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궁궐 정전(正殿)의 배치형식에 투영된 풍수구조
A Feng Shui Analysis of the Locations of the Main Buildings in the Palaces of Joseon Dynasty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4 no.1, 2016년, pp.18 - 39  

정우진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고제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조선시대 궁궐에 나타난 핵심전각의 배치형식을 주산과의 관계로 검토하여 궁궐 축선에 투영된 풍수개념과 그에 따른 계획원리를 고찰하는 것이다. 조선 건국 직후 창건된 경복궁은 거대한 분지의 중앙에 입지한 자금성과는 달리 도성 서북쪽에 치우친 곳이면서 백악산의 산줄기가 끝나는 지점에 입지하였다. 태종 때 창건된 창덕궁도 마찬가지로서 삼각산의 또 다른 지맥인 응봉 아래에 궁궐터가 마련되었는데, 모두 산의 정기를 궁궐에 담으려 했던 의도를 담고 있다. 이러한 관념은 구체적으로, 궁궐 내부의 정전, 편전, 침전 등 임금과 관련된 주요 건물의 배치가 주산의 내맥에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 이행되었다. 특히 대내에 들어와 있는 아미사는 궁궐터가 정해졌던 근거지형이기도 했지만 전각배치가 이루어진 기준점으로 작용하였다. 아미사를 기점으로 하는 축선은 풍수적 의미의 좌향이 건축적 형식으로 구현되는 형식이었으며, 주례에 근거한 전조후침과 삼문삼조를 실현하는 형식으로 통합되어 나타났다. 한편 양궐 모두 아미사가 혈진처(穴盡處)를 이루고 있는 곳 가까이에는 임금의 정침이 우선적으로 입지되었다. 침전의 남쪽에는 보통 편전이 배치되었는데, 이는 임금이 아미사 혈의 순수한 지기를 가장 먼저 점유하고 누리고자 하는 실리를 따른 결과로 판단된다. 중축선 배치가 뚜렷한 경복궁의 경우, 하나의 주맥 하에 침전, 편전, 정전이 일원적으로 배치되었고, 내맥이 분산된 창덕궁은 정전과 침전의 축이 형편에 따라 나뉘어 졌다. 정전의 입지형식은 최소한의 풍수적 이점을 취하되 왕의 권위를 드러내는 공간의 질서와 형식이 보다 중시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pertains to reviewing and discussing of the master plan of the main buildings in the palaces of Joseon Dynasty regarding on a Feng Shui concept that has been implemented on the palace axis that is originated from the main mountain. Gyeongbokgung (景福宮) Palace is located on the northwest co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미사의 위치는 어디인가? 그러나 1907년 (순종 즉위년)경에 제작된 「북궐도형」에 ‘아미산(峨嵋山)’으로 기입되어 근래에까지 혼동을 주기도 했지만, 국초부터 고종 때까지 이해되었던 이 언덕의 정체성은 중국 선산을 은유하는 경물이나 경관 향상을 위한 화계가 아니라, 주산에서 내맥을 관류하는 지기(地氣)가 전진을 멈추고 아미사를 맺은 대혈이었다. 현재도 확인되는 아미사의 위치는 교태전 북쪽 즉, 경복궁의 중앙이다. 그런데 교태전 남쪽으로 강녕전, 사정전, 근정전을 비롯하여 금천교와 다수의 문이 남북으로 배치된 구성[壬坐丙向]에는 애써 아미사 남쪽에 정전축을 구축하려는 강한 인위성이 감지된다.
경복궁이 입지한 위치는 중국 자금성과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조선 최초로 조영된 궁궐이자 법궁인 경복궁은 주산인 백악산 남쪽 기슭에 그 터가 정해졌다. 위치는 중국 자금성이 산으로 둘러싸인 거대한 분지의 중앙에 위치한 것과는 달리, 도성 서북쪽에 치우친 곳이면서 산줄기가 끝나는 지점이었다. 조선 3대 왕인 태종 때 창건된 창덕궁도 마찬가지로서, 삼각산의 또 다른 지맥인 응봉 아래에 궁궐터가 마련되었다.
경복궁과 창덕궁 모두 아미사가 혈진처를 이루고 있는 곳 남측에 1차 건물종인 임금의 정침이 우선적으로 배치된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공식적으로 표방되는 정전류 전각의 위계가 곧 순수한 지기를 갈무리하는 풍수적 서열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점에서 확인된다. 경복궁과 창덕궁 모두 아미사가 혈진처를 이루고 있는 곳 남측에 1차 건물종인 임금의 정침이 우선적으로 배치되었는데, 궁궐에서 가장 좋은 기운 이 갈무리되어 있는 곳을 임금이 점유하기 위함이었다. 침전의 남쪽에는 혈처로부터 건립되는 2차의 건물종인 편전이 배치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Hong, S. M.(1999). The Stories of Our Palace. Seoul: Cheongnyeonsa. 

  2. Cho, N. S.(2005). A Study on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Changdeokgung Palace from Feng-Shui Perspective. Master's thesis of Daegu Haany University, Kyoungsan, Korea. 

  3. Park, J. H.(2013). Debate and Consideration on Geographic Position Environment of Gyeongbokgung Palace from the View of Feng shui. Hyangto Seoul. 83: 201-236. 

  4. Park, J. H.(2014). The Historical Evolution and the Traditional Location Environment of the Changdeok Palace. Korean studies. 24: 395-427. 

  5. Jang, Y. H.(2006). Become King to Read Properly Palace. Seoul: Damdi Publishing Co. 

  6. Kim, D. U.(2007). The History of Korea Architecture. Seoul: Kimoondang. pp.126-134. 

  7. Lee, B. D.(1980). A Study on the Goryeo Dynasty - Especially About Development of the Docham (圖讖) Philosophy. Seongnam: Asia Culture Publishing Co. pp.21-30. 

  8. http://www.nrich.go.kr 

  9. Lee, C. E.(2003). Study on the Ruins of Goryeo. Seoul: Baeksan Archive. p.17. 

  10. Woo, S. H. and Lee, S. H.(2006).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the Layout of the Main Palace of Goryeo Dynasty.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5(3): 59-78. p.76. 

  11. Heo, Y. H.(2006). (The Placement of Capital Seoul, 600 years) Map of Seoul [computer file]. Seoul: Dongbang Media Co. 

  12. Kim, D. U.(2011). The Constructions of Stream.Janglang (長廊) by King TaeJong and Park, Ja-cheong - the Effects from Songdo (松都) i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of Hanyang (漢陽). Sep. 2011 Korean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History Monthly Conference. pp.5-10. 

  13. Kim, D. U.(2014). The Urban Value and Historicity of Hanyang and Gaegyeong. Proceedings of 2014 Symposium on the Institute of Seoul Studies. pp.7-15. 

  14. Han, J. S.(2014). The Placement of Hanyang and the Architectures of Palace and Architecture(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 Synoptic History of Korean Architecture"), Seoul: Kimoondang pp.347-370. 

  15. Kim, Y. S. and Kim, S. W.(1987). A study on street-side commercial architecture(Hangrang) of Hanyang in Choseon Dynasty. 1987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Conference Proceedings. pp.63-68. 

  16. Yoon, J. H.(2000). The Spatial Structure and Its Transition of Central Territory in the Royal Palaces of Choseon Dynasty. Ph. D.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7. Busan Museum(2009). Modern Landscapes looked in Postcards. vol.4. Seoul: Minsokwon Publishing Co. p.216. 

  18.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1988). the Compilation of the 1:10000 Topographic Map of Joseon(A photoprint). Seoul: Gyeongin-moonhwasa Publishing Co. 

  19. Culture and Public Information Bureau of Jongno-gu Office, Seoul Metropolitan City(2013). The Master Plan for Improvement of Gyeonghuigung Palace Site. Seoul: Culture and Public Information Bureau of Jongno-gu Office, Seoul Metropolitan City. p.189. 

  20. http://blog.naver.com/gnass/40211973064 

  21. National Archives of Korea(2008). The Bibliography of Architectural Drawings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vol.6. Daeg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http://theme.archives.go.kr/next/place/viewMain.do 

  22. Academy of Korean Studies(2009). The Compilation of Korean Modern Architecture Plan. Seoul: Academy of Korean Studies. 

  2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angdeokgung Palace Office(2006). (Imperial Household Agency Collection) Photograph Album of Changdeokgung Palace. Seoul: 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angdeokgung Palace Office. p.25. 

  24. Kwon, Y, G.(2006). Space Syntactics in Korea, China and Japan. Seoul: publishing company Gukjae. pp.79-84. 

  25. Yoon, K. B.(1978). The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Ilhogak. 

  26. Jung, W. J. and Sim, W. K.(2012). Studies on the Construction and the Artificial Mountain Theory of Amisan in the Gyeongbok Pala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0(2): 72-89. 

  27. Cho, J. M.(2012). Palace, a telling Joseon Dynasty. Paju: Artbooks Publishing Co. p.107. 

  28. King SeJong the Great Memorial Society(2001). Korea classical terminology dictionary. Seoul: King SeJong the Great Memorial Society. 

  29. Jang, Y. K.(2009). The management's vari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lace Pyunjeon(便殿) in Joseon dynasty. The Journal of Choson Dynasty History. 48: 5-37. 

  30. Kim, J. H.(2015).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Byeoljeon and Configuration of the Royal Bedchamber Group in Palace of the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1(10): 161-170. 

  31. Hong, S. J.(2000). A Study on the Architecture of Korean Palaces in the Reign of Gwanghaegun. Ph. D.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32. Hong, S. J.(2003).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Forms of Chimjun (寢展) in Inkyunggung.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38: 30-37. 

  33. Kim, D. U.(1994). On Huijongdang's Diversion to Pyonjon of the Changduk Palace in the Chosun Dynasty.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3(1): 9-22. 

  34. Jeong, D. O.(1996). The Cultural History of Oriental Landscape Architecture.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