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시설물 잠재홍수피해지수 체계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otential Flood Damage Index for Public Facilities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8 no.4, 2016년, pp.97 - 106  

김길호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Hydro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  백승협 (K-water Institute,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  정영훈 (K-water Institute,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  김경탁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Hydro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public facilities have high property values and are directly exposed to the flood hazard, they account for the highest share of disaster damages compared to other assets such as housing, industry, vehicle and agriculture in case of flood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su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5). 그러나 이렇게 자료가 변환 (transform)되는 과정에서는 실제 값을 왜곡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z-score 방법, re-scaling 방법과 극단값 처리가 용이한 수정 re-scaling 방법을 대상으로 각 표준화 방법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경기도 지역을 대상으로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 그 동안의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공공시설물 자산규모 또한 급격히 증가하였고, 향후 공공시설물의 홍수를 비롯한 자연재해 피해저감을 위한 예방, 유지 보수 및 관리에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정책적인 활용목적의 공공시설물 잠재홍수피해지수 평가 체계를 투입상태-반응의 프레임워크와 지수개발의 기본원리를 준수하여 제시하고, 이를 전국 231개 시군 단위의 지자체를 대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시설물의 잠재홍수피해지수 (P-PFDI) 개발을 위해 이를 직․ 간접적으로 설명가능한 평가지표를 선별하였고, 요인분석, 가중치 결정, 표준화방법을 검토하여 P-PFDI 평가 체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주요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수개발의 가장 중요한 단계인 평가지표의 결정의 절차는? 위 절차 가운데 Maclaren (1996)는 “평가지표의 결정”을 지수개발의 가장 중요한 단계라 언급하면서, 이를 위해 다음의 절차를 강조하였다. 우선, 개발목적을 정의하고, 시공간적 평가대상의 범위와 연관된 세부목표 등을 명확히 하여야 한다. 그리고 세부목표 별 지표 선택을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설정하여 지표 선택의 범위를 한정하여 연관되는 지표를 선택하기 위한 적절한 평가기준을 수립한다. 이로부터 잠재지표를 선택하고, 이 가운데 적절한 지표들을 최종 선별하여 결정한다. 선택한 지표를 이용해 분석하고 공표한 지표는 정의된 목표와의 비교를 통해 성능을 평가한다.
지표(indicator) 란? 지수 (index)란 일정한 방향과 목표 하에 어떠한 사물이나 현상을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 넓은 의미에서 숫자로 표현된 복합지표 혹은 이상의 수준을 의미한다. 반면, 지표 (indicator)는 현재의 위치, 방향, 목표 달성도 등을 정량적이고 단순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비교적 단순한 정보이자 도구를 뜻하며, 다양한 연구에서 어떤 주제의 다양한 측면을 단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되고 있다 (Aall, 2005). 이처럼 지수 자체도 지표의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표가 될 수도 있으나, 둘 이상의 지표에 기초하여 산출된다는 차별성과 궁극적인 목적을 위한 결과물이라는 측면에서 지수 혹은 통합지수라는 별도의 명칭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지수 (index)란? 지수 (index)란 일정한 방향과 목표 하에 어떠한 사물이나 현상을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 넓은 의미에서 숫자로 표현된 복합지표 혹은 이상의 수준을 의미한다. 반면, 지표 (indicator)는 현재의 위치, 방향, 목표 달성도 등을 정량적이고 단순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비교적 단순한 정보이자 도구를 뜻하며, 다양한 연구에서 어떤 주제의 다양한 측면을 단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되고 있다 (Aal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dhikari Y., Yoshitani J. 2009. Global trends in water-related disasters: An insight for policy makers, The United Nations World Water Assessment Programme, UNESCO, France. 

  2. Aall, C. 2005. The concept of indicators, Paper Presented at a Seminar Within the EU Project Capacity Building to Enable the Incorporation of Urban Sustainability Parameters in Spatial Urban Development and Planning Policy Practices Through the Use of Indicators (URBANGUARD). Nicosia. Cyprus. 8-9 August 2005. 

  3. An, J. H., D. S. Gang, Y. N. Yun, 2007.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otential flood damage estimate,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0(11): 42-49 (in Korean). 

  4. Birkmann, J. 2006. Measuring vulnerability to natural hazards: towards disaster resilient societies, United Nation University. 

  5. Baeck, S. H., S. J. Choi, G. W. Choi, and D. R. Lee, 2014. A study of evaluating and forecasting watersheds using the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index in Korea, Geomatics, Natural Hazards and Risk 5(3): 208-231. 

  6. Connor, R. F. and Hiroki K. 2005, Development of a method for assessing flood vulnerability, Water Science & Technology, 51(5): 61-67. 

  7. Cho, H. J., K. B. Kim, 2015. Assessment of the social vulnerability in the climate change induced - flood risk : focused on the city of Incheon. Journal of climate research 10(4): 341-354 (in Korean). 

  8. Jang, D. W. 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isk management index for selective flood prevention alternatives, Ph.D.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in Korean). 

  9. Kim, G. H. 2013. A study on estimation of flood damage and development of flood damage index on public facilities, Ph.D.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in Korean). 

  10. Kim, J. H., and Y. H. Kim, 2003. Improving potential flood damage,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2003,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373-2378 (in Korean). 

  11. Kang, M. G., C. Y. Jung, and G. M. Lee, 2007. Extraction of primary factors influencing dam operation using factor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0(10): 769-781 (in Korean). 

  12. Kang, J. E., M. J. Lee, 2012.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using fuzzy model and GI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3): 119-136 (in Korean). 

  13. Kwon, J. N., J. G. Kim, and S. J. You, 2000.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factor analysis on the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coastal sea around the Keum River estuary in Summ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3(4): 3-22 (in Korean). 

  14.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KICT). 2004. Development of watershed assessment techniques for heathy water cycle (in Korean). 

  15. Lee, M. H., I. W. Jung, and D. H. Bae, 2011. Korean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on climate chang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4(8): 653-666 (in Korean). 

  16. Lee, Y. J. 2002. Factor analysis, Sukjung (in Korean). 

  17. Lim, K. S., Choi, S. J., Lee, D. R. and Moon J. W. 2010. Development of flood risk index using causal relationships of flood indicat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30(1B): 61-70 (in Korean). 

  18. Nardo, M., M, Saisana, A. Saltelli, S. Tarantila, A. Hoffman, and E. Giovannini, 2005. Handbook on constructing composite indicators: methodology and user guide, OECD Statistics Working Papers, OECD, Italy. 

  19. Maclaren, V. W. 1996, Urban sustainability reporting,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2(2): 184-203. 

  20. Ologunorisa, E. T. 2004, An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zones in the Niger Delt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61(1): 31-38. 

  21. Park, T. S., G. M. Kim, Y. S. Yoon, and S. B. Lee, 2005. Analysis of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Flood Damage Index,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5-6 (in Korean). 

  22. Rim, C. S. and J. K. Shin, 2002. cluster and factor analyses using water quality data in the Sapkyo reservoir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5(2): 149-159 (in Korean). 

  23. Tapsell, E. C., Penning-Rowsell, Tunstall, S. M. and Wilson, T. L. 2002. Vulnerability to flooding: health and social dimension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Series, A 360: 1511-1525. 

  24.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UNDP). 2004. Reducing disaster risk: a challenge for development, UNDP, Bureau for Crisis Prevention and Recovery, New York.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