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협업 능력 함양을 위한 바느질실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ewing Practice Program for Impro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llaborative Ability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0 no.3, 2018년, pp.195 - 213  

김상미 (화명고등학교) ,  권영숙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바느질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협업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 대상은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고,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 통제 집단 설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하위 요소인 확산적 사고력과 설득력에서 실험 집단의 학생이 통제 집단의 학생에 비해 사후검사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향상을 보여,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부분적이나마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입증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다양한 아이디어 생성', '창의적 아이디어의 재탄생', '자기주도적 학습', '능동적인 문제 해결', '즉각적인 피드백'의 학습 경험과 연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실험 집단의 학생이 통제 집단의 학생에 비해 협업 능력에서 사후검사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협업 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입증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협업 능력은 '긍정적인 모둠 분위기 형성', '모둠원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 '함께 활동하기'의 학습 경험과 연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생 중심의 바느질실습 수업을 설계하여 수업의 효과를 양적 분석방법과 질적 분석방법을 혼합하여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by developing and applying a new program for improvemen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llaborative ability. Development of a sewing practice program was performed through the ADDIE mode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st grade middle s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창의성의 속성과 문제해결의 속성을 모두 가지고 있으므로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들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에 필요한 여러 단계를 거쳐 발현된다(Cho, Sung & Lee, 2008). 먼저,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구성요소는 연구하는 학자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일반 영역에서의 지식과 기능, 특정 영역에서의 지식과 기능, 동기,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Urban, 1995)로 이루어져 있다. 집단 수준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요소에는 개인 특성뿐만 아니라 집단의 구조 및 문제해결 과정과 관련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창의적 문제해결력이란? Feldhusen과 Treffinger(1985)는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의 두가지 개념을 결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만들었다. 창의적 문제해결력이란 창의적 사고 과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Cho & Lee, 2014) 즉 다른 사람들이 생각해내지 못한 독특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의미한다(Lee & Park, 2013). 
바느질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협업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의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하위 요소인 확산적 사고력과 설득력에서 실험 집단의 학생이 통제 집단의 학생에 비해 사후검사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향상을 보여,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부분적이나마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입증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다양한 아이디어 생성', '창의적 아이디어의 재탄생', '자기주도적 학습', '능동적인 문제 해결', '즉각적인 피드백'의 학습 경험과 연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실험 집단의 학생이 통제 집단의 학생에 비해 협업 능력에서 사후검사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협업 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입증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협업 능력은 '긍정적인 모둠 분위기 형성', '모둠원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 '함께 활동하기'의 학습 경험과 연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eten, M., Kyndt, E., Struyven, K., & Dochy, F. (2010). Using student-centered learning environments to stimulate deep approaches to learning: Factors encouraging or discouraging their effectiveness. Educational Research Review, 5(3), 243-260. 

  2. Chi, E. L., & Ju, U. H. (2012). Exploring the construct and developing the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creative leader competency.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5(1), 69-94. 

  3. Cho, B. R., & Lee, J. M. (2014). Effects of STEAM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ity and learning flow.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9), 87-105. 

  4. Cho, Y. H. (2015). The effects of the gifted-mathematics programs on development of creativity : A meta analy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Gyeonggido, Korea. 

  5. Cho, Y. J. (2015). Development of clothing & textiles program for enhanc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 Focusing on the unit practice of creative clothing & textile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8(4), 255-269. 

  6. Cho, Y. S., Sung, J. S., & Lee, H. J. (2008). Creativity education: developing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7. Hong, H. I. (2015).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strategy enhancing the logical thinking skill and creative thinking skill through the science teaching about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8. Ingrid Riedel. (2000). 융의 분석심리학에 기초한 미술치료. (정여주 역). 서울: 학지사. 

  9. Jehn, K., & Mannix, E. (2001). The dynamic nature of conflict : A Longitudinal Study of Intragroup Conflict and Group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44, 238-251. 

  10. Jung J. H. (2003). Study on sewing, self-therapeutic expression of femininity : Based on my wor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1. Kang, S. M. (2010). A study on the collaboration design process to improve group creativ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ed on 'group investigation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2. Kim, H. J., & Seol, H. D. (2014). The role of group characteristics and integrative cap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reativity and group creativity.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 Commerce, 10(6), 481-503. 

  13. Kim, J. S. (2014). The effects of making a hand-sewed doll on the attention concentration ability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Gyeonggido, Korea. 

  14. Kim, M. S., Choi, S. D., & Kim, K. E. (2013). Children's creative thinking process and products : strategies and solutions of an anti-cafe problem. Journal of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9(2), 99-117. 

  15. Kim, S. M., & Kwon, Y. S. (2016).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needs about the experience of sewing practice class in 6th grade at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 Education, 28(4), 61-77. 

  16. Kim, Y. M., & Lee, Y. J. (2009). The effect of the cooperative problem-solving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the unit 'Hand Sewing Class' at practical art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2(3), 197-217. 

  17. Kwon, D. E. (2014). An effect of multidisciplinary design education for creative process and climate in collaborative design proc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8. Lee, H. J. (2017). A study on the effects of small group collaboration education on 21C main competence, affective attitude and academic performance: With a focus on prob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 Korea. 

  19. Lee, H. J., Choi, Y. H., & Ko, Y. J. (2015). Effects of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SSI instruction on promoting middle school students' key competencies as citize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3), 431-442. 

  20. Lee, H. S., Pyo, J. M., & Choe, I. S. (2014). Development and validity of creative problem solving profile inventory (CPSPI).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4(5), 733-755. 

  21. Lee, K. H., & Park, C. S. (2013). The effects of mission invention program of team project on the primary students' creativity and satisfaction.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13(3), 71-90. 

  22. Lim, J. H. (2013). Study of culture and education method that utilizes hand-sewn creativ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wangju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3. Moon, S. Y. (2016). Analysis of thinking process in science activities based on group crea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24. Park, C. W. (2011). A research on actual condition for activation of clothing construction in the curriculum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 a middle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5. Park, J. K. (2009). The effect of sewing program in Waldorf early childhood education method on early childhood's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6. Ryu, H. S. (2010). Study on the effects and influential factors of group creativ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wan University, Seoul, Korea. 

  27. Seo, E. B., & Lee, S. S. (2013). Development of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using needlework with analysis of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6(2), 41-58. 

  28. Shim, M. S. (2013).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sewing on depression and the self-efficacy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29. Shin, S. M. (201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EAM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the 'environmental friendly clothing and garment recycling' unit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30. Urban, K. (1995). Creativity-A component approach model. Paper presented at the 11th world conference on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Hongkong. 

  31. Yang, M. K. (2011). Exploring the principles of collaborative learning for realiz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3(2), 457-483. 

  32. 교육부(2015).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33. 김영천(2010). 질적연구방법론3(글쓰기의 모든 것).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34. 정예진(2018). 컴퓨팅 사고력(CT)을 활용한 수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이 초등 수학 영재 학생의 융합적 사고력 및 협업 역량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