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저 연약 퇴적층 지반 쉴드 TBM 위험요인 평가 및 장비 침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and settlement evaluation of a shield TBM excavated in soft marine sedimentary soil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18 no.4, 2016년, pp.355 - 364  

유광호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박치면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 (주)에스코컨설턴트)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우리나라 서해안 산업단지의 폐열과 증기의 재활용을 위한 운송관로 수용목적으로 해저 퇴적층 지반에 3.25km의 해저터널쉴드 TBM으로 시공 완료되었다. 쉴드 TBM 터널은 지반조건 및 시공요인에 기인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장비 침하 등 많은 위험요인을 겪게 되는데 터널 시공 중 쉴드 TBM 장비 침하로 인한 선형이탈이 발생하였으며 원인 분석결과 지지력이 부족한 연약한 점토층 지반조건이 주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조건을 고려한 위험요인을 평가하고, 지지력을 고려한 이론식과 TBM 굴진조건 즉, 동적조건을 구현할 수 있는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해 장비 침하 및 쉴드 TBM 굴진속도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연약한 점토층 지반에서 지지력 부족으로 쉴드 TBM 장비 침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반특성에 적합한 최적 굴진속도의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으며 본 검토 대상구간 지반조건에서는 쉴드 TBM 굴진속도를 35~40 mm/min로 유지하는 경우에 장비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 3,250 meter-long tunnel was constructed beneath the sea bed formed of composite sedimentary soils to transport reusable waste heat gas of industrial complex in the west coast of Korea. Some risks such as machine settlement always exist due to the uncertainties of geological and constru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재활용 에너지원의 운송형태는 육상관로 또는 지중관로 등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목적에 따라서는 지형 및 지질조건을 고려하여 해저로도 이용되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서해안의 점성토와 사질토로 구성된 해성 퇴적층 구간에 3.25 km의 국내 최장의 해저터널로 시공된 쉴드 TBM 터널의 장비 침하와 선형이탈 현황 및 원인을 분석하였다. 쉴드 TBM 장비 침하와 선형이탈은 굴진속도와 상관관계가 있고 지반 지지력이 부족한 연약한 점토층 조건에서 쉴드 TBM 장비의 침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검토되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반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굴진속도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설 설정

  • 점성토는 압밀침하가 완료된 점성토로 가정하였으며 쉴드 TBM의 중량을 정사각형 형태의 기초로 환산하여 기초 지지력 공식을 이용한 지지력 만족여부를 검토하였다. 지지력은 Terzaghi (1943)와 Vesic (1975)의 이론식 (1), (2)를 적용하여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쉴드 TBM 모델링에서 스킨플레이트에 해당되는 면요소, 배면 그라우팅 및 세그먼트 라이닝을 고려하는 방법은 무엇을 평가하는 데에 유용한가? 이 방법은 Gap parameter 유무에 따라서 발생되는 변위, 세그먼트 응력뿐만 아니라 쉴드 TBM 장비 후방에서 발생하는 지표침하 및 터널 막장 전방의 지반침하를 평가하는 데는 유용한 방법이지만 쉴드 TBM의 굴진이 계속 진행되고 있는 조건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실제 쉴드 TBM의 굴진율 등 시공 특성을 반영하지못하는 제한요소가 있다. 100 tonf 이상 중량의 쉴드 TBM은 지지력이 충분하지 않은 연약지반에서 굴진이 중단된 휴지기간이나 굴진속도가 낮은 구간에서 선형이탈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쉴드 TBM 장비 침하와 선형이탈은 무엇과 상관관계가 있는가? 25 km의 국내 최장의 해저터널로 시공된 쉴드 TBM 터널의 장비 침하와 선형이탈 현황 및 원인을 분석하였다. 쉴드 TBM 장비 침하와 선형이탈은 굴진속도와 상관관계가 있고 지반 지지력이 부족한 연약한 점토층 조건에서 쉴드 TBM 장비의 침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검토되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반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굴진속도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형이탈 문제 발생 후, 굴진 재개 시 동일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쉴드 TBM 통과구간의 지반조건을 분석하고 장비 침하 발생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높은 구간을 선정하여 이론식을 이용한 지지력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쉴드 TBM 굴진조건 즉, 굴진속도를 고려하기 위한 동적조건을 모사한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해 TBM 침하와 굴진속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최적 굴진 시공관리 방안을 도출하였다.
어떠한 조건에서 쉴드 TBM 장비의 침하 발생 가능성이 높은가? 25 km의 국내 최장의 해저터널로 시공된 쉴드 TBM 터널의 장비 침하와 선형이탈 현황 및 원인을 분석하였다. 쉴드 TBM 장비 침하와 선형이탈은 굴진속도와 상관관계가 있고 지반 지지력이 부족한 연약한 점토층 조건에서 쉴드 TBM 장비의 침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검토되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반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굴진속도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형이탈 문제 발생 후, 굴진 재개 시 동일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쉴드 TBM 통과구간의 지반조건을 분석하고 장비 침하 발생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높은 구간을 선정하여 이론식을 이용한 지지력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쉴드 TBM 굴진조건 즉, 굴진속도를 고려하기 위한 동적조건을 모사한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해 TBM 침하와 굴진속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최적 굴진 시공관리 방안을 도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Hyun, K.C., Min, S.Y., Moon, J.B., Jeong, G.H., Lee, I.M. (2012), "Risk management applicable to shield TBM tunnel: I. Risk factor analysis",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ication, Vol. 14, No. 6, pp. 667-681. 

  2. Kasper, T., Meschke, G. (2004), "A 3D finite element simulation model for TBM tunnelling in soft ground", International Journal for Numerical and Analytical Methods in Geomechanics, Vol. 28, pp. 1441-1460. 

  3. Komiya, K., Soga, K., Akagi, H., Hagiwara, T., Bolton, M.D. (1999), "Finite element modelling of excavation and advancement processes of a shield tunnelling machine", Soil and Foundations, Vol. 39, No. 3, pp. 37-52. 

  4. Mooney, M. A., Grasmick, J., Kenneally, B., Fang, Y. (2016), "The role of slurry TBM parameters on ground deformation: Field results and computational modelling",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Vol. 57, pp. 257-264. 

  5. Park, J.S., Lee, E.H. (2013), "A case study on subsea tunnelling with slurry type shield TBM tunnel", KTA 2015 Fall Symposium, pp. 93-96. 

  6. Park, J.S., Kim, K.H., Park, C.M., Lee, S.W. (2014), "A case study on selection of small diameter shielded equipments under high water pressure conditions", KTA 2015 Fall Symposium, pp. 63-64. 

  7. Shimizu, M., Takatsu, S. (2001), "Case study of TBM construction", Electric power civil engineering, Japan Electric Power Contractors Association, Inc., Vol. 294, pp. 36-38. 

  8. Sugimoto, M., Sramoon, A. (2002), "Theoretical model of shield behaviour during excavation. I : Theory",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8, No. 2, pp. 138-155. 

  9. Terzaghi, K. (1943), Theoretical Soil Mechanics,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p. 510. 

  10. Vesic, A.S. (1975), "Bearing Capacity of Shallow Foundations. Foundation Engineering Handbook", Winterkorn, H.F., Fang, H., Eds., Van Nostrand Reinhold, Co., p. 751. 

  11. eTEC E&C (2013a), GE3 Project General Design Report, p. 65. 

  12. eTEC E&C (2013b), GE3 Project Geotechnical Report, p. 108. 

  13. Itasca Consulting Group, Inc. (2009), Fast Lagrangian Analysis of Continua in 3 Dimensions (Version 5.0). User Manual, Minnesota,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