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로봇치료 연구 현황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Internal Robot Therap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6 no.1, 2016년, pp.49 - 60  

오민경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송지현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심은지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염지윤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이후신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유두한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국내에서 로봇치료가 중재도구로 사용된 연구 사례들을 PICO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형식에 따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국내 로봇치료의 연구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한국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국가전자정보도서관(NDSL) 데이터베이스에서 최근 9년간의 연구를 주요 검색용어 '로봇치료'로 하여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 총 710개의 연구를 검색하였다. 로봇을 치료적 중재도구로 사용한 국내연구 중 원문을 구할 수 있는 연구를 기준으로 최종 15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는 PICO 형식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 연구도구의 질적 수준은 근거기반 연구수준 5단계 분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중 질적 수준이 3단계 이상인 연구는 13개(86.6%)였다. 로봇치료를 사용한 연구를 중재 분야별로 나눈 결과 언어, 보행, 인지, 발달 그리고 상지의 다섯 가지 영역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국내에서 로봇치료는 상지와 하지의 중재를 포함한 언어, 인지, 발달 등의 다양한 영역의 재활을 위해 사용되고 있었다. 본 연구가 국내 로봇치료와 관련된 다양한 영역의 적용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By organizing systematically the study case that use Robot Therapy as intervention tool according to PICO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omestic Robot Therapy's present condition. Methods : We searched 710 pieces of domestic scientific 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로봇치료의 현황과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대상 연구들을 PICO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형식을 통해 중재 분야별로 사용된 연구도구와 그 효과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내의 연구동향과 앞으로의 로봇치료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국내의 로봇치료에 관한 중재 연구를 각 분야별로 정리하여 분야에 따른 대상자와 중재도구, 치료 결과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게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로봇치료의 현황과 사용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상지 관련 연구가 8개(53.
  • 본 연구는 재활분야에서 최근 적용되고 있는 로봇치료의 중재 영역에 따른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로봇 치료의 국내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의 효과와 분야를 살펴보기 위해 국내 로봇치료 연구 현황에 따른 체계적 고찰을 설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로봇 치료란 무엇인가? 로봇 치료란 인간의 기능수행을 위해 디자인된 물리적 장치에 전기적, 컴퓨터화된 제어 시스템을 적용한 로봇을 활용한 치료이다(Gert, Boudewijin & Hermano, 2008). 실생활과 유사한 가상현실 환경 및 치료실 환경 안에서 신체기능향상과 수행능력 증진을 목적으로 반복적인 실제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Hwang & Yoo, 2013).
재활치료용 로봇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재활치료용 로봇은 중재 목적에 따라 치료용 재활로봇과 보조용 재활로봇으로 나눌 수 있다(Song, 2011).치료용 재활로봇은 신경계 손상 환자의 신경 가소성을 중심으로 하여 사용된다(Jones & Kleim, 2008).
로봇 치료의 목적과 특징은? 로봇 치료란 인간의 기능수행을 위해 디자인된 물리적 장치에 전기적, 컴퓨터화된 제어 시스템을 적용한 로봇을 활용한 치료이다(Gert, Boudewijin & Hermano, 2008). 실생활과 유사한 가상현실 환경 및 치료실 환경 안에서 신체기능향상과 수행능력 증진을 목적으로 반복적인 실제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Hwang & Yoo, 2013).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의료 시스템은 의료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개인마다 신체 상태나 요구사항이 다양하여 고려할 사항이 많아 환자 개개인에 맞는 중재를 적용하기가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방문석, 김종배, 김은주, 송원경, 김정윤, 조덕연. (2012). 재활로봇 중개연구의 현황 및 발전전략. 국립재활원, 서울. 

  2. 송원경. (2011). 재활로봇의 현황과 전망. 대한전자공학회지, 38(11), 47-54. 

  3. 한국로봇산업진흥원. (2013). 2013년 로봇산업실태조사 보고서. http://www.kiria.org 

  4. Charles G. Burgar, Peter S. Lum, Peggy C. Shor, H. F., & Machiel Van der Loos. (2000). Development of robots for rehabilitation therapy: The Palo Alto VA/Stanford experienc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37(6), 663-673. 

  5. Gert, Boudewijin, & Hermano, (2008). Effects of Robot-assisted therapy on upper limb recover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Neurorehabil Neural Repair, 22(2), 111-121. 

  6. Han, B. Y. (2015). The Effect of a Story Intervention using Educational Humanoid Robot on Syntatic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Master;s degre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7. Hong. W. J. (2015). Short-term effect of robot-assisted therapy on arm reaching in subacute stroke patients(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8. Hwang, S. J., & Yoo, D. H., (2013). Effects of Robot-assisted Therapy on Function of Upper Extremity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3(1), 33-42. 

  9. Jeon, K. H. (2014). The Effect of AAC Intervention Using Humanoid Robot on Ability of Communicative Expression of Pre-schooler Children with Minimally Verbal. The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0. Jones, & Kleim, (2008). Principles of Experience-Dependent Neural Plasticity: Implications for Rehabilitation After Brain Damag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1(1), 0022-4677. 

  11. Kim, J. S. (2014). Clinical Outcome of Robot-assisted Arm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12. Kim, H. H., & Kim, K .M., & Chang, M. Y. (2012). Interventions to Promote Upper Limb Recovery in Stroke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1), 129-145. 

  13. Lee, J. H. (2015). The Effect of the Robot Education on the Behavioral Problems amd Attention of ADHD Children(Master's degree).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 ju 

  14. Lee, I. S. (2015). The Effect of Robot therapy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a patient with Parkinson's Disease(Master's degree).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Seoul. 

  15. Park, J. H. (2015). Effect of Robot-Assisted Left Hand Training on Unilateral Neglect in Patient With Stroke.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3(2), 117-127. 

  16. Park, J. H. (2013).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s of Robot-Assisted Therapy for Stroke Patient. Journal of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2(2), 21-36. 

  17. Seo, H. G., Beom. J. W., Oh. B. M., & Han. T. R. (2014). Effects of Robot-assisted Upper Limb Training on Hemiplegic patient. Brain & NeuroRehabilitation, 7(1), 39-47. 

  18. Song, J. H. (2008). The Effects of Robot Pet - assisted Program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2), 562-573. 

  19. Shin, Y. I., ,Yang, S. H., & Kim, J. Y. (2015). Clinical Feasibility of Wearable Robot Orthosis on Gait and Balance Ability for Stroke Rehabilitation: A Case Study.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27(2), 124-127. 

  20. Takahashi, Kayoko, Domen, Kazuhisa, Sakamoto, & Tomosaburo. (2016). Efficacy of Upper Extremity Robotic Therapy in Subacute Poststroke Hemiplegia. American Heart Association;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47-5. 

  21. Yoo, D. H., Lee, J. S., Kim, H. M., & Hong, D. G. (2012).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FES Intervention for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1), 111-126. 

  22. Yoo, S. W. (2014). Effect of Upper Extremity Robot Assisted Stretching and Strenghthening Exercise on Spasticity in Stroke Patient (Master's degree). Dong-A University, Bus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