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체 라디오와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상호작용에 대한 현장연구 마포 FM 사례를 중심으로
Community Radio's Interaction with Local Community Residents A Field Report on Mapo FM's Case 원문보기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78, 2016년, pp.79 - 115  

반명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김영찬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마포 FM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대안 미디어, 테크놀로지, 그리고 콘텐츠 중심의 논의로 치우쳐져 있는 기존의 공동체 라디오 연구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시도를 한다. 지역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방송 제작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스스로 문화적 정체성을 재구성해낸다는 측면에서 공동체 라디오는 구성원들의 문화적 실천을 엮어내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지역 공동체 구성원들이 공동체 라디오를 전유하고 이를 통해 스스로 정체성을 재구성해내는 양상들은 공동체 라디오의 정체성을 재조명할 수 있게 하는 단초를 제공해준다. 심층 인터뷰를 동원한 현장연구 결과에 따르면, 공동체 라디오는 참여형 제작과정이라는 문화적 실천을 통해서 엮이게 되는 - 즉 지역 공동체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이라는 측면에서 - 삶이 묻어나는 매체인 동시에, 지역성과 대안성이라는 특성을 넘어 시민성과 공동체성과 관계망의 형성에 기여하는 미디어, 즉 사회적 유대감과 연대를 형성하는 데에 기여하는 미디어라고 재정의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by proposing a case study of community radio, attempts to expand the horizon of academic and social discussion on the medium that has been disproportionately skewed towards discourses on alternative media, technology, and programming content. As residents of local community actively part...

주제어

참고문헌 (43)

  1. 강수진 (2012). .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강진숙.이은비 (2013). 공동체라디오 DJ의 미메시스적 실천과 유희성 연구. , 25(2), 37-66. 

  3.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4. 국회 의안정보시스템.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SearchResult.do 

  5. 김경환 (2012). 공동체 라디오 방송의 프로그램 제작 참여 동기가 참여 만족도 및 참여 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1권, 117-145. 

  6. 김선희 (2009). .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은규 (2005). 다윗과 골리앗을 넘어서: 대안 미디어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논의 틀과 그 함의. , 49권 2호, 255-282. 

  8. 김은규.최성은 (2013). 정규방송 도입 이후 공동체 라디오 운영구조 및 정책에 대한 평가적 고찰. , 13권 3호, 184-214. 

  9. 김은주 (2006). . 경상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창주 (2007). 공동체의 재발견, 소출력 라디오. , 통권 248호, 32-35. 

  11.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2013). . 

  12. 박복선 (2010). 도시 안에도 '마을'이 있다: 성미산 공동체, , 16, 2-3. 

  13. 박창원 (2008). . 경북대학교 정책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성정애 (2006). .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송덕호 (2006). 공동체라디오 개국 1년. , 431호, 130-133. 

  16. 송덕호 (2016. 6. 23). 마을미디어 언론으로 거듭나기. , 21호. URL: http://maeulmedia.tistory.com/347 

  17. 안진.채영길 (2015). 공동체 미디어 실천과 다문화 정체성의 재구성. , 29권 6호, 94-136. 

  18. 유선영 (2005). . 서울: 한국언론재단. 

  19. 이재열 (2006).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 8권 1호, 33-67. 

  20. 이지섭 (2007). 우리 동네 라디오, 내가 만드는 라디오 방송: 공동체 라디오 마포 FM 탐방기. , 121호, 151-156. 

  21. 전아름 (2009). 감동을 전하는 1w의 힘 '동네방송'에 담긴 우리들의 이야기. , 통권 95호, 130-135. 

  22. 정빛나 (2011). .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차재영 (1999). 미국의 공동체 라디오(community radio) 연구. , 8권, 199-213. 

  24. 차재영 (2007). 지역공동체 라디오와 지역대학의 역할. , 18권 여름호, 67-81. 

  25. 채영길 (2015). .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6. 최성은 (2010). .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7. 최성은 (2011, 4월). 한국 공동체 라디오 정책에 대한 비판적 분석. , 82-83. 

  28. 최성은 (2014). .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9. 하주영 (2005).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한선.이오현 (2008a). 공동체 라디오와 자기효능감: 미국 공동체 라디오 KOPN에 대한 민속지학적 연구. , 52권 5호, 79-114. 

  31. 한선.이오현 (2008b). 한.미 공동체 라디오 비교연구: 하위 공론장 역할을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 , 16권 4호, 79-114. 

  32. 한정미 (2006). .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3. Atton, C., & J. F. Hamilton (2009). Alternative Journalism. London, UK: Sage. 이효성 역 (2011). .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34. Berrigan, F. (1979). Community Communications: The Role of Community Media in Development. Paris, FR: Unesco Press. 

  35. Dowing, J. (2001). Radical Media: Rebellious Communication and Social Movement. Thousands Oaks, CA: Sage. 

  36. Hall, S. (1996). Introduction: Who Needs 'Identity'. In S. Hall, & P. du Gay (eds), Questions of Cultural Identity (pp. 1-17). London, UK: Sage. 

  37. Martin, B. J. (2006). A Latin American Perspective on Communication/Cultural Mediation. Global Media and Communication, 2(3), 279-297. 

  38.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ition). London, UK: Sage. 

  39. Qiu, J. L. (2009). Working-class Network Society: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Information Have-less in Urban China. Cambridge, MA: MIT Press. 

  40. Rodriguez, C. (2001). Fissures in the Mediascape: An International Study of Citizens' Media. Cresskill, NJ: Hampton Press. 

  41. Rodriguez, C. (2011). Citizens Media Against Armed Conflict: Disrupting Violence in Colombia.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2. Rodriguez, C., Ferron, B., & Shamas K. (2014). Four Challenges in the Field of Alternative, Radical and Citizens' Media Research. Media, Culture & Society, 36(2), 150-166. 

  43. Wang, C. (1999). Photovoice: a Participatory Action and Research Strategy Applied to Women's Health. Journal of Women's Health, 8(2), 185-19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