordering in a Bivariate Stochastic System",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4(4), pp. 668-680. 

  40. Johansen, S. and K., Juselius (1990),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nd Inference on Cointergration-with Applications to the Demand for Money",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52(2), pp. 169-210. 

  41. Kaiser, U. (2006), "Private R&D and Public Subsidies: Microeconomic Evidence from Denmark", Danish Journal of Economics, 144(1), pp. 1-17. 

  42. Lach, S. (2002), "Do R&D Subsidies Stimulate or Displace Private R&D? Evidence from Israel,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50, pp. 369-390. 

  43. MacKinnon, J. (1996), "Numerical Distribution Functions for Unit Root and Cointegration Tests", Journal of Applied Econometrics, 11(6), pp. 601-618. 

  44. Madden, G and Savage, S. J. (1998), "CEE telecommunications investment and economic growth", Information Economics and Policy, 10(2), pp. 173-195. 

  45. Phillips, P. C. B. and P. Perron (1988), "Testing for a Unit Root in Time Series Regression", Biometrika, 75(2), pp. 335-346. 

  46. Rotemberg, J. and M. Woodford (1992), "Oligopolistic Pricing and the Effects of Aggregate Demand on Economic Activity",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00(6), pp. 1153-1207. 

  47. Stock, J. H. and M. W. Watson (1989), "Interpreting the Evidence in Money-Income Causality", Journal of Econometrics, 40(1), pp. 161-1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