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사용자 경험 평가 방법론 탐색 : 아마존 에코에 대한 온라인 리뷰 분석을 중심으로
Exploration of User Experience Research Method with Big Data Analysis : Focusing on the Online Review Analysis of Echo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8, 2016년, pp.517 - 528  

황해정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심혜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최준호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이미 실생활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실증적 사용자 경험 조사가 부족한 사물인터넷 기반 제품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경험 방법론을 탐색해보고자 진행되었다. 지금까지의 사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가 주로 설문이나 관찰 방법 등을 통해 이루어져 온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 기반 제품 중 지능형 에이전트인 아마존 에코(Echo)를 대상으로 사용자들의 온라인 리뷰를 분석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사용자 경험을 살펴보았다.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에코의 기능, 음성 인터랙션, 지속적인 기능 개선과 관련된 사용 경험 요인들이 도출되었다. 또한 회귀분석결과 지속적인 기능 개선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의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고할 수 있는 지능형 사물인터넷 제품 연구방법으로서 빅데이터 분석방법론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점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and examine a new user experience (UX) research method for IoT products which are becoming widely used but lack practical user research. While user experience research has been traditionally opted for survey or observation methods, this paper utilized big data analy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기호 외[13]는 이와 같은 문제점에서 출발하여 실무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사용자 경험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맥락 질문법과 설문을 통하여 다양한 제품군에 대해 범용적인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해 보았다. 그러나 이 연구 역시 장기간에 걸친 현지 조사와 정성 연구를 기반으로 요인을 도출하고 대규모 설문을 통하여 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효율성 문제가 있다.
  • 본 연구는 온라인 리뷰 분석 방법을 사용자 경험 분석 방법으로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아마존의 지능형 에이전트 제품인 에코에 대한 온라인 리뷰를 바탕으로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5개 토픽이 도출되었다.
  • 본 연구는 온라인 리뷰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 기반 제품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마존에서 출시한 에코를 사례로 분석한 결과, 총 3가지 하위 카테고리에 대해 5가지 토픽이 추출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사물 인터넷 기반 제품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실제 사용자들의 온라인 리뷰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탐색적으로 적용해 보고자 한다. 온라인 리뷰에는 사용자 생각이 직접적으로 반영되며, 대규모로 수집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13][14].
  • 앞에서 도출된 LDA 결과를 바탕으로 각 토픽이 제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살펴보았다. 앞서 분류한 세 종류 토픽 중 어떠한 토픽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모델을 비교해 보았다.
  • 요컨대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물 인터넷 기반 제품과 같은 새로운 종류의 제품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 중에서 토픽 모델링을제안하고 이 방법론의 효용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물 인터넷 기반 제품인 지능형 에이전트 에코를 사례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 이 연구에서는 기존 사용자 경험 평가 방법의 낮은 실용성을 극복하고 사용맥락이 사용경험에 밀접한 영향을 주는 사물 인터넷 기반 제품에 대한 사용자 경험 평가에 적절한 방법론으로 온라인 리뷰를 활용한 토픽 모델링을 제안한다.
  • 또는 다른 데이터를 설명하는데 온라인 리뷰 데이터를 활용한다. 즉 온라인 리뷰를 종속 변수로 하여 다른 독립 변수를 설명하고자 한다.
  • [23]은 사용자 경험 평가의 세 요소로 사용자 내적 상태나 제품 기능, 특징과 함께 사용자와 제품이 상호작용하는 환경 맥락(context)을 꼽았다. 즉, 사용자 경험을 평가한다는 것은 사용자와 제품이 상호작용하는 특정 맥락에서, 사용자가 가치 있다고 느끼는 제품 요소나 개념은 어떤 것인지, 해당 요소에 대한 사용자 감정이나 반응은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용자 경험이란 무엇인가?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은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느끼는 정서적 반응이나 가치, 태도 등 전반적인 경험을 포괄하는 개념이다[9][13][20][21]. 연구에 따라 다르지만, 사용자 경험은 제품 사용 전 기대나 사용 시 경험하게 되는 전반적인 행동이나 느낌, 사용 후 태도 및 정서적, 인지적 반응을 포함한다.
Law et al.이 꼽은 사용자 경험 평가의 세 요소는 무엇인가? 그렇기 때문에 Law et al.[23]은 사용자 경험 평가의 세 요소로 사용자 내적 상태나 제품 기능, 특징과 함께 사용자와 제품이 상호작용하는 환경 맥락(context)을 꼽았다. 즉, 사용자 경험을 평가한다는 것은 사용자와 제품이 상호작용하는 특정 맥락에서, 사용자가 가치 있다고 느끼는 제품 요소나 개념은 어떤 것인지, 해당 요소에 대한 사용자 감정이나 반응은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아마존 에코와 같은 사물 인터넷 기반 제품은 어떤 특성이 존재하는가? 사물 인터넷 기반 제품으로 지능형 에이전트인 아마존 에코와 같은 제품이 이미 상용화되었다. 이러한 제품은 사용자 개인 특성이나 주변 정보를 학습하고[3] 물리적 공간이나 환경과 밀접하게 연결되는 특성이 있어[4][5] 이에 대한 사용자 경험과 상호작용방식이 다른 제품군에서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6-8]. 따라서 새로운 연구방법론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http://www.gartner.com/newsroom/id/3143521. 

  2. https://googleblog.blogspot.kr/2016/05/io-building-next-evolution-of-google.html 

  3. 조광수, "연결하고 운영하는 통합서비스가 참된 IoT인터넷 들어간 기계는 Smart Things일 뿐," 동아비즈니스리뷰(DBR), 제184권, 제1호, 2015. 

  4. A. Brush, B. Lee, R. Mahajan, S. Agarwal, S. Saroiu, and C. Dixon, "Home automation in the wild: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CM, 2011. 

  5. J. Forlizzi, "How robotic products become social products: an ethnographic study of cleaning in the home," in Proceedings of the ACM/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robot Interaction, ACM, 2007. 

  6. C. Breazeal, "Social interactions in HRI: the robot view. Systems, Man, and Cybernetics, Part C: Applications and Reviews," IEEE Transactions, Vol.34, No.2, pp.181-186, 2004. 

  7. J. Sung, R. E. Grinter, and H. I. Christensen, "Domestic robot ec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obotics, Vol.2, No.4, pp.417-429, 2010. 

  8. E. Welbourne, L. Battle, G. Cole, K. Gould, K. Rector, S. Raymer, M. Balazinska, and G. Borriello, "Building the internet of things using RFID: the RFID ecosystem experience," Internet Computing, IEEE, Vol.13, No.3, pp.48-55, 2009. 

  9. A. P. Vermeeren, E. L. C. Law, V. Roto, M. Obrist, J. Hoonhout, and K. Vaananen-Vainio-Mattila, "User experience evaluation methods: current state and development needs," Proceedings of the 6th Nordic Conference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Extending Boundaries, ACM, 2010. 

  10. Jesper Kjeldskov and Connor Graham, "A review of mobile HCI research methods," Human-computer interaction with mobile devices and services, Springer, pp.317-335, 2003. 

  11. J. Fink, V. Bauwens, F. Kaplan, and P. Dillenbourg, "Living with a vacuum cleaning robot,"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obotics, Vol.5, No.3, pp.389-408, 2013. 

  12. J. Forlizzi and C. DiSalvo, "Service robots in the domestic environment: a study of the roomba vacuum in the home," Proceedings of the 1st ACM SIGCHI/SIGART Conference on Human-Robot Interaction. ACM, 2006. 

  13. 이기호, 이인성, 전석원, 양승화, 최지웅, 김진우, 박승용, 한명희,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제품을 평가하는 방법," 한국HCI학회, 2008. 

  14. 채승훈, 임재익, 강주영, "사용자 리뷰를 통한 소셜커머스와 오픈마켓의 이용경험 비교분석," 지능정보연구, 제21권, 제4호 pp.53-77, 2015. 

  15. O. Netzer, R. Feldman, J. Goldenberg, and M. Fresko, "Mine your own business: Market-structure surveillance through text mining," Marketing Science, Vol.31, No.3, pp.521-543, 2012. 

  16. D. M. Blei, "Probabilistic topic models,"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55, No.4, pp.77-84, 2012. 

  17. Y. Jo and A. H. Oh, "Aspect and sentiment unification model for online review analysis," Proceedings of the fourth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b Search and Data Mining, ACM, 2011. 

  18. 문지현, 임성택, 박차라, 이인성, 김진우, "사용자 경험에 대한 HCI 적 관점에서의 개념적 고찰," 한국 HCI 학회 논문지, 제3권, 제1호, pp.9-17, 2008. 

  19. 이인성, 최보름, 김진우, 이기호, 정승기, "가치중심적 HCI 를 위한 새로운 방법론의 개발 및 적용," 한국 HCI 학회 논문지, 제2권, 제1호, pp.13-24, 2007. 

  20. 장진철, 김현지, 박유경, 배동환, 이문용, "경험샘플링 방법을 이용한 스마트폰 사용자 경험 요소 도출," 한국 HCI 학회 학술대회, pp.249-252, 2014. 

  21. J. A. Bargas-Avila and K. Hornbaek, "Old wine in new bottles or novel challenges: a critical analysis of empirical studies of user experience,"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CM, 2011. 

  22. M. Hassenzahl and N. Tractinsky, "User experience-a research agenda,"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Vol.25, No.2, pp.91-97, 2006. 

  23. E. L. C. Law, V. Roto, M. Hassenzahl, A. P. Vermeeren, and J. Kort, "Understanding, scoping and defining user experience: a survey approach,"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CM, 2009. 

  24. 변대호, "감정표현어를 이용한 스마트 TV 의 사용자경험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132-141, 2015. 

  25. B. Pang and L. Lee,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Foundations and Trends in Information Retrieval, Vol.2, No.1-2, pp.1-135, 2008. 

  26. 최민영, 장혜진, 이호숭, "생활가전제품 디자인을 위한 온라인 리뷰 분석의 효용성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1호, 제4권, pp.185-194, 2011. 

  27. J. H. Kim, H. S. Byeon, and S. H. Lee, "Enhancement of User Understanding and Service Value Using Online Reviews,"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20, No.2, pp.21-36, 2011. 

  28. 윤상혁, 손지현, 고민삼, 김영걸, "SNS 온라인 리뷰를 활용한 TV 프로그램 품질평가 연구," 방송통신연구, 제90권, 제4호, pp.42-73, 2015. 

  29. 변대호, "감정표현어를 이용한 스마트 TV 의 사용자경험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132-141, 2015. 

  30. Anol Bhattacherjee, Social science research: principles, methods, and practices, Textbooks Collection, 2012. 

  31. 조승연, 김현구, 김범수, 김희웅, "영화 흥행성과 예측을 위한 온라인 리뷰 마이닝 연구: 개봉 첫주 온라인 리뷰를 활용하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6권, 제3호, pp.113-134, 2014. 

  32. 조승연, 최지은, 이규현, 김희웅, "고객 온라인 구매후기를 활용한 추천시스템 개발 및 적용,"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 pp.157-164, 2015. 

  33. D. M. Blei, A. Y. Ng, and M. I. Jordan,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he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Vol.3, No.4, pp.993-1022, 2003. 

  34. 강범일, 송민, 조화순,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신문 자료의 오피니언 마이닝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7권, 제4호, pp.315-334, 2013. 

  35. http://www.amazon.com/Amazon-SK705DI-Echo/dp/B00X4WHP5E#compare. 

  36. 김승우, 김남규, "오피니언 분류의 감성사전 활용효과에 대한 연구," 지능정보연구, 제20권, 제1호, pp.133-148, 2014. 

  37. D. Meyer, K. Hornik, and I. Feinerer, "Text mining infrastructure in R,"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Vol.25, No.5, pp.1-54, 2008. 

  38. J. Chang and M. J. Chang, "Package 'lda'," Citeseer, 2010. 

  39. J. Chang, S. Gerrish, C. Wang, J. L. Boyd-Graber, and D. M. Blei, "Reading tea leaves: How humans interpret topic models," in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2009. 

  40. K. P. Burnham and D. Anderson, Model selection and multi-model inference: A Pratical informatio-theoric approach, Sringer, 2003. 

  41. H. Akaike, "A new look at the statistical model identification," IEEE Transactions On Automatic Control, Vol.19, No.6, pp.716-723, 19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