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을 위한 세 행동체계 중심의 내용체계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 Structure Focusing on Three Systems of Action for the 2009 Revised Current Home Economics Curriculum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28 no.2, 2016년, pp.1 - 19  

주수언 (동국대학교 가정교육과) ,  유태명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실행할 수 있는 세 행동체계 중심의 교육과정 안을 개발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큰 어려움 없이 개별 가정과 교사가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세 행동체계에 대한 본질적 이해는 2009 개정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물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실행에도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명의 개발진, 3명의 검토진, 15명의 전문가 협의진을 구성하고 3차안에 걸쳐 세 행동체계 중심 교육내용 체계를 개발하였다. 1차안은 의, 식, 주, 가족 아동, 소비 가정경역과 세 행동체계를, 2차안은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의 중단원 수준에서 세 행동체계를, 최종안은 2009 개정 현행 가정과 교육과정의 소단원 수준에서 세 행동체계를 접목하여 내용체계를 개발하였다. 이 교육과정의 실행을 위한 지원체계를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curriculum content structure integrating three systems of actions for 2009 revised current 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content structure and content elements, a development team of two home economics scholars, a cooperating team of thre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 행동체계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것은 무엇인가? 세 행동체계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이론적 기초가 되는 비판과학 관점에서의 세 행동체계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Brown(1978)은 비판과학 관점에서 가정의 직면하는 항구적 본질의 실천적 문제를 중심으로 가정교과의 교육과정 내용이 선정되고 조직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우리나라 가정교과가 교과 고유의 의미와 특색을 제대로 살리지 못한 채 총론의 방향에 맞추어 천편일률적인 형태로 개발된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개발과정이 국가수준에서 이루어지는 행정적 절차를 중요시하고 관료적인 시스템에서 이루어진 점이 없지 않다. 이러한 경직된 교육과정 개발 절차 속에서 가정교과를 포함한 개별 교과들은 교과 고유의 의미와 특색을 제대로 살리지 못한 채 총론의 방향에 맞추어 천편일률적인 형태로 개발되기도 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가정교과의 미흡한점은 무엇인가?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과 맥을 같이하였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가정교과의 여섯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교육내용이 선정, 조직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단원에 구성된 교육내용은 가시적으로도 가정교과의 전통적인 내용영역인 식, 의, 주, 아동・가족, 가정경영・소비로 구분하기가 용이할 만큼 진정한 의미의 통합으로 보기에는 아직까지 미흡한 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rown, M. M. (1978). A conceptual scheme and decision-rules for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content. Madison, WI: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2. Brown, M. M. & Paolucci, B. (1979). Home Economics: A definition. Washington, DC :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 Chae J-H (1996). Concerns of Home Economics Teachers on Ohio's Work and Family Life Curriculum.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4(4), 327-343. 

  4. Habermas, J. (1971). Knowledge and human interests. Translated by J. Shapiro. Boston, MA: Beacon Press. 

  5. Johnson, J. & Fedje, C. (1999).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curriculum: Toward a critical science approach. Education and Technology Division, American Association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6. Laster, J. F. & Thomas, R. G.(ed) (1997). Thinking for ethical action in families and communities. AAFCS. 

  7. Laster, J. (2008). Nurturing critical literacy through practic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the Japan Associ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50(4), 1-12. 

  8. Lee C-S, Choi Y-H & Yoo T-M (2002).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objectives and contents of school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 home economics'(1).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9. Lee C., Wang S-S & Kim M. (2004).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Content Relevance in Practical Arts(Technology? Home Economics) Subject. Korean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10. Lee H-J & Cho J-S (2005). Importance of objectives of housing unit in Home Economics by three systems of ac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in middle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7(4), 117-131. 

  11. Lee K., Jin E., Kim K., Chae J-H, You J., & Kim S. (2010). A study on the curriculum improvements by subject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2009. Korean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12. Lee Y-S (2005).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가정교과의 대안적 모형. Proceedings of the 2005 Summer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pp.75-93). 

  13. Maryland Department of Education (2007). Maryland Family and Consumer Science Voluntary State Curriculum. http://www.marylandpublicschools.org/NR/rdonlyres/CBD7EC17-9343-43BD-B168-00DEF57A7A6E/20361/FACS_VSC_Chart_060707.pdf. 

  14. National Association of State Administrators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 (2008). National Standard for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Education. http://www.nasafacs.org/national-standards-and-competencies.html 

  15. NCIC (2016). http://ncic.kice.re.kr/ Retrieved on May 30, 2016. 

  16. Ohio Department of Education (1994). Work and family life curriculum guide. Columbus, Ohio. 

  17. Oh Y-H & Chae J-H (2005).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family value and needs on learning objectives of family life area according to the three systems of ac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7(2), 239-255. 

  18. Robert, D. (1980). Theory, curriculum development and unique events of practice. In H. Munby and G. Orpwood, & T. Russel. (eds.). Seeing curriculum in a new light: Essays from Science Education. 65-87 Toronto: OISE Press. 

  19. Ryu S-H (200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orientation and professional teaching practice of home economics teacher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8(8), 159-168. 

  20. Ryu H-R, Chong Y-S, & Chae J-H (1997). A study of needs perception toward the educational purposes of Home Economics subject in middle school.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6(1), 111-127. 

  21. Staaland, E. & Strom, S. (1996). Family, Food, and Society: A Teacher's Guide. Wisconsin Department of Consumer Sciences. 

  22. Thomas, R. G., & Laster, J. F. (1998). Inquiry into thinking. Education and Technology Division, American Association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23. Yang J-S (2016). The Ideal Portrait of Human Being Pursu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from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ong Nam, Korea. 

  24. Yoo N-S & Kim Y-N (1997). Teachers' needs assessment of food/nutrition of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three systems of ac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9(1), 83-94. 

  25. Yoo T-M & Lee S-H (2010). Practical problem focused family & consumer sciences instruction-the theory & practice. Seoul : Book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