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abermas의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Dietary Life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Home Economics that Integrated Habermas's Three Systems of Action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2 no.2, 2020년, pp.117 - 139  

최성연 (만정중학교) ,  채정현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개발하여 가정교과에서의 융합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문헌 고찰을 통해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식생활 교육과정의 특징, 개발의 중점사항, 핵심역량, 목표를 도출하였고, 국내외 식생활교육 문헌, 국내외 가정과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고찰하여 항구적 문제와 하위 실천적 문제를 설정하고, 내용 요소를 선정하였다. 개발된 교육과정의 내용체계가 타당한지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하여 수정·보완하였고,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중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개발하였다.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실천적 문제를 중심으로 되어있으며, 항구적 문제는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이다. 이 교육과정의 영역은 5가지로 '건강과 식생활', '식단계획', '식품 구매와 관리', '조리', '식사'이며, 이 영역이 '개인과 가족', '사회'로 교육과정의 범위가 반복적으로 확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5개 영역의 실천적 문제는 초·중·고등학교 급별, 두 차원(개인과 가족, 사회)으로 10개씩의 실천적 문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계열화의 원리가 적용되어 실천적 문제와 내용 요소가 나선형적 계열화가 되어있다. 이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우리나라 2015 초등학교 실과와 중·고등학교 기술·가정과, 가정과학 교육과정의 식생활 영역 성취기준 및 학습 요소와 비교한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모두 포함하면서 더 추가된 내용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hat integrates three systems of action and to prepare a plan for convergence education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To achieve this goal,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econdary school 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교과에서 중점을 두는 부분은 무엇인가? 가정교과는 초⋅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성숙한 개인과 행복한 가정생활에 목표를 두고, 개인과 가족이 매일의 일상생활에서 겪는 실천적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주는데 주안점을 둔다(Chae, Park, Kim & Han, 2017). 실천적 문제는 개인과 가족이 겪는 문제로 합리적 사고뿐만 아니라 윤리적인 사고를 필요로 하며 개인, 가정, 그리고 사회로 범위를 넓혀 사고하여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융합의 정의는 무엇인가? 융합이란 하나 이상의 물질이 함께 녹아서 화학적으로 서로 합쳐져서 하나가 되는 것이다(Wilson, 1998/2005). 세 가지 행동체계의 융합은 세 가지 행동인 기술적 행동, 의사소통적 행동, 해방적 행동이 합쳐져서 Habermas의 의사소통적 실천으로 나아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적절하게 공식화된 과학은 지식의 포괄적인 이론에 바탕을 두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가족이 직면하는 실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하게 공식화된 과학은 지식의 포괄적인 이론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 이는 이성이 실증적이거나 분석적이거나 규범적인 것으로만 국한되지 않기 때문이다. 지식의 모든 원천들은 실천학문에 수용되어야 하며, 각 메타과학의 경우 진실은 가장 합리적으로 설득력 있는 주장을 만드는 것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Baldwin, E. E. (1989). A critique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secondary schools. In F. H. Hulgreem & D. L. Coomer(Eds.), Alternative modes of inquiry in home economics research (pp. 236-250). Peoria, IL: Glenocoe Publishing Co. 

  2. Brown, M. M. (1979). A conceptual scheme and decision-rules for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content: Wisconsin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Evaluation Project (No. 33). Madison, WI: The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3. Brown, M. M., & Paolucci, B. (1979). Home Economics: a definition. Washington, DC: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 Brown, M. M. (1980). What is Home Economics education?. Minneapolis, MN: Minnesota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Vocational Education. Department of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5. Chae, J. H., Park, M. J., Kim, S. G., & Han, J. (2017). 가정과교육론 [Home economics education theory]. Paju: Gyomunsa. 

  6. Choi, H. J., Kim, K. H., Kim, E. J., Hong, E. J., & Kwon, H. S. (2018). 고등학교 가정과학 [High school Home Economics Science]. Seoul: Chunjae textbook. 

  7. Erb, T. O., Wissman, J. R., & Havlicek, B. J. (1994). Meeting the challenge of turning points: The role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In Smith, F. M., & Hausafus, C. O.(Eds.), The education of early adolescents: Home Economics in the middle school: Yearbook 14 (pp. 49-59). Teacher education section.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8. Habermas, J. (1970). Toward a theory of communicative competence. In Dreitzel, H. P., (Ed.), Recent Sociology No. 2: Patterns of Communicative Behavior (pp.114-148). New York: Macmillan, 

  9. Habermas, J. (1973). Theory and practice. (J. Viertel, Trans.). Boston: Beacon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63). 

  10. Habermas, J. (1987). Knowledge and human interests. (J. J. Shapiro, Trans.). Malden, MA: Polity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68). 

  11. Jeon, S. K. (2010). Education meanings and effective practical plans of school dietary lif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22(1), 117-135. 

  12. Jeon, S. K. (2014). The plan for development of subsequent curriculum based on the section 'family life' of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from elementary and secondary courses and key competenc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26(4), 35-50. 

  13. Jin, E. N., Kim, H. S., Kim, K. C., Jang, G. J., Park, S. Y., & Lee, E. H. (2014). 교과 교육과정 쟁점 및 개선 방향: 도덕, 실과(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 [Issues with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to subject curriculum]. (KIEC RRC 2014-7)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4. Jin, E. N., Yu, C. W., Jang, G. J., Lee, Y. M., Park, S. Y., Yang, Y. J.,...Ryu, S. H. (2015).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실행 방안: 실과(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 [Action (Implementation) plans of subject education for enhancing core competencies]. (KIEC RRC 2015-8).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5. Ju, S. E., & Yoo, T. M. (2016a). Core-concepts and three systems of action ba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design.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2(2), 123-141. 

  16. Ju, S. E., & Yoo, T. M. (2016b). Development of content structure focusing on three systems of action for the 2009 revised current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8(2), 1-19. doi:10.19031/jkheea.2016.06.28.2.1 

  17. Jung, H. R. (2017). 제4차 산업혁명과 식생활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s and dietary life]. Proceedings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Spring Conference, Korea, 34-52. Seoul: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 Kang, H. S. (2011). 현대 교육과정 탐구 [Modern curriculum inquiry]. Seoul: Hakjisa. 

  19. Kister, J. (1994). Nutrition and wellness resource guide: A resource for teaching the nutrition and wellness core course area of Ohio's work and family life program. Columbus, OH: Ohio State Univ. Vocational Instructional Materials Lab. 

  20. Ko, M. J., & Kim, Y. H. (2012). The effects of green f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practical problem solutions to the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5(2), 151-172. 

  2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7). 2016 건강행태 및 만성질환 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2016 Health Behavior and Chronic Disease Statistic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online survey on youth health behavior]. (11-1352159-000313-01). Chu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2. Lee, G., Ban, H. J., Huh, S. Y., Park, I., Kim, T., & Jin, H. (2014). 2014 식품소비행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A Basic Analysis Report on Food Consumption Behaviors in 2014]. (E16-2014). Seoul: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3. Kwon, Y. (2018). A study for applying subject competencies to the national curriculum for Home Economics through analyzing the 21st century process skills model. Korean Education Inquiry Korean Education Inquiry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36(1), 115-136. doi:10.22327/kei.2018.36.1.115 

  24. Lee, C. S., Lee, Y. J., Kwon, Y. U., Lee, S. S., Park, D. H., Ryu, S. H.,...Park, M. J. (2019). 초등학교 실과 5, 6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5, 6]. Seoul: Chunjae textbook. 

  25. Lee, C. S., Moon, D. Y., Shin, K. K., Park, J. S., Kim, D. I., Lee, M. G.,...Sung, E. J. (2018a). 중학교 기술.가정 1, 2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Seoul: Chunjae textbook. 

  26. Lee, C. S., Song, J. W., Kwon, H. S., Yoon, Y. J., Kim, D. N., Kim, J. W.,...Kwon, Y. M. (2018). 고등학교 기술.가정 [High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Seoul: Chunjae textbook. 

  27. Lee, E. J. (2017). Trends and direction of dietary education research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30(1), 83-106. doi:10.20954/jkpae.2017.30.1.83 

  28. Maryland State Dept. of Education (1996). Family and consumer science. A Maryland curriculum framework. MA: Baltimore Maryland State Dept. of Education, Div. of Career Technology and Adult Learning. 

  29. Ministry of Education (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informatics curriculum I]. Notice No. 2015-74 [Separate 10]. 

  30. Montgomery, B. (2008). Curriculum development: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Journal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Educaiton, 26. Retrieved from http://www.natefacs.org/Pages/v26Standards3/v26Standards3Montgomery.pdf 

  31. National Association of State Administrators for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2008). National standard for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education. (2nd ed). Decatur, GA: Vocational-Technical Education Consortium of States. 

  32. National Association of State Administrators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2018).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national standards 3.0. Retrieved from http://www.nasafacs.org/national-standards-overview.html 

  33. North Allegheny School District (1999).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Curriculum Review Report. PA: North Allegheny School District, Pittsburgh. 

  34. Park, Y. S., & Glenn, J. (2016). 유엔미래보고서 2050 [State of the future 2050]. Paju: Gyobomungo. 

  35. Park, Y. S., & Glenn, J. (2017a). 세계미래보고서 2018 [World future report 2018]. Seoul: Businessbooks. 

  36. Park, Y. S., & Glenn, J. (2017b). 세계미래보고서 2055 [World future report 2055]. Seoul: Businessbooks. 

  37. Parnell, F. B. (2017). Succeeding in life and career: Foundations of human studies, 11th Edition. Wilmington, NC: The Goodheart-Willcox Company, Inc. 

  38. Rubio, D. M., Berg-Weger, M., Tebb, S. S., Lee, E, S., & Rauch, S. (2003). Objectifying content validity: Conducting a content validity study in social work research. Social Work Research, 27(2), 94-104. 

  39. Sang, E. Y., & Kim, J. W. (2016). Development of STEAM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9(1), 1-18. doi:10.20954/jkpae.2016.03.29.1.1 

  40. Song, H. J., & Choi, S. Y. (2013). A study on intake and purchasing behavior of processed food among adolescents.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19(1), 230-243. 

  41. Staaland, E., & Strom, S. (1996). Family, food, and society: A teacher's guide. WI: Wisconsin State Dept. of Public Instruction, Madison. 

  42. Sung, Y. K. (2019). 사회변동과 교육과정의 자기혁신: 가정과교육에 거는 기대[Social change and self-innovation in curriculum: expectations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Spring Conference, Korea, 15-44. 

  43. Tak, M. G., & Lee, J. E. (2015). 주요 선진국의 식생활교육 현황과 시사점 [The present status and implications of dietary education in major developed countries]. World agriculture, 179, 1-27. 

  44. Williams, S. K. (1990). Global education: implications for Home Economics. In Williams, S. K., West, D. L., & Murray, E. C.(Eds.). Looking toward the 21st century: Home economics and the global community. Home Economics teacher education: Yearbook 10 (pp. 1-13). Teacher education section.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5. Wilson, E. (2005). 통섭: 지식의 대통합. (J. C. Choi, & D. I. Jang, Trans.). Seoul: Science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1998). 

  46. Yang, J., & Yoo, T. (2018). The ideal portrait of human being pursu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based on key competence and key concept.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4(1), 35-65. 

  47. Yoo, T., Ju, S., & Yang, J. S. (2019). Direction of praxi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the transformation of future society drawn from the Habermas's critical theory.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31(1), 169-192. doi:10.19031/jkheea.2019.03.31.1.1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