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숲교육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기분상태,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rest Education Program on Juvenile Probationers' Mood States, Self-esteem, and Self Control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5 no.2, 2016년, pp.253 - 260  

엄문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이연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하시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숲교육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심리정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5년 산림청-법무부 공동주관으로 추진된 숲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보호관찰 청소년 7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척도를 활용하여 숲교육 프로그램 참가 전 후의 기분상태,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숲교육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 기분에 긍정적 변화, 자아존중감 증가, 장기적 만족추구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수강명령 프로그램으로써 숲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이 보호관찰 청소년에게 갖는 긍정적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forest education on juvenile probationer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Changes of mood states, self-esteem, self-control of 77 juvenile probationers, who attended forest education program co-managed by Korea Forest Service and Ministry of Justice in 201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숲교육이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장소 또는 도심과 다른 환경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숲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되나 현재까지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에 숲교육 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하지만 숲교육 프로그램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규명한 선행연구가 여전히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호관찰 청소년을 대상으로 숲교육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수강명령 프로그램으로써 숲교육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산림청과 법무부가 공동주관하여 보호관찰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된 숲교육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기분상태,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를 통해 숲교육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심리정서 변화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보호관찰 청소년들의 건전한 사회복귀 및 재범방지를 위한 숲교육의 역할이 기대되는 바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 결과는 보호관찰 청소년이 이수해야 하는 수강명령 프로그램으로써 숲교육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밝히고 보호관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숲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2011)에 따르면 숲체험이 우울, 분노/적대감, 혼란, 긴장/불안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낮추어주고 긍정적 정서가 증가하여 안정감을 느끼게 되고 기분개선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숲교육 프로그램이 특정 정서에 대하여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이 아니기때문에 우울, 불안, 분노와 같은 정서를 면밀히 측정하기보다 청소년들이 숲교육 프로그램 참가 직전과 직후에 느끼는 즉각적인 정서반응으로써 기분의 상태를 측정하고 그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렇듯 숲교육은 청소년이 숲과 환경에 대하여 갖는 태도와 관심을 증진시키고, 청소년 개인의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숲교육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보고자 시도되었다.
  • 따라서 보호관찰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인의 내적·외적 보호요인 및 위험요인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설계 및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보호관찰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수강명령 프로그램 가운데 숲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는 2015년에 산림청-법무부에서 공동 추진한 숲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보호관찰 청소년의 숲교육 프로그램 참가 전·후 기분상태,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밝히는 데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호관찰제도는 어떤 제도인가? 이처럼 보호관찰제도는 유죄가 인정된 범죄를 저지른 청소년을 소년원과 같은 교정시설에 수용하는 대신 사회 내에서 자유로운 생활을 허용하면서 보호관찰관의 지도·감독·원호 하에서 일정시간 사회에 유익한 근로봉사를 하거나 범죄성 개선 교육을 받도록 하는 제도이다(Kim, 2014). 이렇듯 보호관찰제도는 범죄를 저지른 청소년에게 형벌을 가하거나 처벌하여 범죄자로 낙인(naming)을 찍기보다 청소년을 지역사회로 재편입할 수 있도록 돕고 재범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보호관찰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인의 내적·외적 보호요인 및 위험요인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설계 및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근거는? Eccles et al.(2003)에 따르면 개별 프로그램이 추구하는 목적, 목표에 따라 건설적이고 잘 구성된 활동은 청소년들이 학교를 포함한 다양한 상황에서 필요한 사회적, 신체적, 인지적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활동을 통하여 그들이 속한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써 소속감을 느끼고 더 나아가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 이는 회복적 사법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목표와 유사하며 보호관찰 대상자에게 실시되는 수강명령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이를 실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보호관찰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인의 내적·외적 보호요인 및 위험요인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설계 및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기통제력이란? 보호관찰 청소년에게 자아 통제력 향상은 재사회화를 위하여 주요한 요인으로 살펴볼 수 있다. 자기통제력은 외부의 지시나 감독 없이 사회적 요구에 적합한 행동을 하고, 미래에 더 큰 결과를 얻기 위하여 일시적 충동을 참고 인내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Lee, 2000). 또한 자기통제력의 결여는 분노표현과 같은 내재적 문제행동과 과잉행동, 반항행동, 적대적 공격행동과 같은 외현적 문제행동을 유발한다(Chu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ssembly, U.G. 1999.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20 November 1989. United Nations, Treaty Series 1577: 3-123. 

  2. Campbell, A., Converse, P.E., and Rodgers, W.L.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Russell Sage Foundation, New York, U.S.A. pp. 583. 

  3. Cheong, K.M. 2013. A study on the probation experience of adolescent probationers, unpublished doctorate thesis, Sung Kyun 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4. Choi, I.S. and Ha, S.Y. 2015. Experimental Changes of the Young People through Ecological Experience Activities: Targeting the 2014 Green Camp Participants,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7(2): 99-114. 

  5. Chung, J.Y., Doh, H.S., and Choi, M.K. 2005.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Parental Modes of Verbal Control and Children's Self-control,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6): 305-319. 

  6. Compton, W.C. 2005.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Thomson Wadsworth, Belmont, California, U.S.A. pp. 276. 

  7. Eccles, J.S., Barber, B.L., Stone, M., and Hunt, J. 2003.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adolescent development, Journal of Social Issues 59(4): 865-889. 

  8. Eom, M.S., Ha, S.Y., and Lee, Y.H. 2015. Effect of Forest Experience o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Forest,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State-Trait Anxie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9(4): 45-52. 

  9. Hair, J.F., Anderson, R.E., Tatham, R.L., and Black, W.C.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ition, Prentice Hall. New Jersey, U.S.A. pp.768. 

  10. Jeon, B.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 Sei Nonchong 11: 107-129. 

  11. Kim, H.J. 2014. Youth White Pape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12. Kim, S.A., Joung, D.W., Kim, G.W., and Park, B.J. 2015. The Effect of Forest Activities on Attitude Toward Forest and Mental Heal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9(4): 35-43. 

  13. Lee, M.S. 1998.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Korean workers and associated variables, unpublished doctorate thesis, YonSei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14. Lee, H.J. 2007. Restorative Justice in Korean Criminal Justice System - Past, Present, and Future, Journal of Criminal Law 19(3): 309-310. 

  15. Lee, H.J. 2009. Restorative Justice Discourses and Practice, Ewha Law Journal 14(2): 1-27. 

  16. Lee, J.Y., Nam, S.K., Lee, M.K., Lee, J.H., and Lee, S.M. 2009. Rosenberg' Self-Esteem Scale: Analysis of Item-Level Validit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1(1): 173-189. 

  17. Lee, K.N. 2000. Development Study of the Child's Self-Control Scale,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7(1): 99-120. 

  18. Lim, H.J., Kim, S.H., Choi, Y.H., Jo, M.J., and Park, B.J. 2011. The Psychological Relaxation Effects of Forest Experience in Natural Recreation Forest,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11(2): 77-80. 

  19. Nam, H.M. and Ok, S.W. 2001.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 Self-control and Friends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Problem Behavior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9(7): 37-58. 

  20. Park, J.H. 2013. The Effect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 on the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Republic of Korea. 

  21.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ew Jersey, U.S.A. pp. 326. 

  22. Ryu, S.Y. and Kim, M.H. 2012. Psychological healing effect through ecological experience: A case study of Greencamp participants in 2012, Korean Academic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27(5): 157-176. 

  23. Son, J.W., Ha, S,Y., and Kim, J.J.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Forest and Aggression in Young Peopl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1): 74-81. 

  24. Woo, Y.J., Lee, Y.J., Kim, D.J., and Jo, Y.M. 2015. Influence of Walking in the Forest Image on Aggression and Self-Esteem of Female Reformatory Facil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8(2): 105-1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