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태도 측정도구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 Scale (CSAS)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3, 2017년, pp.345 - 355  

송미옥 (조선간호대학교) ,  윤소영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s Scale (CSAS)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2016년 6월 1일부터 15일 사이에 일 지역 2개 간호대학의 1학년부터 4학년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401명을 대상으로 26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CSAS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tatistics SPSS 21.0, IBM Statistics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내적 일관성을 분석하였다. 도구의 구성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베리멕스 회전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4개 요인이 추출되었지만 이론의 구조 및 해석가능성을 고려하여 긍정태도, 부정태도 2개 요인으로 범주화한 19문항을 확정하였다. 도구의 내적 구조를 도식화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최종 모델의 적합도${\chi}^2=446.475$(df=148, p<0.001), TLI=.90, CFI=.91, RMSEA=.07, SRMR=.05로 매우 적합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토대로 19개 문항 2개 요인으로 이루어진 최종 도구를 확정하였다. 최종 도구의 $Cronbach^{\prime}{\alpha}=.90$으로 나타나 내적일관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의사소통 태도 측정도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에 대한 다양한 교수전략의 효과를 모니터링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 Scale, which is used to examine communication learning attitudes for domestic nursing students. Study subjects were 401 nursing students at two nursing college who completed the CSAS scale c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는 것에 유용하고 다른 보건의료전문인들 사이의 비교연구가 가능하며 간호대학생들의 의사소통 태도의 횡적인 변화를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2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SAS를 우리나라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국어로 번역하고 간호대학생 의사소통 태도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태도를 측정하는 것은 간호 교육의 중요한 영역으로 타당하고 신뢰도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본 연구는 Rees 등[24]이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기술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를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의사소통 태도 측정도구(CSAS)를 한국어로 번역한 후 이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에게 의사소통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의사소통 능력은 간호사에게 간호실무와 환자안전을 위하여 필수적인 능력이며[1] 국내외 간호단체에서도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기본 핵심역량 중의 하나로 제시하였다[2,3]. 간호사는 의사소통을 통하여 간호실무를 수행하며 환자 및 보건의료인과 신뢰를 형성하고 대인관계를 유지함으로써 복잡한 의료환경 내에서 갈등을 줄이기도 한다[4]. 최근 다학제적 보건의료팀의 협동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상황에서 의료서비스 제공의 중심부에 있는 간호사에게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5].
간호대학생들에게 긍정적 태도를 기르는 중재가 필요한 이유는? 특히 의사소통능력은 언어적/비언어적 행위로 의미의 전달과 함께 나타나는 태도에 따라 의사소통의 양과 질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의사소통에 대한 태도 영역의 교육 강화가 필요하다[19]. 학생들 스스로가 의사소통에 대하여 중요성을 인식하고 의사소통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같은 일련의 태도가 의사소통 교육의 효과와 관련이 있으므로[20] 적절한 의사소통 기술을 갖추기 위해서는 의사소통 교육에 의사소통 태도와 관련된 사항을 통합시켜야 한다[21].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의사소통에 대한 태도를 평가해보고 긍정적인 태도를 길러주는 중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의사소통 능력은 간호사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의사소통 능력은 간호사에게 간호실무와 환자안전을 위하여 필수적인 능력이며[1] 국내외 간호단체에서도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기본 핵심역량 중의 하나로 제시하였다[2,3]. 간호사는 의사소통을 통하여 간호실무를 수행하며 환자 및 보건의료인과 신뢰를 형성하고 대인관계를 유지함으로써 복잡한 의료환경 내에서 갈등을 줄이기도 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 D. Boykins, "Core communication competencies in patient-centered care", The ABNF Journal, vol. 20, no. 2, pp. 40-45, 2012. 

  2.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Accreditation of nursing education: Nurse's Core Competencies, 2012. Available from: http://www.kabon.or.kr/HyAdmin/upload /goodFile/ 120121127132143.pdf (Accessed Oct. 2015) 

  3.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2008). The essentials of baccalaureate education for professio nal nursing practice. Washington, DC.[cited 2015 Sem tember 16]. Available from: http://www.aacn.nche.edu/education-resources/ BaccEssentials08.pdf. 

  4. A. K. Lee, J. Y. Yeo, S. Jung, S. S. Byun, "Relations on communication competence, job-stress and job-satisf action of clinical nurs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12, pp. 299-308, 2013. DOI:http://dx.doi.org/10.5392/jkca.2013.13.12.299 

  5. H. Son, H. S. Kim, M. Koh, S. J. Yu, "Analysis of the communication education in the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of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7, no. 3, pp. 424-432, 2011. DOI: http://dx.doi.org/10.5977/JKASN E.2011.17.3.424 

  6. H. S. Kim, "Outcome-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student evaluation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2, no. 7, pp. 917- 927, 2012.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2.42.7. 917 

  7. M. R. Song, "An analysis of the nursing research on communic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3, no. 3, pp. 474-484, 2006. 

  8. M. Yu, S. H. Park, K. Park, "A review literature on communication in nurses", The Offici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n Communication in Healthcare, vol. 9, no. 2, pp. 99-108, 2014. DOI: http://dx.doi.org/10. 15715/kjhcom.2014.9.2.99 

  9. J. W. Park, M .Choi, "A study on self consciousnes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vol. 18, no. 4, pp. 351-360, 2009. 

  10. E. J. Ji, M. R. Bang, H. J. Jeon, "Ego resilience,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 no. 4, pp. 571- 579, 2013.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4.571 

  11. M. O. Kim, "Study on self-efficacy, communication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6, pp. 609-617,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6.609 

  12. Y. J. Choi, G. W. Lee, C. H. Jung, A. R. Lee, "The effects of self-disclosure and rational-emotive training on communication ability, stress cop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vol. 18, no. 2, pp. 186-196, 2009. 

  13. S. J. Lim, E. Y. Park, "Changes in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pattern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fter 'Satir Communication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 no. 2, pp. 151-162, 2013. DOI: http:// dx.doi.org/10.5977/jkasne.2013.19.2.151 

  14. D. Webster, "Using standardized patients to teach therapeutic communication in psychiatric nursing",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vol. 10, no. 2, pp. e81- e86, 2014. DOI: http://dx.doi.org/10.1016/j.ecns.2013.08.005 

  15. K. Kameg, V. M. Howard, J. Clochesy, A. M. Mitchel, J. M. Suresky, "The impact of high fidelity human simulation on self-efficacy of communication skills".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vol. 31, no. 5, pp. 315-323, 2010. DOI: https://doi.org/10.3109/01612840903420331 

  16. Kurtz S. M., Silverman J, Draper J. Teaching and learning communication skills in medicine. Abingdon: Radcliffe Medical Press; 1998. 

  17. Fazio R. H. Multiple processes by which attitudes guide behavior: The MODE model as an integrative framework. In M. P. Zanna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23, pp. 75-109), 1995. San Diego, CA: Academic Press. Available From http://www2.psych.ubc.ca/-schaller/Psyc590Readings/Faz io1990.pdf (accessed Oct. 2015) 

  18. I. Ajzen, "The influence of attitudes on behavior attitude-behavior relations: A theoretical analysis and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vol. 84, no. 5, pp. 888-918, 1977. DOI: https://doi.org/10.1037/0033-2909.84.5.888 

  19. H. J. Hwang, S. L. Yu,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 skill program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and self-esteem", Research Works of the Graduate School, vol. 30, no. 1, pp. 75-93. 

  20. Y. J. Oh,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empowerment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theory of transfer of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2008. 

  21. M. von Fragstein, J. Silverman, A. Cushing, S. Quilligan, H. Salisbury, C. Wiskin, "UK consensus statement on the content of communication curricula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Medical Education, vol. 42, no. 11, pp. 1100-1107, 2008. DOI: http://dx.doi.org/10.1111/j.1365-2923.2008.03137.x 

  22. C. S. Kim, J. J. Hong, "Nursing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in communications course", Health Service Management Review, vol. 8, no. 4, pp. 19-29, 2014. DOI: https://doi.org/10.18014/hsmr.2014.8.4.19 

  23. S. Kim, N. Han, J. H. Park, M. Kim, H. L. Kim,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small group and music activity in a communication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vol. 19, no. 3, pp. 307-317, 2010. DOI: https://doi.org/10.12934/jkpmhn.2010.19.3.307 

  24. C. Rees, C. Sheard, S. Davies, "The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medical students' attitudes towards communication skills learning: the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 Scale (CSAS)", Medical Education, vol. 36, no. 2, pp. 141-147, 2002. DOI: https://doi.org/10.1046/j.1365-2923.2002.01072.x 

  25. B. Laurence, E. M. Bertera, T. Feimster, R. Hollander, C. Stroman, "Adaptation of the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 Scale (CSAS) to Dental Students", Journal of Dental Education, vol. 72, no. 12, 2012. 

  26. B. T. Power, S. C. Lennie, "Pre-registration dietetic students' attitudes to learning communication skills", Journal of Human Nutrition and Dietetics, vol. 25, no. 2, pp. 189-197, 2012. DOI: http://doi.org/10.1111/j.1365-277X.2012.01226.x 

  27. B. Molinuevo, R. Torrubia, "Validation of the Catalan version of the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 scale (CSAS) in a cohort of south European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Education for Health, vol. 24, no. 1, pp. 499, 2011. 

  28. R. Steckler,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among nursing students: assessing the comfort curriculum as an intervention. Theses and Dissertations- Communicati on, 2012. [cited 2015 September 19]. Available from: http://uknowledge.uky.edu/comm_etds/7 

  29. S. I. Ahn, Y. H. Yi, D. S. Ahn, "Developing a Korean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 scale: comparing attitudes between Korea and the West", Medical Education, vol. 43, no. 3, pp. 246-253, 2009. DOI: http://dx.doi.org/10.1111/j.1365-2923.2008.03271.x 

  30. Munro B. H. "Statistical methods for health care & Wilkins, 2001. 

  31. D. L. Jackson, "Revisiting sample size and number of parameter estimates: Some support for the N:q hypothe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 10, no. 1, pp. 128-141, 2003. DOI: http://dx.doi.org/10.1207/S15328007 SEM1001_6 

  32. Y. H. Jung, "Theory: The development and statistics of measurement tool", Journal of Nursing Query, vol. 14, no. 1, pp. 88-103, 2005. 

  33. R. J. Vallerand, "Vers une methodologie de valida tion trans-culturelle de questionnaires psychologiques: Implications pour la recherche en langue francaise. /Toward a methodology for the transcultural validatio n of psychological questionnaires: Implications for research in the French language", Canadian Psychology, vol. 30, no. 4, pp. 662-680, 1989. DOI: https://doi.org/10.1037/h0079856 

  34. S. S. Han, S. C. Lee, J. C. Ku, "Health and medical Statistical analysis", Fornurse publication, 2008. 

  35. J. W. Van Prooijen, W. A. Van der Kloot, "Confirmatory analysis of exploratively obtained factor structur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 61, no. 5, pp. 777-792, 2001. DOI: https://doi.org/10.1177/00131640121971518 

  36. Kim G. S. "Amos 18.0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Hanare Academy, 2010. 

  37. A-K. Bush, K. Rockenbauch, G. Schmutzer, E. Brahler, "Do medical students like communication? Validation of the German CSAS", GMS Journal for Medical Education, vol. 32, no. 1, pp. 1-21, 2015. DOI: http://dx.doi.org/10.3205/zma000953 

  38. J. Cleland, K. Foster, M. Moffat, "Undergraduate students' attitudes to communication skills learning differ depending on year of study and gender", Medical Teacher, vol. 27, no. 3, pp. 246-251, 2005. DOI: https://doi.org/10.1080/01421590400029541 

  39. H. Harlak, C. Dereboy, A. Gemalmaz, "Validation of a Turkish translations of the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 Scale with Turkish medical students", Education for Health, vol. 21, no. 1, p. 55,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