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칠곡 심원정원림의 공간구성과 경관특성 - '심원정 25영(心遠亭 二十五詠)'과 「심원정수석기(心遠亭水石記)」를 중심으로 -
Spatial Compositio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Shimwon-Pavilion Garden in Chilgok - Focusing on 'Shimwon-pavilion Poem of 25 Sceneries' and 「Shimwon-pavilion Soosukgi(心遠亭水石記)」 -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4 no.2, 2016년, pp.27 - 34  

김화옥 (전북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박율진 (전북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신상섭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조호현 (심원정문화예술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헌(寄軒)집"에 실린 "심원정수석기(心遠亭水石記)"의 '심원정 25영'을 바탕으로, 일제강점기인 1937년에 기헌 조병선에 의해 조성되고 향유된 칠곡 심원정원림의 공간구성과 경관특성을 고찰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심원정원림은 북쪽으로는 송림이 있는 '임수형(林藪型)'이자 원림 내부로 구야천이 흐르는 '계류형 별서원림'의 입지 특성을 공유하며 본제(本第)와는 직선거리로 약 400m 이격되어 있다. 2. 북쪽에는 가산(假山)인 학림산을, 동쪽과 서쪽에는 만경류를 올린 취병(翠屛)을, 남쪽으로는 구야천변의 석벽(隱屛)을 포치시키는 등 사방에 '가림'시설을 조성함으로써 위요공간 속에 은일을 추구한 기헌의 정신을 표출하고 있다. 3. 심성을 수양하는 선비의 소우주이자 거처로 조성되고 향유된 심원정원림은 송림사의 경역 내에 위치함으로써 불교사상을 수용하며, 도연명의 전원사상과 시선(詩仙)이라 불리는 이백의 낭만주적 감성을 통한 도가적 삶의 추구 그리고 주자의 성리학적 가치를 실현하는 통섭(統攝)의 장으로서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4. 심원정 25영 중 5영은 정운루 암수실 위류재 이열당 등의 용도가 다른 부속실과 이를 아우르는 정각인 '장수지소(藏修之所)' 심원정에 의탁되었으며 외원에 부여된 20영은 자연에 이름을 붙인 것 9개, 조성한 것 11개로 나뉘며, 자연에서 얻은 9영은 "석경기"에 기술된 바를 바위에 각인시켰다. 5. 현존하는 실내경물 4영은 편액으로, 원림내 경물 중 5개소는 바위글씨로 그리고 8개소는 표지석으로 각 경물이 인식되도록 의도했으나, 8개 영의 표식은 유실 및 훼철 등으로 확인되지 않는다. 6. 심원정 25영 중 '괴강(槐岡)'에는 학자수를 상징하는 회화나무, '유제(柳堤)'에는 도연명과 줄기찬 생명력을 상징하는 버드나무, '기천(杞泉)'에는 '가족의 단란함'을 상징하는 구기자나무 그리고 '동 서취병(東 西翠屛)'과 '방원(芳園)'에는 만경류와 초본류 등 다채로운 의미를 담는 식물경관이 등장한다. 또한 폭포(은폭(隱瀑)), 소(군자소(君子沼)), 못(양지(湯池)), 샘(기천(杞泉)), 바위를 가운데 두고 갈라 흐르는 물(반타석(盤陀石)) 그리고 바위 사이로 흐르는 물(수구암(水口巖)) 등 다채로운 수경관이 기도되었다. 7. 심원정원림은 수계 인접형 원림임에도 불구하고 11개 영을 직접 조성하는 등의 적극적인 개입이 두드러진다. 기존의 여타 정자원림이 가깝고 먼 곳에 자연 중심의 경(景)과 곡(曲)의 경물 설정에 충실한 곳이었다면, 심원정원림은 정자를 시점으로 의미 강화된 경물을 취경(聚景)하도록 유도된 적극적인 수경(修景)이 두드러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on the spatial compositio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Shimwon-pavilion garden built and enjoyed by Jo Byeong-sun in 1937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based on 'Shimwon-pavilion Soosukgii(水石記)' and 'Shimwon-pavilion Poem of 25 Sceneries(二十五詠)' contain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북 칠곡 심원정원림을 대상으로 조영목적과 조영자에 대한 기록이 확인되는 문헌인 『기헌문집(寄軒集)』[5][6]에 소개되고 있는 ‘심원정25영(心遠亭二十五詠)’과 『심원정수석기』 그리고 『송하문집』[7]을 바탕으로 심원정25영의 공간구 성과 경관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조선 말기에 태어나 일제강점 기라는 전환기를 살았던 유학자 기헌의 원림 조형의 내면 의식을 추찰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북 칠곡 심원정원림을 대상으로 조영목적과 조영자에 대한 기록이 확인되는 문헌인 『기헌문집(寄軒集)』[5][6]에 소개되고 있는 ‘심원정25영(心遠亭二十五詠)’과 『심원정수석기』 그리고 『송하문집』[7]을 바탕으로 심원정25영의 공간구 성과 경관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조선 말기에 태어나 일제강점 기라는 전환기를 살았던 유학자 기헌의 원림 조형의 내면 의식을 추찰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심원정원림의 존재와 보존 가치를 확인하는 한편 영남지역 별서원림의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별서정원이란? 원림은 조탁(彫琢)을 가하여 그곳을 자신 중심의 생활공간 화 하거나, 그 안에 정자를 지어 정원을 꾸민 것을 말한다[1]. 한편 별서정원(別墅庭園)은 경승지와 전원지에 은일과 은둔 또는 자연과의 관계를 즐기기 위해 조성해 놓은 정원으로서 그 기준은 정침(正寢)인 본제(本第)로부터 0.5~2km 정도 떨어져 있어 도보거리에 위치하는 것을 이른다[2].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림길 72(구덕리 88-6번지)에 위치한 심원정원림(心遠 亭園林)은 기헌(寄軒) 조병선(曺秉善, 1873~1956: 이후 기헌)에 의해 일제강점기인 1937년에 조영된 별서정원이다[3].
원림이란? 원림은 조탁(彫琢)을 가하여 그곳을 자신 중심의 생활공간 화 하거나, 그 안에 정자를 지어 정원을 꾸민 것을 말한다[1]. 한편 별서정원(別墅庭園)은 경승지와 전원지에 은일과 은둔 또는 자연과의 관계를 즐기기 위해 조성해 놓은 정원으로서 그 기준은 정침(正寢)인 본제(本第)로부터 0.
기헌의 장자 규섭은 심원정원림이 건립되기까지의 과정을 어디에 밝혀놓았는가?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송림길 72(구덕리 88-6번지)에 위치한 심원정원림(心遠 亭園林)은 기헌(寄軒) 조병선(曺秉善, 1873~1956: 이후 기헌)에 의해 일제강점기인 1937년에 조영된 별서정원이다[3]. 기헌의 장자 규섭(1896~1961)은 심원정이 건립되기까지의 과정을 『송하문집(松下文集)』에 밝혀놓았다. 또한 원림의 조영 내용은 선생이 직접 『심원정수석기(心遠亭水石記)』 에 그 뜻을 풀어 놓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im, Y. M.(2012).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Facility Dictionary. publishing of Dongnyok. 

  2.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2006). Oriental Landscape Architecture's History. Munundang publisher. 216. 

  3. Giheon(奇軒) Memorial Association(2016). Shimwonjeong(心遠亭): Report for Utilization and Values of Cultural Heritage. 21-24. 

  4. http://www.nationaltrust.or.kr/ 

  5. Cho, B. S.(2009a). "Giheon's Collection as Translate into Korean". Prequels, Poem, Shimwonjeoung 25's Poem. Giheon's Collection Publications Office. 144-149. 

  6. Cho, B. S.(2009b). "Giheon's Collection as Translate into Korean". the Letter Volume. Note. "Shimwonjeoungsuseokgi(心遠亭水石記)". Giheon's Collection Publications Office. 350-354. 

  7. Cho, K. S.(2009). "Translate into Korean with Dochunsego(島川世稿)" "Songhamungo(松下文集)". 373-419. 

  8. Chilgok-gun(1994). Book of Chilgok. 

  9. Chilgok Association(1990). A Chronicle of Chilgok Province. 

  10. Oh, S. D.(2013). A Study Examined the Buddhist Temple Display of Chilgok Songlimsa. Dongguk University Museum-Art of Buddhism. 24: 75-94. 

  11. http://chilgok.grandculture.net. 

  12. http://db.itkc.or.kr(Damhun Lee Ha-Gon's Dootacho Vol. 4) 

  13. Kim, C. H.(2014). Taoyuanming's Anthology. Younahmseo-ga: 173. 

  14. https://ko.wikipedia.org 

  15. http://map.naver.co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