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남강댐 유역의 홍수량 재산정
Revisiting design flood estimation of Nam River Dam basin considering climate chang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9 no.8, 2016년, pp.719 - 729  

이현승 (하존이엔씨) ,  이태삼 (경상대학교 토목공학과) ,  박태웅 (경상대학교 토목공학과) ,  손찬영 (경상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에 기후변화로 인해 극치호우사상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토지이용의 증가와 더불어 심각한 홍수를 야기 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생명과 재산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 건설되는 댐 및 제방 등의 수리구조물에 대한 적절한 설계홍수량의 산정이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수문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해서 남강댐 유역의 홍수량을 재산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시간강우로 상세화 시킨 RCP 4.5와 RCP 8.5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사용하였다. 현재 설계 빈도 값인 200년 빈도와 최대홍수량(PMF)인 10,000년 빈도의 홍수량에 초점을 맞춰 재산정하였다. 기후변화를 반영한 시나리오 값이 현재만을 고려한 값보다 현저히 큰 값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RCP 8.5값에서 가장 큰 값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남강댐지역의 안정성이 기후변화에 취약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으며 향후 하류지역인 사천만의 피해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함께 고려하여 대책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treme events of rainfall has increased mainly from climate change, resulting in more severe floods intensified by land use development. Appropriate estimation of design floods gets more attention to ensuring the safety of life and property in flood-prone areas for hydraulic structures such as dam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설계홍수량을 빈번하게 초과하고 있는 남강댐의 위험성 검토 및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각 Case별로 산정된 홍수량들을 비교 및 분석을 시행하고 산정된 홍수량으로부터 현재 남강댐의 안전성에 대하여 재검토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설계홍수량을 빈번하게 초과하고 있는 남강댐의 위험성 검토 및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각 Case별로 산정된 홍수량들을 비교 및 분석을 시행하고 산정된 홍수량으로부터 현재 남강댐의 안전성에 대하여 재검토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홍수량 산정방법(C1~C5)으로 홍수량을 산정하고 그 방법을 5장에 상세히 기술하였다. 또한 현재 설계되어있는 남강댐의 설계홍수량과의 비교를 위해 기존 남강댐의 홍수량 산정 보고서를 조사하여 본 연구결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비교 대상인 보고서는 남강댐 관리단에서 작성한 K-Water (2014)에서 남강댐의 현재 설계홍수량을 비교하고 PMF의 경우 비교적 최근 홍수량을 산정하고 Ministry of Land and K-Water (2011)의 자료와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급격하게 증가한 강우자료로부터 홍수량을 산정(C1-S)하고 그밖에 미래 기후 시나리오를 적용한 강우량으로부터 산정한 홍수량(C2-S45/85)과 남강댐의 설계홍수량(200년 빈도, 10,400 m3/sec)을 비교해보고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목적에 따른 홍수량 산정을 위해 산정한 200년 빈도와 10,000년 빈도의 강우량 자료는 Table5와 Table 6에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남강댐 유역의 홍수량을 여러 가지 Case에 대하여 산정하고 남강댐의 홍수량 산정의 적정성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홍수량 산정방법은 재현 기간 200년 빈도와 10,000년 빈도에 대해 관측 강우량 자료로부터 정상성 빈도해석 방법을 적용하여 산정한 홍수량(C1-S), 미래 기후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산정한 홍수량(C2-S45 (RCP 4.
  • 일반적으로 GA는 다양한 유전자의 재배열을 통해 새로운 개체를 생산하고 이중에서 목적함수의 매개변수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주로 이용된다. 하지만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유전자를 물려받아 통계학적으로 유사성을 가지는 개체를 생산하는 것이므로 GA의 주요 개념을 적용하였지만, 기존 자료의 통계학적 특성을 유지하는 새로운 개체를 생산해 낸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GA의 목적함수 및 제약조건이 생략되며 GA의 혼합과정 이후 우수한 개체를 선택하는 방법은 적용되지 않은 Simple GA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0년대 이후 발생한 태풍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최근 기후변화로 홍수가 빈번해지고 2000년대 이후 태풍루사(2002), 매미(2003), 에니위아(2006), 볼라벤(2012) 등 많은 양의 강우를 동반한 태풍의 발생빈도가 잦아지고 있다.
2002년 태풍루사의 주된 원인과 이로 인한 피해는 무엇인가? 또한 2011년 우면산 산사태와 같이 순간적인 폭우로 수해를 입는 경우가 과거와 달리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임을 언급했다. Kim (2003)에 따르면 2002년 태풍 루사의 주된 피해원인은 치수 안전도를 훨씬 넘는 미증유의 많은 양의 강우이며 이로 인해 기존의 건설되어 있던 많은 제방과 저수지가 제 성능을 유지할 수 없었던 것으로 분석하였으며 극심한 강우로 인한 산사태, 홍수유출, 하천 시설물의 붕괴와 범람 등이 발생하였다(경북 김천, 강원도 강릉/양양 등).
본 연구에서는 남강댐 유역의 홍수량을 무엇을 고려하여 재산정하였는가? 이에 따라 생명과 재산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 건설되는 댐 및 제방 등의 수리구조물에 대한 적절한 설계홍수량의 산정이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수문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해서 남강댐 유역의 홍수량을 재산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시간강우로 상세화 시킨 RCP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oo, K.O., Kwon, W.T., and Baek, H.J. (2006). "Change of extreme events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ver Korea using regional projection of future climate change." Geophys. Res. Lett., 33, L01701, DOI : 10.1029/2005GL023 378. 

  2. Boo, K.O., Kwon, W.T., Oh, J.H., and Baek, H.J. (2004). "Response of global warming on regional climate change over Korea. an experiment with the MM5model." Geophys. Res. Lett., 31, L21206, DOI : 10.1029/2004 GL021171. 

  3. Chae, S.G., Maeng, S.J., Hwang, J.H., Kim, T.W., and Kim, H.S. (2013). "Parameter estimation of unit hydrograph for derivation of probable maximum flood."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Vol. 9, No. 2, pp. 147-162. 

  4. Collins, W.J., Bellouin, N., Doutriaux-Boucher, M., Gedney, N., Hinton, T., Jones, C.D., Liddicoat, S., Martin, G., O'Connor, F., Rae, J., Senior, C., Totterdell, I., Woodward, S., Reichler, T., and Kim, J. (2008). Evaluation of HadGEM2 model. Hadley CentreTechnical Note 74. 44. 

  5. Greenwood, J.A., Landwehr, J.M., Matalas, N.C., and Wallis, J.R. (1979). "Probability weighted moments : definition and relation to parameters of several distributions expressible in inverse form."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5, No. 5, pp. 1049-1054. 

  6. Hosking., J.R.M., and Wallis, J.R. (1990). Regional Frequency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Im, E.S., and Kwon, W.T. (2007). "Characteristics of extremeclimate sequences over Korea using a regional climate change scenario." SOLA. Vol. 3, pp. 17-20. 

  8. Kim, B.S. (2015). The outlook of the Korean Peninsula of flood and drought risk future due to climate change. Semina of The Korean Society of Climate Change Resarch. 

  9. Kim, K.H. (2003). "How to against about extreme floo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6, No. 5, pp. 10-19. 

  10. Koo, G.S., Boo, K.O., and Kwon, W.T. (2009). "Projection of temperature over Korea using an MM5 regional climate simulation." Climate Research, Vol. 40, pp. 241-248. 

  11. K-Water. (2014). Yearbook of Nam River Management. 

  12. Kwon, H.H. (2009). "Development of multi-ensemble GCMs based spatio-temporal downscaling scheme for short-term prediction." k-water Conference 2009, pp. 1142-1146. 

  13. Lee, T., and Jeong, C. (2013). "Nonparametric statistical temporal downscaling of daily precipitation to hourly precipitation and implications for climate change scenarios." Journal of Hydrology, Vol. 510, pp. 182-196. 

  14. Maeng, S.J., Kim, H.S., Jeong, J.H., and Kim, S.W. (2014). "Analysis on hydrologic stability of agricultural reservoir according to estimation and application of probable maximum flood."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Vol. 10, No. 2, pp. 105-115. 

  15. Ministry of Land, K-Water (2011). Report of Water Resource Development and Research in Nam River Basin. 

  16. Park, M.K. (2003). "Extreme storm estimation by climate change using precipitable water."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paper, 2013, pp. 121-127. 

  17. Sung, J.H., Kang, H.S., Park, S.H., Jo, C.H., Bae, D.H., and Kim, Y.O. (2012). "Projection of extreme precipitation at the end of 21st century over south Korea based on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Atmospher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22, No. 2, pp. 221-231. 

  18. Walters, D.N., M.J. Best, A.C. Bushell, D. Copsey, J.M. Edwards, P.D. Falloon, C.M. Harris, A.P. Lock, J.C. Manners, C.J. Morcrette, M.J. Roberts, R.A. Stratton, S. Webster, J.M. Wilkinson, M.R. Willett, I.A. Boutle, P.D. Earnshaw, P.G. Hill, C. MacLachlan, G.M. Martin, W.K.D. (2011). The Met office unified model global atmosphere 3.0/ 3.1 and JULES global land 3.0/3.1 configurations, Geosci. Model Dev. Discuss 4, pp. 1213-1271. 

  19. Yoon, Y.N., Jeong, J.J., and Ryu, J.H. (2012). Know-Howof Designing Flood, Ministry of Land.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