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식물검역관리 대상 Phytophthora pinifolia를 대상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병원균 종동정 및 검출을 위해 Ypt1 유전자 염기서열을 활용하여 제작된 종 특이적 분석용 분자마커와 다양한 PCR 기법을 활용하여 병원균들에 대한 다양한 검출기술의 표준화 및 최적 검출 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실제 검역검역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병원균 존재여부의 신속, 정확한 판별기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Ypt1 영역의 염기서열을 기초로 선발된 종 특이적 primer는 1~10 pg의 검출민감도를 가지며 193 bp의 종 특이적 PCR 증폭산물을 형성시켰다. 또한 선발된 종 특이적 primer의 종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 식물검역대상에 포함된 Phytophthora속 종들과 주요 식물병원균들을 대상으로 conventional PCR과 real-time PCR을 수행한 결과 목표로 한 P. pinifolia DNA에서만 특이적 PCR 증폭산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발된 종 특이적 primer에 대한 PCR의 검출 민감도를 확인했을 때 conventional PCR의 검출민감도는 1~10 pg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stablish a rapid and accurate detection of Phytophthora pinifolia, which is a quarantine pathogenic fungus in Korea, a species-specific primer was developed based on the ras-related protein (Ypt1) gene. Species-specific primer based on the DNA sequences of Ypt1 gene amplified 193 bp polymeras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inifolia 병원균의 분자적 종동정을 위한 conventional 및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용 종 특이적 분자마커를 개발하였다. 나아가 종 특이적 분자마커들을 이용한 다양한 PCR 분석기법을 실제 검역 현장에서 신속 정확한 P. pinifolia 병원균의 신속 정확한 검출 및 종동정에 활용하도록 표준화된 검출 기법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 pinifolia 병원균을 대상으로 Ypt1 유전자 영역의 DNA 염기서열을 이용해 유연관계를 분석하여 국내 식물검역대상 P. pinifolia 병원균의 분자적 종동정을 위한 conventional 및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용 종 특이적 분자마커를 개발하였다. 나아가 종 특이적 분자마커들을 이용한 다양한 PCR 분석기법을 실제 검역 현장에서 신속 정확한 P.
  • 이 연구는 농림산물에 큰 피해를 입힐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주요 식물검역관리 대상으로 지정한 병원균인 P. pinifolia를 대상으로 검역현장에서 보다 더 신속하고 정확한 병원균 검출을 위해 다양한 PCR 기법을 활용할 수 있는 Ypt1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으로 얻어진 분석용 종 특이적 분자마커를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hytophthora pinifolia는 언제 어디서 처음 발견하였나? 2004년 칠레에서 처음 보고된 소나무 역병균인 Phytophthora pinifolia의 경우는 2006년에 약 60,000 ha의 소나무 산림을 파괴시켜 칠레에 경제적으로 막대한 손실을 주었고[2], 현재는 소나무 원목 수입국인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그 위험성이 알려져 자국 내 유입을 막기 위해 칠레산 소나무 수입시 검역이 강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수목 류에 큰 피해를 끼치는 병원균들이 국내에 유입되게 된다면 산림의 대부분이 참나무류와 소나무류로 이루어져 있는 우리나라 같은 경우 큰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다.
ITS 영역으로 만든 Phytophthora속 종동정을 위한 primer의 단점은? 선행 연구들에서 Phytophthora속 종동정을 위한 primer 의 개발이 다양하게 시도되었으나 대부분이 ITS 영역에 한정된 것이었다. 그러나 ITS 영역의 경우 유연관계가 높은 P. pirimulae, P. brassicae, P. porri의 종간 비교에 적합하지 않았고[11], P. ramorum과 P. lateralis에 있어서는 상호간의 유전적 유사도가 높아[12] 기존에 사용되었던 primer들의 평가에서 비특이적인 증폭을 낳거나[13], 특이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두 가지 이상의 primer를 사용하여 두 번의 PCR을 수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14].
Phytophthora속 균주들의 분류와 종동정 및 검출을 위한 종 특이적 분자마커로 개발 가능성이 높은 영역은 어디인가요? mtDNA-IGS 영역의 경우 종간과 종내에서 충분한 특이성이 존재하여 유연관계가 가까운 병원균의 종동정에 적합하다는 보고가 있었으나[5], 이 영역은 AT/GC의 비율이 높고 종내 변이가 심해 종동정을 위한 분자마커의 개발이 어렵다는 한계를 보였다[6]. 그러나 Ypt1 (ras-related protein) 유전자 영역은 유전자 내부의 염기서열 상에 종간 변이가 존재하면서도 종내 변이는 적어 Phytophthora속 균주들의 분류와 종동정 및 검출을 위한 종 특이적 분자마커의 개발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최근 이 영역에서 분자마커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7, 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5th ed. Seoul: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2009. 

  2. Duran A, Gryzenhout M, Slippers B, Ahumada R, Rotella A, Flores F, Wingfield BD, Wingfield MJ. Phytophthora pinifolia sp. nov. associated with a serious needle disease of Pinus radiata in Chile. Plant Pathol 2008;57:715-27. 

  3. Cooke DE, Drenth A, Duncan JM, Wagels G, Brasier CM. A molecular phylogeny of Phytophthora and related Oomycetes. Fungal Genet Biol 2000;30:17-32. 

  4. Martin FN, Tooley PW.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phytophthora species inferred from sequence analysis of mitochondrially encoded cytochrome oxidase I and II genes. Mycologia 2003;95:269-84. 

  5. Wattier RA, Gathercole LL, Assinder SJ, Gliddon CJ, Deahl KL, Shaw DS, Mills DI. Sequence variation of intergenic mitochondrial DNA spacers (mtDNA-IGS) of Phytophthora infestans (Oomycetes) and related species. Mol Ecol Notes 2003:3;136-8. 

  6. Schena L, Cooke DE. Assessing the potential of regions of the nuclear and mitochondrial genome to develop a "molecular tool box" for the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ytophthora species. J Microbiol Methods 2006;67:70-85. 

  7. Meng J, Wang Y. Rapid detection of Phytophthora nicotianae in infested tobacco tissues and soil samples based on its Ypt1 gene. J Phytopathol 2010;158:1-7. 

  8. Chen Q, Li B, Liu P, Lan C, Zhan Z, Weng Q.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pecific PCR and LAMP assays for the rapid detection of Phytophthora melonis. Eur J Plant Pathol 2013;137:597-607. 

  9. Murray MG, Thompson WF. Rapid isol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lant DNA. Nucleic Acids Res 1980;8:4321-5. 

  10. Chen Y, Roxby R. Characterization of a Phytophthora infestans gene involved in the vesicle transport. Gene 1996;181:89-94. 

  11. Winton LM, Hansen EM. Molecular diagnosis of Phytophthora lateralis in trees, water, and foliage baits using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Pathol 2001;31:275-83. 

  12. Werres S, Marwitz R, Man In't Veld WA, de Cock AW, Bonants PJ, de Weerdt M, Themann K, Ilieva E, Baayen RP. Phytophthora ramorum sp. nov., a new pathogen on Rhododendron and Viburnum. Mycol Res 2001;105:1155-65. 

  13. Martin FN, Coffey MD, Zeller K, Hamelin RC, Tooley P, Garbelotto M, Hughes KJ, Kubisiak T, Bilodeau GJ, Levy L, et al. Evaluation of molecular markers for Phytophthora ramorum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testing for specificity using a standardized library of isolates. Phytopathology 2009;99:390-403. 

  14. Hughes KJ, Tomlinson JA, Griffin RL, Boonham N, Inman AJ, Lane CR. Development of a one-step real-time PCR assay for diagnosis of Phytophthora ramorum. Phytopathology 2006;96:975-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