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천광역시 연안 해안사구 보전현황 평가 연구: 중구, 옹진군을 중심으로
An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Status for Coastal Sand Dunes in Incheon: Focused on the Jung gu, Ongjin gun in Incheon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51 no.3, 2016년, pp.345 - 365  

박경문 (협성대 도시공학과) ,  김성우 (인천발전연구원) ,  안태선 (협성대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천시 중구, 옹진군 연안에 분포하고 있는 해안사구의 분포 현황 및 특성조사를 바탕으로 보전현황 평가를 실시한 연구이다. 인천시의 경우 서해 연안을 따라 형성된 해안선의 길이가 1,053km에 달하고 있어 여느 지역자치단체 못지않게 해안사구가 많이 분포하고 있을 것으로 여겨짐에도 불구하고, 관할구역 내해안사구의 분포나 특성, 관리 현황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가 충분히 구축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인천시 일부 연안을 대상으로 해안사구 추가도출 기준 설정을 통해 21개소의 해안사구를 추가 도출하고, 이들 해안사구에 대한 특성분석과 정량적 평가를 통해 인천시 해안사구 보전현황에 대한 기초자료 구축 및 평가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a research that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nd status of coastal sand dunes spread along the shoreline of Ongjin-gun, Jung-gu in Incheon and evaluated their conservation status. In Incheon, the length of coastline along the West Sea shoreline is 1,053km. thus leading to an assump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단계는 인천시 중구, 옹진군에 분포하는 총 21개소(환경부 목록 4개소, 본 연구 도출 17개소)의 해안 사구에 대한 보전 현황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보전현황 특성은 크게 사구 형태 및 규모적 특성, 토지 이용 및 경관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해안사구별 특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이하: 인천시) 일부 연안을 대상으로 해안사구의 분포 현황 및 특성 등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보전현황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추후,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 차원에서의 해안사구 보전·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사전 기초자료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의 해안사구 목록 외 추가적인 해안사구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몇 가지 기준에 의해 인천시 관내 해안사구 분포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분포현황 조사대상 도출 기준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인천시 연안에 분포하고 있는 해안사구를 파악하고, 해안사구별 특성에 기인한 보전현황 평가를 목적으로 다음과 같이 3단계의 연구과정으로 이루어졌다.
  • 본 연구는 인천시 중구, 옹진군 연안을 대상으로 해안사구 분포 현황 및 특성분석에 기반한 해안사구별 보전현황 평가를 통해 추후, 광역시 차원의 해안사구 보전·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 우선, 인천시 연안의 규모적 특성 상 해안사구가 더 분포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하여 중구, 옹진군을 대상으로 환경부의 ‘해안사구 보전·관리지침(2002)’ 및 ‘해안사구 정밀조사(2003~2011)’에서 제시하고 있는 4개소 외 상기 지역 내 추가적으로 분포하고 있을 해안사구를 추가도출 하고자 하였다.
  • 최희경(2010)의 연구는 사구 식생에 대한 가중치가 지나치게 높은 측면이 있다. 이는 사구식생에 대한 중요성에는 동의하나 사구의 보전 현황 파악과 원활한 보전관리를 위해서는 사구의 현존 상태, 특히 전사구의 보전상태(규모적 특성 등)가 무엇보다 제일 중요하며, 개발규모(인공적 토지이용)가 사구의 보전가치 평가에 매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판단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식생 관련 평가점수는 낮추는 반면, 사구의 규모적 특성과 인공적인 훼손여부에 관한 평가점수는 상대적으로 많이 배분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상기 부분에 있어서 최희경(2010) 연구의 평가방식을 보완하고 연구의 차별성을 확보토록 하였다.
  • 이러한 국내의 해안사구 평가에 관한 여건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연안 해안사구 현황특성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해안사구 보전 현황 평가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평가항목의 구성은 해안사구의 형태 및 규모적 특성 5개 항목, 해안사구 보전적 측면 경관요소 특성 3개 항목, 해안사구 훼손적 토지이용 특성 4개 항목 총 12개 항목으로 구분하였다.
  • 이러한 평가결과를 환경부(2002)의 ‘해안사구 보전·관리지침’내 인천시 관내 사구평가와 상호 비교하고자 하였다.
  • 먼저 1단계는 인천시 중구, 옹진군 연안에 분포하고 있는 해안사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인천시는 서해 연안을 따라 형성된 해안선의 길이가 1,053km에 달함에도 불구하고, 환경부 목록에 5개소 밖에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인천 연안에 추가적으로 위치하고 있을 해안사구 분포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사구의 기능은 무엇인가? 해안사구는 해안모래의 저장고로서 기후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과 열대 저기압에 의한 태풍, 대규모 폭풍해일과 쓰나미와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일차적으로 이를 저지시켜 대피시간을 늘려주는 방재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국립환경과학원, 2011).
해안사구 훼손에 관한 예방책은 무엇인가? 이러한 해안사구의 훼손에 대해 최초 KBS(2000) 환경스페셜 다큐멘터리 방영 1) 이후, 국내에서는 국정 감사(2001) 2) 를 통해 해안사구 보전 대책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 있다. 이에 따라 해안사구 관련 주무부처인 환경부는 2002년 ‘해안사구 보전·관리 지침’을 수립한 바 있으며, 2003~2011년까지 해안사구의 체계 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 구축을 위해 전국의 해안 사구 실태를 파악해 목록을 작성하고, 이를 기초로 환경부 및 해양수산부 등의 중앙정부 차원에서 국내 해안사구 관리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해안사구의 훼손으로 인한 영향은 무엇인가? 그러나 그간 우리나라는 이러한 해안사구의 가치 에도 불구하고, 사구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한 채 대부분의 사구지역이 해수욕장, 도로, 군부대시설, 골재채취장, 위락시설, 농경지 등으로 활용되어 왔으 며, 간척, 매립, 관광객의 증가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해안사구가 훼손되기에 이르렀다. 이는 결국 해안 침식의 증가, 사빈(沙濱) 모래면적의 감소, 생물다양성 감소 등의 결과로 이어지고 있으며, 더불어 침수위험성 증가 및 해변의 관광지로서의 가치손실로 인한 지역주민의 삶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국립환경과학원, 2011, 자연방파제 해안사구, 환경부. 

  2. 김종덕 외, 2005, 우리나라 모래해안의 실태와 환경관리 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3. 남혜정, 2005, 해안 지역의 환경 변화와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명현호, 2010, 건강성 평가를 통한 해안사구생태계 보전 관리방안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서종철, 2002, "원격탐사와 GIS기법을 이용한 신두리 해안사구지대의 지형변화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8(1), 98-109. 

  6. 유근배(역), 2007, 해안보호, 한울출판사. 

  7. 육근형 외, 2008, 연안완충공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8. 윤한삼 외, 2010, "우리나라 해안사구 분포 현황과 기능 특성에 관한 고찰," 수산해양교육연구, 22(2), pp.180-194. 

  9. 이윤구, 2011, 인간 간섭에 의한 해안 환경 변화 연구: 강릉시 사빈 해안을 사례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장동호.박지훈, 2009, "충남 연안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해안지형 평가,"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9(1), 73-95. 

  11. 제종길, 2001, 우리나라 사구 실태파악과 보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환경부. 

  12. 조두성, 2006, 한국 해안사구의 토양환경과 식물군락의 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3. 최지연, 2005, "신두리 해안사구를 둘러싼 갈등 분석," 월간 해양수산, 제246호, 5-15. 

  14. 최희경, 2010, 동해안 사구의 보전 현황 평가,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한갑수 외, 2010, "항공사진을 활용한 양양 해안사구 지역의 토지피복 변천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2), 107-118. 

  16. 환경노동위원회, 2001, 2001년도 국정감사 결과보고서. 

  17. 환경부, 2002, 해안사구 보전.관리 지침. 

  18. 환경부, 2008, 서해안(옹진)의 자연적으로 유실된 연안사구, 사빈의 침식영향분석 및 복원관리기술개발. 

  19. 환경부, 2008, 전국 해안사구 정밀조사 보고서: 대청도 (옥죽동, 시탄동), 고성(동호). 

  20. 환경부, 2009, 전국 해안사구 정밀조사 보고서: 덕적도 (서포지, 밧지름사구), 임자도(대광사구). 

  21. KBS 환경스페셜(2000.1.17), 모래언덕의 비밀-해안사구 그 최초의 보고서. 

  22. Kutiel, P., 2001,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Mediterranean coastal sand dunes in Israel. Journal of Coastal Conservation, 7(2), 183-192. 

  23. McLachlan, A., 1990, The exchange of materials between dune and beach systems, In: Nordstrom K., Psuty, N. and Carter, B.(editors), Coastal Dunes: Form and Process, John Wiley & Sons Chichester, 201-215. 

  24. Phillips, M.R., Abraham, E.J., Williams, A.T., House, C., 2007, Function analysis as a coastal management tool: the South Wales coastline UK, Journal of Coastal Conservation, 11(3), 159-170. 

  25. Rhind, P., Jones, R., 2009, A framework for the management of sand dune system in Wales, Journal of Coastal Conservation, 13(1), 15-23. 

  26. Shanmugam, S., Barnsley, M., 2002, Quantifying landscape-ecological succession in a coastal dune system using sequential aerial photography and GIS, Journal of Coastal Conservation 8(1), 61-6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