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6학년 때 바느질실습 수업 경험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과 요구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Needs about the Experience of Sewing Practice Class in 6th Grade at Elementary School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28 no.4, 2016년, pp.61 - 77  

김상미 (주감중학교) ,  권영숙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학교 1, 2학년 남녀 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6학년 때 경험한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인식과 현재의 요구를 알아보고, 중학교 바느질실습 수업 개선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실습내용이나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중간값(3.00)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수업 평가의 하위 영역 중 참여도가 평균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흥미도, 난이도, 필요도, 중요도, 활용도 순이었으며 모두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바느질실습 수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가정교사는 이를 염두에 두고 수업을 설계하거나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의 원인이나 요구를 파악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바느질실습 수업 평가에 성별, 실습내용, 교수 학습 방법 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가정교사는 성별이나 학년에 상관없이 실습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학생들이 실습내용을 자유롭게 선정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실습내용으로 실습하기 위해서는 학생 중심 활동이나 모둠 중심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생활용품과 장식품을 만들거나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것을 자유롭게 만들기를 희망하였다. 구상한 것을 자유롭게 만들거나 모둠 활동을 통해 모둠 작품을 만드는 새로운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는 중간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요구나 도출한 시사점을 가정교사가 수업을 설계하는데 반영한다면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016 $1^{st}$ and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investigate of their perceptions and needs on sewing practice class, which had been experienced during their $6^{th}$ grade elementary school year. Implications and improv...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습이란 무엇인가? 바느질수업의 교수 학습은 만들기 활동이 이루어지기 전 지식의 습득은 이론 수업, 기술의 습득은 실습 수업의 형태를 띠면서 강의법과 실습 교수 학습 방법의 병행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실습은 이미 배운 이론을 토대로 실제로 해 보고 익히는 일(naver, 2016)이자 학생들이 어떤 기능을 어느 수준까지는 숙달할 수 있도록 하고 일에 대한 올바른 태도와 습관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계속적 반복적으로 실행하는 정신적 육체적 활동이다(Park, 2011). 실습은 바느질수업의 대표적인 교수 학습 방법으로서 지금도 학교 현장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다.
바느질 실습내용은 동일용품 만들기를 벗어나 창의적 작품 만들기로 선정해야 하는 이유는? 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3.32로 중간보다 약간 높은 편이었다(Table 4). 하위 요인별 평균 점수는 쿠션의 모양이 3.53으로 가장 높았다. 재료에 대한 만족도는 성별과 학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2학년보다 1학년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가장 만들고 싶은 것이 쿠션이었다는 평균이 중간값보다 낮았다. 실습내용을 교사가 일방적으로 정하거나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더라도 일부 학생의 욕구만 만족시킬 뿐이지 모든 학생을 만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실습내용은 동일용품 만들기를 벗어나 다용도 작품, 모양이 변하는 작품, 새로운 재료를 이용한 작품 등 창의적 작품 만들기로 선정해야 한다.
초창기 바느질교육은 무엇에 중점을 두었나? Scranton) 부인이 설립한 이화학당에서 설립 10년만에 재봉과 자수를 가르쳤다(최경은 외, 2013)는 사실을 통해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바느질교육의 목표, 내용, 교수 학습 방법을 살펴보면, 초창기 바느질교육은 생산성 향상과 기술인 양성을 위해 기초바느질 및 의복구성에 관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에 중점을 두었다.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보면 옷 만들기가 명시되어 있어 실습내용은 의복이었고, 6차 교육과정부터 생활용품이나 소품 등으로 실습내용이 다양해졌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Baek Seung-Hee, Lee Hye-Ja & Han Young-Sook (2006). Teachers' recognition on the optimiz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in practical arts or technology.home economics. Journal of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97-117. 

  2. Kang Mi-Hyang & Oh Kyung-Wha (2006).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and need for clothing section of home economics in the textbook. Journal of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2), 63-77. 

  3. Kim Ju-Kyung (2007). A study on the class operations and adequacy of curriculum regarding "clothes-making and its reuse" unit in the subject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4. Kim Tae-Hee, Park Myung-Ja & Lee Ji-Yeon (2007). The interests, application, and learning desire of clothing section in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of middle school.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8(5), 1017-1030. 

  5. Lee Yun-Jung (2013). Feasibility exploration of invention education & development of invention education program in clothing & textile field,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9(4), 25-47. 

  6. Oh Ji-Yun (2010). A study on analysis for clothing section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research of students' awar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Kyongbuk, Korea. 

  7. Park Chang-Woo (2011). A research on actual condition for activation of clothing construction in the curriculum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 a middle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8.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09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9. 네이버 (2016). http://dic.naver.com 

  10. 최경은.정미경.이윤정 (2013). 초등 의생활 교육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