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이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ducation on Infection Control for Multidrug Resistant Organism on Infection Control by NICU Nurse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2 no.3, 2016년, pp.172 - 181  

임지희 (서울대학교병원) ,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education on infection control for multidrug resistant organism (MDRO). Methods: One group pre-post time series design was used. Infection control education for MDRO infection was provided to nurses working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을 시행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여 신생아중환자실의 의료관련 감염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은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의 다제내성균에 대한 지식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나 감염관리에 서의 결과적 지표에서는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다제내성균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고 간호사의 지식과 인식, 감염관리 수행도 및 신생아중환자실 내 감염 발생률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단일군 전후비교의 시계열 설계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선행연구와 비교,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을 시행하고 교육 전후의 다제내성균에 대한 지식과 인식도,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도, 다제내성균 발생률 및 의료관련감염 발생률을 비교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는 단일군 시계열 설계의 전후비교에 의한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미국 CDC의 자료를 국내 실정에 맞게 번안하여 서울대학교병원 감염관리팀에서 사용 중인 손위생 수행도 조사표를 이용하여 연구자가 직접 관찰하여 측정한 손위생 수행도 점수를 의미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이 간호사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2회기 교육은 9그룹으로 나누어 시행하였으며 실제적인 신생아중환자실 감염관리현황 공유를 주제로 하였다. 올바른 손위생의 중요성과 방법, 의료기관에서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지침에 관한 동영상 자료를 포함하여 지난 교육내용을 확인하고 교육에 대한 이해와 관심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신생아중환자실의 손위생 수행률, 손소독제 사용량, 다제내성균 분리현황 및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발생률 현황을 공유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손위생을 비롯한 접촉예방지침 준수 등 다제내성균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고, 교육 전후의 다제내성균에 대한 지식 및 인식도, 다제내성균 발생률 및 의료관련감염 발생률을 비교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생아 집중치료술의 발달의 영향은? 신생아 집중치료술의 발달로 고위험 신생아의 생존율은 향상되었으나 생리적으로 면역체계가 미숙한 환아에게 시행되는 빈번한 침습적 처치, 정맥영양 등으로 신생아중환자실의 의료관련감염은 줄지 않고 있다[1]. 신생아중환자실 내 의료관련감염은 사망률이 높고, 환아가 생존하더라도 장기간 입원 및 의료비 상승이 발생하며, 환아에게 치명 적인 합병증을 남길 수 있으므로 감염의 확산에 대한 예방 및 조치가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2].
다제내성균 감염관리에 대한 일반적 지식을 측정에 사용된 측정도구 문항은? 다제내성균 감염관리에 대한 일반적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송진옥 [14]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다제내성균에 대한 지식은 총 10문항으로 ‘다제내성균의 정의’ 4문항, ‘다제내성균의 발생기전’ 2문항, ‘다제내성균의 전파’ 2문항, ‘검체채취’ 2문항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척도는 이분척도로 오답과 ‘모름’은 0점으로 하고 정답은 1점으로 최소 0점에서 최대 10점까지의 점수범위를 갖는다. 도구는 원저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다제내성균에 대한 인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다제내성균 전파과정은? 특히 다제내성균은 의료관련감염의 주요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단 출현한 다제내성균은 병원 내에서 환자들 사이, 또는 환자와 의료인 사이에서 확산이 이루어지며 병원 간, 그리고 지역사회에 전파 된다. 이러한 내성의 전파는 내성률을 단기간에 급증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im CS. Hospital-acquired infection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nd infection control.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2009; 20(4):291-298. 

  2. Kwon HJ, Kim SY, Cho CY, Choi YY, Shin JH, Suh SP. Nosocomial infection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2;45(6):719-726. 

  3. Kim JH. The factors influencing compliance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 infec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5;27(3):325-336. http://dx.doi.org/10.7475/kjan.2015.27.3.325 

  4. Song JH, Joo EJ. The crisi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current status and future strategie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0;53(11):999-1005. http://dx.doi.org/10.5124/jkma.2010.53.11.999 

  5. Choi MA, Park KS. A study on the level of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the clinical nurses about the management of nosocomial infec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2;8(2):314-324. 

  6. Sung MH, Kim NL, Choi HY.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of the nurses about the management of nosocomial Infec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07;16(1):5-14. 

  7. Kang JY, Cho JW, Kim YJ, Kim DH, Lee JY, Park HK, et al. Hospital nurses' knowledge and compliance on multidrug-resistant organism infection control guidelin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2):186-197. http://dx.doi.org/10.4040/jkan.2009.39.2.186 

  8. Yoo MS, Son YJ, Ham HM, Park MM, Um AH. A comparative study of nurses' recognition and practice level of general nosocomial infection, MRSA and VRE infection control. The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4;11(1):31-40. 

  9. Park YM, Park HS, Park KY. Factors influencing level of awareness and compliance with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infection control among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The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8;15(4): 531-538. 

  10. Easton PM, Sarma A, Williams FL, Marwick CA, Phillips G, Nathwani D. Infection control and management of MRSA: Assessing the knowledge of staff in an acute hospital setting.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2007;66(1):29-33. http://dx.doi.org/10.1016/j.jhin.2006.12.016 

  11. Kim KM, Choi JS. An Integrative Review of Infection Control Research in Korean Nursing Journals. Asian Nursing Research, 2014; 8(2):128-134. http://dx.doi.org/10.1016/j.anr.2014.05.002 

  12. Oh HS. National survey on nurses' knowledge of infection control in general hospitals and analysis of variables to impact on their knowledge.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05;10(2):78-86. 

  13. Oh HS. Current Status of Infection Control of Multidrug Resistant Organisms in Hospitals with more than 200 bed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4; 8(4):163-173. http://dx.doi.org/10.12811/kshsm.2014.8.4.163 

  14. Song JO. Perception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control in ICU nurse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3. p.1-58. 

  15. Siegal, J., Rhinehart, E., Jackson, M., Chiarello, L., & HIPAC. Management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in healthcare settings, 2006 [Internet]. Atlanta: CDC; 2006 [cited 2009 December 29]. Available from: http://www.cdc.gov/hicpac/mdro/mdro_0.html. 

  16. Sievert DM, Ricks P, Edwards JR, Schneider A, Patel J, Srinivasan A, et al. Antimicrobial-resistant pathogens associated with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summary of data reported to the national healthcare safety network at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2010.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y, 2013;34(01):1-14. http://dx.doi.org/10.1086/668770 

  17. Aboela SW, Stone PW, Larson EL. Effectiveness of bundle behavioral interventions to control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a systemic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2007;66(2):101-108. http://dx.doi.org/10.1016/j.jhin.2006.10.019 

  18. Steven TP, Schulman J. Evidencebased approach to preventing central line 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 in the NICU. Acta Pediatrica, 2012;101(464):11-16. http://dx.doi.org/10.1111/j.1651-2227.2011.02547.x 

  19. WHO. WHO guideline on hand hygiene in healthcare [Internet]. Geneva: WHO Press; 2009. Available from: http://www.who.int/gpsc/5may/tools/9789241597906/en/.v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