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수용태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cceptance Attitude Scal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8, 2016년, pp.132 - 146  

김경희 (동신대학교) ,  박주영 (전남대학교) ,  권재환 (동신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형 수용태도 척도를 개발하고 이 척도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1에서는 수용태도 척도를 개발하였다. 먼저 문헌조사 및 기존 연구들을 통해 예비문항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대학생 324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하여 수집한 문항들을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총 24개의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대학생 3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예비 문항의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2개 문항을 최종 확정하였고 2개의 하위요인(외향적 수용, 내향적 수용)을 추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새로 개발한 수용태도 척도의 타당화를 위하여 328명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새로 개발한 수용태도 척도와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 우울, 불안, 그리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척도 개발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acceptance attitude scale and wa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scale. Study 1 was developed to acceptance attitude scale. First, we extracted the preliminary question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evious studie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용이란 무엇인가? 수용(psychological acceptance)이란, 사적 사건을 온전히 그리고 방어·회피·통제·변화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고 그 순간을 온전히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1]. 즉, 현재 있는 그대로의 부정적인 사고나 감정을 인식하고 있지만 이것을 바꾸려 하거나 벗어나려 하지 않고 부정적 사고나 감정을 단순히 마음에서 지나가는 사건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개인이 이를 어떻게 평가하고 대처하는지에 따라 정신건강이나 적응의 여부가 달라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다양한 맥락 하에서 일어나는 심리적 사건들은 동일한 심리적 사건이라고 볼 수 없으며[1], 인간의 심리적 경험과 내용은 무한하게 다양하다. 따라서 스트레스 상황에서 개인이 이를 어떻게 평가하고 대처하는지에 따라 정신건강이나 적응의 여부는 달라진다[4][5].
수용의 효과는 무엇인가? 수용전념치료(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모델을 중심으로 심리적 수용 촉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한 연구[21], 수용전념 집단상담 및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22-24], 수용전념치료의 효과에 관한 연구[25-27] 등이 있으며, 수용이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28][29]을 살핀 연구들도 있다. 이 연구들은 수용이 스트레스[21][23][31], 불안[28], 자살생각[32], 심리적 증상[29]들을 감소시키며, 심리적 안녕감[21][32], 자아존중감[24][29], 삶의 만족도[29] 등을 향상시키는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용은 부적응이나 심리적 고통을 감소시키고[16] 심리적 유연성을 증진시키고 정신건강 및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켜서[8] 적응과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S. C. Hayes, Content, context, and the types of psychological acceptance, In S. C. Hayes, N. S. Jacobson, V. M. Follette, & M. J. Doughter (Eds.), Acceptance and change: Content and context in psychotherapy, pp.73-90, Reno, NV: Context Press, 1994. 

  2. D. Barlow, M. Craske, J. Cerny, and J. Klosko, "Behavioral treatment of panic disorder," Behavior Therapy, No.20, pp.261-273, 1989. 

  3. K. G. Wilson and A. R. Murrell, Values work i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Setting a course for behavioral treatment, In S. C. Hayes, V. M. Follette, & M. Linehan (Eds.), Mindfulness and acceptance: Expanding the cognitive-behavioral tradition, New York: Guilford Press, pp.120-151, 2004. 

  4. C. M. Aldwin and T. A. Revenson, "Does coping help? A reexamination of the relational between coping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3, pp.337-348, 1987. 

  5. 정구철,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655-665, 2016. 

  6. L. Roemer and S. S. Orsillo, "Expanding our conceptualization of and treatment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tegrating mindfulness/ acceptance-based approaches with existing cognitive-behavior models," Clinical psychology : science and practice, Vol.9, pp.54-68, 2002. 

  7. S. C. Hayes and S. Smith, 마음에서 빠져나와 삶속으로 들어가라[Get Out of Your Mind & Into Your Life], (문현미, 민병배 역), 서울 : 학지사 (원전은 2005에 출판), 2010. 

  8. R. Baer, "Mindfulness training as a clinical interven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review,"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Vol.10, pp.125-143, 2003. 

  9. 권석만, 위빠사나 명상의 심리치유적 기능, 불교와 심리, 제1권, pp.9-49, 2006. 

  10. G. H. Eifert, J. P. Forsyth, J. Arch, E. Espejo, M. Keller, and D. Langer,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for Anxiety Disorder: Three Case Studies Exemplifying a Unified Treatment protocal," Cognitive and Behavior Therapy, Vol.16, No4, pp.367-484, 2009. 

  11. J. C. Williams and S. J. Lynn, "Acceptance: An historical and conceptual review,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Vol.30, No.1, pp.5-56, 2011. 

  12. R. D. Zettle, Discussion of Dougher : On the Use of Acceptable Language. In S. C. Hayes, N. S. Jacobson, V. M. Follette, & M. J. Doughter (Eds.). Acceptance and change: Content and context in psychotherapy, Reno, NV: Context Press, pp.46-50, 1994. 

  13. J. D. Teasdale, Z. Segal, and J. M. G. Williams, "How does cognitive therapy prevent depressive relapse and why should attentional control (mindfulness) training help?,"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Vol.33, No.1, pp.25-39, 1995. 

  14. G. A. Marlatt, Addiction and acceptance, In S. C. Hayes, N. S. Jacobson, V. M. Follette, and M. J. Doughter (Eds.), Acceptance and change: Content and context in psychotherapy, Reno, NV: Context Press, pp.175-202, 1994. 

  15. R. A. Baer, G. T. Smith, and K. B. Allen, "Assessment of mindfulness by self-report: The Kentucky Inventory of Mindfulness Skills," Assessment, Vol.11, pp.191-206, 2005. 

  16. J. C. Williams and S. J. Lynn, "Acceptance: An historical and conceptual review,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Vol.30, No.1, pp.5-56, 2011. 

  17. 장성숙, "자기수용 연구의 동향과 제언, 인간이해," 제33권, 제1호, pp.159-184, 2012. 

  18. 허재홍, 최명식, 진현정, "한국어판 수용-행동 질문지II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제21권, 제4호, pp.861-878, 2009. 

  19. F. W. Bond and D. Bunce, "Job control mediates change in a work reorganization intervention for stress reductio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6, pp.290-302, 2001. 

  20. S. C. Hayes, K. G. Willson, E. V. Gifford, V. M. Follette, and K. Strosahl, "Experiential avoidance and behavioral disorder: A functional dimentional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4, No.6, pp.1152-1168, 1996. 

  21. 문현미, 심리적 수용 촉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수용-전념 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22. 강동아, "공대생들의 수용전념 집단 상담이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 금오공과대학 학생생활연구, pp.1-27, 2013. 

  23. 김인구, 심리적 수용과 직무 스트레스: 직장인용 ACT프로그램 효과 검증,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24. 이현아, 수용-전념 집단 프로그램이 부모의 음주문제를 경험한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우울 및 수용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5. 이선영, 수용-전념 치료에서 과정변인이 불안에 미치는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6. 이소라, 자기-자비와 심리적 수용, 마음챙김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7. 최예종, 정서조절곤란과 수용처치가 대학생들의 우울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8. 오주용, 권석만, "심리적 수용이 신체적 불안 반응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제30권, 제4호, pp.1003-1026, 2011. 

  29. 이훈진, "수용(Acceptance)이 심리적 증상, 자존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제9권, 제1호, pp.1-23, 2009. 

  30. 김성희, 백성희, "직무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아동병원 간호사의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100-113, 2016. 

  31. 문임숙, 수용-전념 치료(ACT)프로그램이 임상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불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2. 양수연, 수용 전념 집단프로그램이 우울한 대학생의 심리적 수용, 우울 및 자살생각,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3. 김천수, 강영신, 노안영, "수용전념치료(ACT)가 주부의 인지적 탈융합 및 수용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통합적 분석: 초기기억을 활용하여," 상담학연구, 제16권, 제4호, pp.481-501, 2015. 

  34. 구재선, 성격, 효능감, 생활경험과 주관적 행복의 관계 : 토착심리학적 접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35. 이지연, 박미란, "한국판 수용-행동 척도의 타당화 : 청소년 표본을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제61권, 제1호, pp.137-167, 2013. 

  36. 한규석, "한국적 심리학적 전개 현황과 과제," 한국심리학회 하계심포지움: 문화와 심리학, 연세대학교, pp.103-127, 1999(8). 

  37. D. W. Sue and D. Sue, "Barriers to effective cross-cultural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4, pp.420-429, 1977. 

  38. 장성숙, "우리 문화에서의 상담자상,"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4권, 제3호, pp.547-561, 2002. 

  39. Hofstede, 세계의 문화와 조직 [Cultures and organizations, (차재호.나은영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1에 출판), 1995. 

  40. 조긍호, "문화유형과 타인이해 양상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5권, 제1호, pp.140-139, 1996. 

  41. 조긍호, 김은진, "문화성향과 동조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5권, 제1호, pp.139-169, 2001. 

  42. 조긍호, 이상적 인간형론의 동.서 비교, 서울 : 지식산업사, 2007. 

  43. S. C. Hayes, K. D. Strosahl, K. G. Wilson, R. Bissett, J. Pistorello, D. Toarmino, M. A. Polusny, T. A. Dykstra, S. V. Batten, J. Bergan, S. H. Stewart, M. J. Zvolensky, G. H. Eifert, F. W. Bond, J. P. Forsyth, M. Karekla, and S. M. Mccurry, "Measuring "experiential avoidance: A preliminary test of a working model," The Psychological Record, Vol.54, pp.553-578, 2004. 

  44. 조용래, "정서조절곤란의 평가 : 한국판 척도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6권, 제4호, pp.1015-1038, 2007. 

  45. 이정은, 조용래, "걱정에 대한 부정적 신념과 일반화된 불안증상 간의 관계에서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 임상, 제26권, 제4호, pp.939-961, 2007. 

  46. 김사라형선, "무조건적 자기수용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3권, 제5호, pp.161-170, 2005. 

  47. J. M. Chamberlain and D. A. F. Haaga, "Uni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responses to negative feedback," Journal of Rational Emotive and Cognitive Behavior Therapy, Vol.19, pp.177-189, 2005. 

  48. 양병화,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학지사, 1998. 

  49. R. D. Cattell, "The Scree test for the number of factor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1, pp.245-276, 1966. 

  50.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ew York: Guilford, 2005. 

  51. M. Rosenberg,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52. 전병제, "자아개념 측정 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제11권, 제1호, pp.107-130, 1974. 

  53. C. D. Ryff,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7, pp.1069-1081, 1989. 

  54.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5권, 제2호, pp.19-39, 2001. 

  55. A. T. Beck and R. A. Steer, Mannual for the Beck Anxiety Inventory, San Antonio: Psychological Corperation, 1990. 

  56. 이영호, 송종용,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15권, 제1호, pp.98-113, 1991. 

  57. 권석만, "불안장애의 정신병리 평가," 정신병리학, 제6권, pp.37-51, 1997. 

  58. 박세란, 이훈진, "ACT기반 가치탐색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인지행동치료, 제12권, 제1호, pp.1-20,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