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개별 권리객체 기반의 3차원 지적정보 구축 및 활용방안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3D Cadastral Information based on Individual Right Objects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46 no.1 = no.372, 2016년, pp.101 - 115  

배상근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이성규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신윤호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김재복 (한국국토정보공사 지적재조사처) ,  최형환 ((주)이지스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에는 토지의 이용이 지표에 한정된 비교적 단순한 형태였으나, 급속한 도시밀집화 및 대규모 도시개발 등으로 인해 최근에는 토지 이용이 공중, 지하로까지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토지에 대한 권리도 기존의 2차원적 측면에서 3차원적 측면까지 확장할 필요성이 생겼고, 최근 몇 년 사이 3차원 지적정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중 3차원 지적정보의 구축 및 가시화에 대한 연구도 일부 진행되었으나, 대부분 필지에 포함된 건물이나 시설물을 전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눈에 보이는 건물의 '물리적 정보'뿐 아니라 '권리적 정보'의 측면까지 고려하게 되면, 공동주택이나 상가건물과 같은 집합 건축물은 하나의 건물에 여러 개의 권리관계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각각의 권리객체로서 표현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개별 권리객체 단위로 지적정보를 구축 및 표현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기존보다 더욱 정교한 3차원 지적정보를 구축하고 표현함으로써 지적정보의 수준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지적정보가 향후 부동산 정보, 인구통계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와 결합된다면, 지적정보의 활용성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ses of land were relatively simple in the old days, but they are being expanded rapidly to the aboveground and underground due to the urban concentration, the large-scale urban development and so on in these days. Accordingly, the concept of the rights to lands grows from 2D to 3D, and many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별 권리 객체를 기반으로 3차원 지적정보를 구축 및 표현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다만 다수의 일반 사용자가 정보의 생산에 직접 참여하게 되면 다양한 정보가 빠르게 생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과적일 수 있으나, 대부분이 비전문가이기 때문에 정보의 품질이 낮아질 수 있고 작업 자체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반 사용자가 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간단한 몇 가지기능을 통해 3차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이 모듈은 차세대 HTML5기반으로 개발되어 별도의 설치과정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을 비롯한 다양한 플랫폼에서 라이브러리로 활용이 가능하다.
  • 주 도면은 3D 부동산 객체의 공간적 형태를 포괄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설계된 것으로 부등각 투영과 근사한 원근법을 사용하였다. 보조 도면은 다른 원근법을 사용하여 3D 객체의 공간적 형태를 더 세밀하게 기술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정면도, 측면도, 입면도 등이 있으며, 해당 객체와 주변의 필지 또는 지형 및 도로, 시설물과 같은 주변 객체 간의 공간적인 관계를 나타낸다(공간정보연구원, 2013).
  • 본 논문에서는 개별 권리객체 기반의 3차원지적정보가 구축되었을 때,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분야 및 활용 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향후 추가 연구 및 시범 테스트 등을 실시하여 실질적인 정보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고, 좀 더 구체적인 활용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좀 더 효율적으로 3차원 지적정보를 구축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 사례를 조사·분석함으로써 기존 결과에 대한 한계점과 그를 해결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즉 건물 혹은 시설물에 대한 전체적인 형상을 3차원으로 표현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건물 내에 소유자가 다른 사무실이나 주거공간이 존재할 경우 이들을 각각 구분하여 표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하나의 집합건축물을 구성하는 여러 개의 권리관계에 대한 정보를 구축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의 초점은 건물 단위가 아닌 건물을 구성하는 개별 권리객체 단위(소유권별 권리객체 단위)로 정보를 구축하고 표현하는 데 있다. [그림 4]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에서 건물정보를 제공하는 모습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개별 권리객체를 기반으로 3차원 지적정보의 구축 및 표현 방안을 제시하기 전에 앞서 국내외 3차원 지적정보 가시화사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 논문의 제2장에서는 국내외 3차원 지적정보의 가시화 사례에 대해 조사하였다. 서울시와 중국, 러시아 등에서 수행된 3차원 지적정보구축 관련 사업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3장에서는 개별권리객체에 대한 필요성과 함께, 개별 권리객체 단위로 3차원 지적정보를 구축 및 표현할 수 있도록 개발한 모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공간정보연구원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차원 지적의 국제 표준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3차원 지적의 등록 대상 정의, 데이터 모델 설계, 국내외 표준화 사례 등을 분석한 뒤 국내 실정에 적합한 한국형 3D 지적 모델을 정립하고, 이를 국제 표준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전철민(2013)은 2차원 지적에 비해 더욱 복잡한 3차원 지적을 구축하기 위해 DBMS에 기반한 3차원 지적의 모델링 과정을 제시하였다.
  • 이러한 방식은 생성된 정보의 품질과 일관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으나 소수의 관리자가 대량의 정보를 구축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을 기반으로 일반 사용자가 직접 개별 권리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만 다수의 일반 사용자가 정보의 생산에 직접 참여하게 되면 다양한 정보가 빠르게 생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과적일 수 있으나, 대부분이 비전문가이기 때문에 정보의 품질이 낮아질 수 있고 작업 자체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 김재인 등(2014)은 국내외 지적공간정보 관련 3차원 가시화 기술 및시스템을 분석하고 3차원 지적공간정보의 3차원 가시화를 위해 필요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간객체를 지상과 지하로 구분하고, LOD에 따라 공간객체의 도형정보와 속성정보를 효과적으로 가시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 전철민(2013)은 2차원 지적에 비해 더욱 복잡한 3차원 지적을 구축하기 위해 DBMS에 기반한 3차원 지적의 모델링 과정을 제시하였다. 특히 토지의 지상, 지하 공간 이용에 따라 토지 소유자의 사유재산권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구분지상권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김재인 등(2014)은 국내외 지적공간정보 관련 3차원 가시화 기술 및시스템을 분석하고 3차원 지적공간정보의 3차원 가시화를 위해 필요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지에 대한 권리가 3차원 측면까지 확장할 필요성이 생긴 이유는 무엇인가? 기존에는 토지의 이용이 지표에 한정된 비교적 단순한 형태였으나, 급속한 도시밀집화 및 대규모 도시개발 등으로 인해 최근에는 토지 이용이 공중, 지하로까지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토지에 대한 권리도 기존의 2차원적 측면에서 3차원적 측면까지 확장할 필요성이 생겼고, 최근 몇 년 사이 3차원 지적정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지적정보란 무엇인가? 지적정보란 지적행정을 목적으로 국가의 공적인 장부에 준하는 매체를 통해 기록된 자료를 의미한다. 토지등록에 기초한 토지의 단순한 물리적 현황과 관계된 데이터의 집합체를 협의의 지적정보라고 할 수 있으며, 토지의 물리적·권리적·가치적·이용규제적 정보를 모두 포괄하는 정보를 광의의 지적정보라 한다(김영욱, 2013).
협의의 지적정보와 광의의 지적정보는 무엇인가? 지적정보란 지적행정을 목적으로 국가의 공적인 장부에 준하는 매체를 통해 기록된 자료를 의미한다. 토지등록에 기초한 토지의 단순한 물리적 현황과 관계된 데이터의 집합체를 협의의 지적정보라고 할 수 있으며, 토지의 물리적·권리적·가치적·이용규제적 정보를 모두 포괄하는 정보를 광의의 지적정보라 한다(김영욱, 2013). 3차원 지적정보는 입체지적 정보라고도 하며, 기존의 2차원 지적에 높이의 차원을 더한 것으로 공간상에 존재하는 객체에 대한 물리적·권리적·가치적·이용규제적 정보를 의미한다(서울특별시,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국토교통부(2016), "브이월드(공간정보 오픈플랫폼)", http://map.vworld.kr. 

  2. 김감래.황보상원.이성화(2015), "3차원 지적등록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33-145. 

  3. 김영욱(2013), "지적재조사를 통해 구축된 디지털 지적공간정보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pp.14-15. 

  4. 김재인.김태정.배상근.정동훈(2014), "지적공간정보의 3차원 가시화 방안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32권 제4-2호, pp.425-432. 

  5. 네이버(2016), "네이버부동산", http://land.naver.com. 

  6. 배상근.신윤호.이성규.주용진(2015), "3차원 지적정보 기반 맞춤형 주거 공간정보 서비스 모델 개발",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23권 제2호, pp.49-57. 

  7. 서울특별시(2009), "입체지적 기반조성사업 완료보고서", pp.79-81 . 

  8. 서울특별시(2011), "입체지적 기반조성 2단 계사업 완료보고서", pp.154-161 . 

  9. 서울특별시(2011), "입체지적 시범단지 구축사업 완료보고서", pp.180-184. 

  10. 신윤호.정동훈.이보미.김영현(2013), "한국형 3D 지적의 국제 표준화를 위한 연구", 공간정보연구원. 

  11. 이효상(2015), "지적정보를 활용한 구분지 상권 등록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pp.1-3. 

  12. 전철민(2013), "DBMS를 위한 3차원 지적 모델링: 구분지상권을 중심으로",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21권 제2호, pp.73-83. 

  13. 정동훈.이인수.이보미.곽병용(2012), "3D 지적 표준화를 위한 기초연구", 공간정보연구원. 

  14. 정영진.이보미.곽병용.박준철.김문경 (2014), "3D 지적의 국제표준화를 위한 연구", 공간정보연구원. 

  15. Guo et al(2011)., "3D Cadastre in China-a Case Study in Shenzhen City", 2nd International Workshop on 3D Cadastres, FIG, pp.291-309. 

  16. Vandysheva et al(2012)., "The 3D Cadastre Prototype and Pilot in the Russian Federation", FIG Working Week 2012, FIG.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