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전망의 불확실성 평가기법 개발
Development of climate change uncertainty assessment method for projecting the water resourc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9 no.8, 2016년, pp.657 - 671  

이문환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소재민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배덕효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지구적으로 발생하는 기후변화로 인해 수자원의 시공간적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그에 적응할 수 있는 수자원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하지만 영향평가 시 많은 불확실성이 발생하기 때문에 평가 시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영향평가 시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단계별로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지역기후모형, 통계적 후처리기법, 수문모형에 따른 불확실성을 분석하였다. 평가를 위해 5개 지역기후모형, 5개 통계적 후처리기법과 2개 수문모형을 이용하였다. 불확실성의 요인을 분석한 결과 유출량의 경우 겨울철을 제외한 모든 계절에서 RCM의 불확실성이 29.3~8.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겨울철은 수문모형의 불확실성이 46.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발산량의 경우 가을철을 제외하고 수문모형의 불확실성이 28.5~5.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이수기는 수문모형에 더욱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수기는 기후 모델링 부분의 영향이 큰 것으로 사료된다. 이 기법을 통해 특정 RCM이나 통계적 후처리기법, 수문모형 등의 선정에 따라 전체 불확실성이 어떻게 변화될 수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불확실성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expected that water resources will be changed spatially and temporally due to the global climate change.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change in water availability and appropriate water resources management measures are needed for corresponding adaptation. However, there are large uncertaint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ee and Bae, 2015에 따르면, 최근 전 지구적으로 발생하는 기후시스템의 변화에 따라 미래는 어떻게 전망되는가? 최근 전지구적으로 발생하는 기후시스템의 변화는 수문순환의 변화를 초래하여 수자원의 시공간적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전망된다(Lee and Bae, 2015). IPCC AR5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현재 추세로 저감없이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면 금세기 말(2081~2100년)의 지구평균기온은 현재(1986~2005년)대비 3.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의 영향 평가를 수행하고 그에 적응할 수 있는 수자원 관리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이유는? 7°C 상승하고 해수면은 약 63 mm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 증가는 수자원 관련 위험성 증가를 야기하며, 아시아 지역은 많은 인구와 수자원의 시공간적 변동성으로 인해 물부족에 따른 피해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하였다(IPCC, 2013).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의 영향평가를 수행하고 그에 적응할 수 있는 수자원 관리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IPCC AR5는 현재 추세로 저감 없이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경우 해수면과 지구 평균기온이 어떻게 될 것으로 전망하였는가? 최근 전지구적으로 발생하는 기후시스템의 변화는 수문순환의 변화를 초래하여 수자원의 시공간적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전망된다(Lee and Bae, 2015). IPCC AR5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현재 추세로 저감없이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면 금세기 말(2081~2100년)의 지구평균기온은 현재(1986~2005년)대비 3.7°C 상승하고 해수면은 약 63 mm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 증가는 수자원 관련 위험성 증가를 야기하며, 아시아 지역은 많은 인구와 수자원의 시공간적 변동성으로 인해 물부족에 따른 피해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하였다(IPCC,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e, D.H., Jung, I.W., and Chang, H. (2008). "Potential changes in Korean water resources estimated by high-resolution climate simulation." Climate Research, Vol. 35, pp. 213-226. 

  2. Bae, D.H., Jung, I.W., and Lettenmaier, D.P. (2011). "Hydrologic uncertainties in climate change from IPCC AR4 GCM simulations of the Chungju basin, Korea." Journal of Hydrology, Vol. 401, pp. 90-105. 

  3. Beven, K.J., and Freer, J. (2001) "Equifinality, data assimilation, and uncertainty estimation in mechanistic modeling of complex environmental systems using the GLUE methodology." Journal of Hydrology, Vol. 249, pp. 11-29. 

  4. Chen, J., Brissette, F.P., and Leconte, R. (2011). "Uncertainty of dowscaling method in quantify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hydrology." Journal of Hydrology, Vol. 401, pp. 190-202. 

  5. Fisher, R.A. (1925). "Statistical methods for research workers." Classics in the history of phychology. 

  6. IPCC (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IPCC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7. IPCC (2013). Climate change 2013: The Physical Scientific basis, IPCC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8. Kay, A.L., Davies, H.N., Bell, V.A., and Jones, R.G. (2009). "Comparison of uncertainty sources for climate change impacts: flood frequency in England." Climatic Change, Vol. 92, pp. 41-63. 

  9. KMA (2010). Assessment of uncertainties in regional climate models and prediction of detailed regional climate change over Korea, RACS 2010-2602. 

  10. Lee, M.H., and Bae, D.H. (2013). "Evaluation of hybrid downscaling method combined regional climate model with Step-wise Scaling metho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6, No. 6, pp. 585-596. 

  11. Lee, M.H. (201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limate change uncertainty assessment method on water availability." Ph. D thesis, Sejong University. 

  12. Lee, M.H., and Bae, D.H. (2015).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on green and blue water over Asian monsoon region."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29, pp. 2407-2427. 

  13. Liang, X., Lettenmainer, D.P., Wood, E.F., and Burges, S.J. (1994). "A simple hydrologically based model of land surface water and energy fluxes for General Circulation Model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99, pp. 14415-14428. 

  14. Liang, X., Wood, E.F., and Lettenmaier, D.P. (1996). "Surface soil moisture parameterization of the VIC-2L model: Evaluation and modifications." Global and Planetary Change, Vol. 13, pp. 195-206. 

  15. Prudhomme, C., and Davies, H. (2009). "Assessing uncertainties in climate change impact analyses on the river flow regimes in the UK. Part 2: Future climate." Climatic Change, Vol. 93, pp. 197-222. 

  16. Sloan, P.G., and Moore. I.D. (1984). "Modeling subsurface stormflow on steeply sloping forested watershed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0, No. 12, pp. 1815-1822. 

  17. Son (2015). "Enhancement of hydrological drought outlook accuracy using Bayesian method and their real-time prediction applicability." Ph. D. thesis, Sejong Unversity. 

  18. Steinschneider, S., Polebitski, A., Brown, C., Letcher, B.H. (2012). "Toward a statistical framework to quantify the uncertainties of hydrologic response under climate chang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8, W11525. 

  19. Wilby, R.L., and Harris, I. (2006). "A framework for assessing uncertainties in climate change impacts: Low-flow scenarios for the River Thames, U.K.."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2, W02419. 

  20. Xu, H., Taylor, R.G., and Xu, Y. (2011). "Quantifying uncertainty in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river discharge in subcatchments of the Yangtze and Yellow river basin, China."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5, pp. 333-3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