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기본간호 자율실습이 자아효능감, 실습만족도 및 실습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directed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using Smartphone Videos on Self-efficacy, Practice Satisfaction, and Skill Competency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2 no.3, 2016년, pp.255 - 263  

이성심 (강원대학교 대학원) ,  권미경 (가톨릭관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self-directed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using a smart phone affected self-efficacy, practice satisfaction, and skil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 방안으로 스마트폰 동영상을 적용하여 자율실습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에서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율실습의 효과 극대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1.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하여 기본간호 자율실습을 실시한 실험군과 기본간호 자율실습만 실시한 대조군의 자아효능감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2.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하여 기본간호 자율실습을 실시한 실험군과 기본간호 자율실습 실시한 대조군의 실습 만족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3.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하여 기본간호 자율실습을 실시한 실험군과 기본간호 자율실습 실시한 대조군의 실습 수행능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은 어떠한 학문인가? 간호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하여 건강에 관련된 간호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간호중재 활동을 실천하는 학문이다(Ham, Kim, Cho, & Lim, 2011). 또한 간호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이 간호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식, 기술, 태도 및 지도력을 개발하여 전문직 간호사로서 성장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에 스마트폰 동영상 활용이 자아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한 가설은? ∙ 가설1.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하여 기본간호 자율실습을 실시한 실험군과 기본간호 자율실습만 실시한 대조군의 자아효능감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2.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하여 기본간호 자율실습을 실시한 실험군과 기본간호 자율실습 실시한 대조군의 실습 만족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3.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하여 기본간호 자율실습을 실시한 실험군과 기본간호 자율실습 실시한 대조군의 실습 수행능력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간호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간호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하여 건강에 관련된 간호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간호중재 활동을 실천하는 학문이다(Ham, Kim, Cho, & Lim, 2011). 또한 간호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이 간호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식, 기술, 태도 및 지도력을 개발하여 전문직 간호사로서 성장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간호교육과정은 이론 교육을 통해 과학적 간호행위의 정당성을 설명하고, 실습교육을 통해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Yoo,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ek, H. J. (2004). Educational evaluation of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through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1(1), 13-20. 

  2.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3. Ham, Y. S., Kim, H. S., Cho, I. S, & Lim, J. Y. (2011). Affecting factors of nurs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seni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 538-546. 

  4. Han. S. J. (2000). A study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6(1), 132-146. 

  5. Hartley. E. T., Bray. M. A., & Kehle. T. J. (1998). Self-modeling as an intervention to increase student classroom participation. Journal of School Phychology, 35(4), 363-372. 

  6. Jun, M.K., & Ha, J. Y. (2013). Effects of a smart phone weight loss program on obesity and body composi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102-112. 

  7. Jeong, S. J., Lim, K., Ko, Y. J., Sim, H. N., & Kim, K. Y. (2010). The analysis of trends in smart phone applications for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improved educational use.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1(2), 203-216. 

  8. Clinical Competence and Practice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1(3), 292-301. 

  9. Kang, K. S. (1996). Effectiveness of video-record method on fundamental nursing skill education-focused on enem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3(2), 273-283. 

  10. Kang, J. H. (2011). A study on utilizing SNS to vitalize smart learning information.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9(5), 264-274. 

  11. Kim, H. S.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19, 101-115. 

  12. Kim, Y. H. (2008). Satisfaction with evaluation method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al skill education through cell phone animation self-monitoring and feedback: focus on foley catheter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2), 134-142. 

  13. Kim, N. I., Chun, B. A., & Choi, J. I. (2014). A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at college: focused on effects of motivation and self-efficac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0(3), 467-492. 

  14. Kim, Y. H. (2006). Autonomy, teaching effectivenes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for fundamentals nursing clinical practice in stud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1), 6-14. 

  15. Kim, Y. H. (2005). Evaluation of practice education using checklists in fundamentals of nursing: focused on measuring blood pressure on the upper arm and sterilized gloving (open metho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2(3), 298-306. 

  16. Kim, Y. W., Park, J. S., & Jeon, K. H. (2013). A study on the mediating role of the self-dire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dult learners in a cyber university.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9(4), 743-764. 

  17. Ko, I. S. (1999). Measurement of competency through self study in basic nursing lab. practice focused on cleansing enem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6(3), 532-543. 

  18.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4).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3rd ed.).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19. Lee, B. K., Kim, S. W., Kim, Y. J., Bae, J. Y., Woo, S. K., Woo, H. N., et al.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age time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6(1), 45-53. 

  20. Lee, E. K. (1999).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nternet-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for health sc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1. Park, S. N. & Lee, S. K. (2008). Factors influencing basic nursing skil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1), 6-13. 

  22. Park, J. Y. (2012). Self-assessment,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after OSCE using smart phon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120-130. 

  23. Shin, E. J. (2008). A study related to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practice and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3), 380-386. 

  24. Seong, K. Y. (2008). Effects of practice nursing education :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subcutaneous insulin inje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25. Sally, A. M., & Andrew, M. L. (2006). Using on-line video clips to enhance self-efficacy toward dealing with difficult situations among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26(3), 200-208. 

  26. Song, S. R. (2013). The effect of self-evaluation method using video recording on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University, Seoul. 

  27. Yeun, E. J. (1999). Effectiveness of video-record method on fundamental nursing skill education-focused on intramuscular injection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5(1), 86-96. 

  28. Yoo, M. S. (2001). The effectiveness of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for a fundamental nursing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7(1), 94-1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