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혼입한 콜드조인트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계수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s in Cold Joint Concrete with GGBFS 원문보기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20 no.5, 2016년, pp.44 - 49  

오경석 (한남대학교 건설시스템 공학과) ,  문진만 (한남대학교 건설시스템 공학과) ,  권성준 (한남대학교 건설시스템 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에 대한 부식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유해 열화인자 중 염화물 이온(Cl-)은 침투로 인한 확산속도가 빠르고, 철근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여 부식을 야기시켜 매우 중요한 열화원인이다.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설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콜드 조인트는 전단력에 취약하여, 이는 내구적 열화에 대한 피해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콜드조인트를 가진 OPC(Ordinary Portland Cement) 콘크리트와 GGBFS(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염화물 촉진 실험으로 염화물 확산계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GGBFS 콘크리트에서는 $6.6{\times}10^{-12}m^2/sec$의 확산계수가 측정되었는데. 이는 OPC 콘크리트에 비하여 약 30% 수준의 낮은 확산계수값을 나타내었으며, 콜드조인트를 가진 콘크리트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관측되었다. OPC 건전부 콘크리트에 비하여 GGBFS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계수는 건전부에서 0.30배, 콜드조인트부에서 0.39배 정도의 우수한 염해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ong the deteriorating agents, chloride ion is reported to be one of the most harmful ions due to its rapid diffusion and direct effect on steel corrosion. Cold joint which occurs in mass concrete placing is vulnerable to shear resistance and more severe deterioration. The paper presents an quant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GGBFS 혼입 및 콜드조인트를 고려하여 염화물 확산계수를 평가하였다. 시편을 확산셀에 정치한 후 실리콘을 이용해 밀봉한 후 전압을 인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기영동법에 기초한 촉진염화물 확산실험 방법을 통해 비정상상태의 촉진염화물 확산계수를 평가하였다. 평가를 위해 국내 C사의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국내 S사의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GBFS 콘크리트가 OPC 콘크리트에 비해 염화물 침투 깊이가 적게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실험 후 염화물 침투깊이 측정결과 GGBFS 콘크리트에서 OPC 콘크리트에 비해 침투깊이가 적게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은 잠재수경성에 따른 수밀성 증가와 염화물 흡착량의 증가를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다. 콜드조인트 콘크리트의 경우 역시 GGBFS로 치환한 슬래그 콘크리트가 일반 콘크리트보다 낮은 침투 깊이를 나타내었으나 두 배합 모두에서 콜드조인트면에서 염화물 침투가 뚜렷하게 나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콜드조인트이란 무엇인가? 현대에 이르러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규모는 점점 증가 되고 있으며, 댐과 교량 같은 대규모 구조물의 경우 취약부인 콜드조인트가 발생할 수 있다. 콜드조인트란 이어치기 지연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시공이음을 나타내며, 압축 저항력에는 큰 영향이 없으나 전단력에 취약하고 이 면에 대해 국부적인 열화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ark, 2001; JSCE, 2000; ACI, 2001). 콜드조인트는 면처리를 하지 않을 경우 이음부에 국부적으로 열화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철근의 부식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콘크리트에 매립된 철근은 강알칼리성으로 보호되며 이는 철근에 부동태피막을 형성하여 부식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콘크리트가 열화환경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콘크리트 내부에 유해이온이 침투하게 되며, 부동태피막이 손실되어 철근의 부식이 발생하게 된다(Broomfield, 1997). 철근의 부식을 유발하는 유해이온 중 염화물이온은 해수나 비말대 지역에서 내부에 유입되는데, 확산속도가 빠르므로 철근 부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Broomfield, 1997; RILEM,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CI 224.3R-95 (2001), Joints in Concrete Construction, American Concrete Institute, USA, Reapproved. 

  2. ASTM C1202 (1993), Electrical Indication of Concrete's Ability to Resist Chloride Ion Penetration, Annual Book of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 Standards. 

  3. Broomfield, J. P. (1997), Corrosion of Steel in Concrete: Understanding, Investigation and Repair, E&FN, London. 

  4. Hyun, T.-Y., Kim, C.-Y., and Kim, J.-K. (2008), Permeability of Cracked Concrete as a Function of Hydraulic Pressure and Crack Width,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0(3), 291-298. 

  5. JSCE (2000), Concrete Cold Joint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Concrete Library, 103. 

  6. Kwon, S.-J., and Na, U.-J. (2011), Prediction of Durability for RC Columns with Crack and Joint under Carbonation Based on Probabilistic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5(1), 11-18. 

  7. Kwon, S.-J., Park, S.-S., Nam, S. H., and Cho, H. J. (2007), Study on Survey of Carbonation for Sound, Cracked, and Joint Concrete in RC Column i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e Maintenance Institute, 11(3), 116-122. 

  8. Lee, S. S., and Song, H. Y. (2007),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ur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Using Blast-Furnace Slag Powder,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11), 119-126. 

  9. Leng, F., Feng, N., and Lu, X. (2000), An Experiment Study on the Properties of Resistance to Diffusion of Chloride Ions of Fly Ash and Blast Furnace Slag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0(6), 989-992. 

  10. Maekawa, K., Ishida, T., and Kishi, T. (2003a), Multi-Scale Modeling of Concrete Performance, Journal of Advanced Concrete Technology, 1(2), 91-126. 

  11. Maekawa, K., Ishida, T., and Kishi, T. (2003b), Multi-Scale Modeling of Structural Concrete, Tylor&Francis, London and Newyork, 1st Edition, 291-352. 

  12. Otsuki, N., Nagtataki, S., and Nakashita, K. (1992), Evaluation of $AgNO_3$ Solution Spray Method for Measurement of Chloride Penetration into Hardened Cementitious Matrix Material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7(4), 195-201. 

  13. Park, M. S. (2001), Study on Control of Carbonation at Cold Joint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14. Park, S. S., Kwon, S.-J., and Jung, S. H. (2012), Analysis Technique for Chloride Penetration in Cracked Concrete Using Equivalent Diffusion and Permeation,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9(2), 183-192. 

  15. RILEM (1994), Durability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Report of RILEM Technical Committee 130-CSL, E&FN, 28-52. 

  16. Ryu, D. W., Kim, W. J., Yang, W.H., Yu, J. H., and Ko, J. W. (2012),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reezing-Thawing and Chloride Resistance of Concrete Using High Volumes of GGBS,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2(3), 315-322. 

  17. Song, H. W., Lee, C. H., and Lee, K. C. (2009), A Study on Corrosion Potential of Cracked Concrete Beam According to Corrosion Resistance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3(1), 97-105 (in Korean). 

  18. Song, H.-W., and Kwon, S.-J. (2009), Evaluation of Chloride Penetration in High Performance Concrete Using Neural Network Algorithm and Micro Pore Structur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9(9), 814-824. 

  19. Song, H.-W., Pack, S. W., Lee, C. H., and Kwon, S.-J. (2006), Service Life Prediction of Concrete Structures under Marine Environment Considering Coupled Deterioration, Journal of Restoration Buildings and Monuments, 1(2), 265-284. 

  20. Tang, L. (1996), Electrically Accelerated Methods for Determining Chloride Diffusivity in Concrete-Current Development,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48(176), 173-179. 

  21. Thomas, M. D. A., and Bamforth, P. B. (1999), Modeling Chloride Diffusion in Concrete: Effect of Fly Ash and Slag,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29(4), 487-495. 

  22. Yokozeki, K., Okada, K., Tsutsumi, T., and Watanabe, K. (1998), Prediction of the Service Life of RC with Crack Exposed to Chloride Attack, Journal of Symposium: Rehabilitation of Concrete Structure, 10, 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