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기반 감염관리교육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 관리에 대한 인식도, 임상 수행도,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Infection Control Training on the Intensive Care Unit Nurses' Perception, Clinical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of Infection Control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18 no.3, 2012년, pp.381 - 390  

조성숙 (국립암센터) ,  김경미 (국립암센터) ,  이병여 (국립암센터) ,  박선아 (국립암센터 감염관리전문)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infection control training on the ICU nurses' perception, clinical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of infection control. Methods: Thirty-eight nurses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using a career stratified randomization.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기반 감염관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환자실내에서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도와 임상 수행도 및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하는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randomized control-group pre test-post test design) 연구이다 (Figure 1).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기반 감염관리교육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동질한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교육 후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도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인식도는 평균 4.
  • 대상자가 업무 중 의료관련 감염발생을 염두에 두어 적절한 예방대책과 관리를 실제로 수행하는 정도를 말한다(조원민, 2008). 본 연구에서는 각 시나리오별 체크리스트로 시나리오마다 손씻기, 혈류감염관리, 요로감염관리, 호흡기감염관리, 소독물품관리, 의료폐기물관리 영역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시뮬레이션 감염관리교육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인식도, 임상수행도,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 국내의 시뮬레이션기반 중환자 간호 교육연구에는 중환자실 및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전문심장 소생술(백지윤, 2006), Microsim을 병용한 시뮬레이션기반 중환자 간호교육의 운영 및 평가(김윤희, 김윤민과 강서영, 2010), 시뮬레이션 교육이 중환자실 신규간호사의 응급상황 관련 지식과 자기효능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장선주, 권은옥, 권영옥과 권희경, 2010) 등의 연구가 있었고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감염관리 및 예방의 실질적 수행향상을 위해 Jeffries (2005)의 simulation model을 근거로 시뮬레이션기반 감염관리 교육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시뮬레이션기반 감염관리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강의식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인식도가 더 높을 것이다.
  • 1) 시뮬레이션기반 감염관리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강의식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인식도가 더 높을 것이다.
  • 2) 시뮬레이션기반 감염관리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강의식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임상 수행도가 높을 것이다.
  • 3) 시뮬레이션기반 감염관리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강의식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이 더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실은 의료관련 감염에 있어 어떠한 장소인가? 현대의 의료 환경은 새로운 항생제가 개발되고, 각종 소독제가 사용되며 장갑과 가운 등 보호 장구의 착용이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항암 요법이 발달됨에 따라 면역억제제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면역 기능 저하 환자가 증가되고 있고, 침습적 시술의 보편화, 항생제 내성 균주의 증가 등으로 의료관련 감염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환자실은 다른 일반 병동에 비해서 의료관련 감염의 위험이 가장 높은 곳이며, 다제내성균주들에 대한 노출 빈도가 가장 많은 곳으로서 의료관련 감염의 주요 발생장소이다(Broadhead, Parra, & Skelton, 2001). 따라서 중환자실은 의료관련 감염 관리의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단위이며 의료관련 감염의 취약지구로 인식되어오고 있다.
효율적인 의료관련 감염예방을 위한 감염예방방법의 실천을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효율적인 의료관련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먼저 철저한 감염예방방법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실천을 위해서는 올바른 지식이 선행되어야하며, 다양한 교육 방법의 적용과 제도적으로 이를 뒷받침해 주는 지원이 필요하다(정희자와 조정민, 2004).
현대의 의료환경에서 의료관련 감염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현대의 의료 환경은 새로운 항생제가 개발되고, 각종 소독제가 사용되며 장갑과 가운 등 보호 장구의 착용이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항암 요법이 발달됨에 따라 면역억제제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면역 기능 저하 환자가 증가되고 있고, 침습적 시술의 보편화, 항생제 내성 균주의 증가 등으로 의료관련 감염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환자실은 다른 일반 병동에 비해서 의료관련 감염의 위험이 가장 높은 곳이며, 다제내성균주들에 대한 노출 빈도가 가장 많은 곳으로서 의료관련 감염의 주요 발생장소이다(Broadhead, Parra, & Skelton,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