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MO의 역량과 조직공정성이 IT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MO Capability and Organization Justice on IT Project Performance 원문보기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21 no.3, 2016년, pp.129 - 151  

김기현 (Department of Management Consulting, Hanyang University) ,  박근완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Hanyang University) ,  황승준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Hanya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PMO(Project Management Office)가 도입된 IT 프로젝트 경험자를 대상으로, 내 외부 PMO의 역량과 프로젝트 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 조직공정성매개변수로 하여 영향 관계를 파악한 연구이다. 연구결과, 내부 PMO 역량은 절차공정성과 분배공정성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성과와도 직접적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부 PMO 역량은 절차공정성에만 관련이 있고, 프로젝트 성과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절차공정성과 분배공정성은 모두 프로젝트 성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반적으로 조직 내부에서는 프로젝트 관리역량을 충분히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성 객관성을 위해 외부 전문 컨설팅 기관의 역량을 도입한다. 그러나 절차공정성에 대한 검정통계량값의 경우, 내부 PMO 역량이 외부 PMO 역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내부 PMO 역량만이 분배공정성과 프로젝트 성과에 직접적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내 외부 PMO 활동 수행에 필요한 인적 역량을 도출하는데 그 지표가 될 것이며, 내 외부 PMO 도입을 통한 프로젝트 관리 전략을 세우는데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justice, project performance and internal and external PMO (Project Management Office) capability by conducting survey of IT project participants worked with PMO. This study was the first case which classifies PMO capabil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프로젝트 관리조직을 갖춘 IT 프로젝트에 대한 내·외부 PMO 역량과 조직공정성 및 프로젝트 성과 간의 관계분석을 통해 이들 요인들이 서로 어떤 영향 관계를 보이는지 파악하고자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프로젝트 관리조직을 갖춘 IT 프로젝트에 대한 내·외부 PMO 역량과 조직공정성 및 프로젝트 성과 간의 관계분석을 통해 이들 요인들이 서로 어떤 영향 관계를 보이는지 파악하고자한다. 또한, IT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 관리 수행 주체에 따라 이들 역할의 중요성과 조직공정성이 얼마나 참여인력의 사기를 증진시키고 성과에 직결될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각종 문헌과 선행연구 자료의 검토 및 분석을 통하여 기존 연구의 성과와 한계성을 파악한 후 구조모형을 설계하여 관계를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IT 프로젝트에서, 공정성(절차공 정성, 분배공정성)이 내·외부 PMO 역량과 프로젝트 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 어떤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파악하는 연구이다.
  • 본 연구는 PMO 역량 요인이 IT PMO 조직에 대한 조직공정성과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IT 프로젝트에서 PMO의 프로젝트 성과에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조직의 공정한 보상을 강조한 공정성 이론의 주요 요인을 통해 PMO 역량과 프로젝트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에 IT 프로젝트에서의 PMO 역량, 조직공정성, 프로젝트 성과의 차원들에 대한 요인분석을 먼저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PMO 역량이 조직공정성 및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조모형 설계를 통해 파악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PMO가 도입된 IT 프로젝트 참여자를 대상으로 내·외부 PMO 역량이 조직공정성 및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PMO가 도입된 IT 프로젝트 참여자를 대상으로 내·외부 PMO 역량이 조직공정성 및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관심사는 프로젝트 관리조직 역량이 실제로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경우 내부와 외부 PMO 역량 중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특히, 그러한 역량 요인들을 조직공정성에 따라 절차공정성과 분배공정성으로 나누어 동시에 살펴보고, 더불어 조직공정성이 내·외부 PMO 역량의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PLS(Partial Least Squares)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는 PLS가 성분 (Component)을 기반으로 하는 분석도구이기 때문에 측정 지표의 유형이나 표본 크기 등의 제약을 덜 받는 등 상대적으로 이론적 가정이나 전제로부터 자유로우며, 특히 모형 적합성보다는 결과변인에 대한 예측변인의 설명력을 분석하는데 더 중점을 두기 때문이다[8].
  • 이에 본 연구는 내·외부 PMO 조직 구성에 있어 PMO 활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인적 역량을 도출 하는데 그 지표가 될 것이다.
  • 한편, PMO의 조직공정성과 프로젝트 성과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절차공정성 및 분배공정성이 조직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프로젝트 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9].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공정성의 개념을 프로젝트 관리 수행 주체인 내부 PMO 및 외부 PMO 조직으로 구분하여 절차공정성과 분배공정성요인이 프로젝트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한다.
  • 한편 상호작용 공정성은 구성원의 상사에 대한 반응과 연관되어야 한다는 반면에 절차공정성은 경영진과 조직정책에 관한 반응과 연관되어야 한다는 것에서 두 가지 공정성 간 개념적 차이가 존재한다고 보았다[7].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정책 차원에서 PMO의 조직공정성을 분배공정성과 절차공 정성으로 한정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 특히, 그러한 역량 요인들을 조직공정성에 따라 절차공정성과 분배공정성으로 나누어 동시에 살펴보고, 더불어 조직공정성이 내·외부 PMO 역량의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내부 PMO 역량은 프로젝트 성과에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외부 PMO 역량은 프로젝트 성과에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내부 PMO 역량은 절차공정성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내부PMO 역량은 분배공정성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외부 PMO 역량은 절차공정성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6: 외부 PMO 역량은 분배공정성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7: 절차공정성은 프로젝트 성과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8: 분배공정성은 프로젝트 성과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문적인 PMO를 도입하는 국내 공공사업에서의 실태는 어떠한가? 이런 측면에서 프로젝트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적인 PMO를 도입하여 운영하는 추세가 증가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2000년 48%, 2006년 77%, 2010년 84%로 시간이 지날수록 PMO를 도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34], 한국에서는 2013년부터 사업비 10억 이상의 공공 IT 프로젝트의PMO 도입이 법제화되었다.
프로젝트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어떤 것이 운영되는 추세인가? 즉 성공적인 프로젝트 목표달성을 위해 체계적인 관리 체계 구축과 발생 가능한 위험 요소들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 및 통제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조직이라 할 수 있다[52]. 이런 측면에서 프로젝트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적인 PMO를 도입하여 운영하는 추세가 증가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2000년 48%, 2006년 77%, 2010년 84%로 시간이 지날수록 PMO를 도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34], 한국에서는 2013년부터 사업비 10억 이상의 공공 IT 프로젝트의PMO 도입이 법제화되었다.
프로젝트 관리조직이란? 프로젝트 관리조직(Project Management Office: 이하 PMO)는 프로젝트의 범위·일정 및 위험 관리에서부터 품질관리, 산출물관리 및 교육 등에 이르기까지 프로젝트 라이프사이클의 전 분야를 총괄 관리하는 전문 조직이다. 즉 성공적인 프로젝트 목표달성을 위해 체계적인 관리 체계 구축과 발생 가능한 위험 요소들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 및 통제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조직이라 할 수 있다[5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Adams, J. S., "Toward an Understanding of Inequity,"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1963. 

  2. Aladwani, A.M., "An Integrated Performance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Projects,"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 19, No. 1, pp. 185-210, 2002. 

  3. Atkinson, R., "Project Management: Cost, Time and Quality. Two Best Guesses and a Phenomenon: It's Time to Accept Other Success Criteria,"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Vol. 17, No. 6, pp. 337-342, 1999. 

  4. Back, H. C., "A Priority Analysis on Influential Factors for Invigorating Project Management Office (PMO) in Public Sectors based o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 37, No. 4, pp. 42-53, 2014. 

  5. Bagozzi, R. P. and Yi, Y.,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 16, No. 1, pp. 74-94, 1988. 

  6. Blau. P. M.,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New York: John Wiley, 1964. 

  7. Bies, R. J., Ar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conceptually distinct? In J. Greenberg & J. A. Colquitt (Eds.), Handbook of organizational justice (pp. 85-112).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5. 

  8. Chin, W. W., Marcolin, B. L., and Newsted, P. R., "A Partial Least Squares Latent Variable Modeling Approach for Measuring Interaction Effects: Results from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and an Electronic-Mail Emotion/Adoption Stud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4, No. 2, pp. 189-217, 2003. 

  9. Cho, S. H., Koo, B. J., and Lee, S. J., "A Study on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Equity Factors on the Performance and trust of IT PMO Organization,"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Vol. 12, No. 4, pp. 525-534, 2015. 

  10. Cohen, J. and Cohen, P.,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Hillsdale, NJ, USA: Erlbaum, 1983. 

  11. Cooke-Davies, T., "The 'Real' Success Factors on Pro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Vol. 20, No. 3, pp. 185-190, 2002. 

  12. DeAngelo, L., "Auditor Size and Audit Quality,"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Vol. 3, No. 3, pp. 183-199, 1981. 

  13. Deephouse, C., Mukhopadhyay, T., Goldenson, D., and Kellner, M., "Software processes and project performanc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 12, No. 3, pp. 187-205, 1996. 

  14. Dino, M. J. S. and de Guzman, A. B., "Using Partial Least Squares (PLS) in Predicting Behavioral Intention for Telehealth use among Filipino Elderly," Educational Gerontology, Vol. 41, No. 1, pp. 53-68, 2015. 

  15. Eric, J. D. and Stepen, J. W., "The Project Management Office: It's just not what it used to be,"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ing Projects in Business, Vol. 9, No. 2, pp. 282-308, 2016. 

  16. Folger, R. and Konovsky, M. A., "Effects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on Reactions to Pay Raise Decis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32, pp. 115-130, 1989. 

  17. Gefen, D. and Straub, D., "A Practical Guide to Factorial Validity Using PLS Graph: Tutorial and Annotated Exampl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 16, No. 5, pp. 91-109, 2005. 

  18. Geoghegan, L. and Dulewicz, V., "Do Project Manager's Leadership Competencies Contribute to Project Success?," Project Management Journal, Vol. 39, No. 4, pp. 58-67, 2008. 

  19. Greenberg, J., "Organizational Justice: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Journal of Management, Vol. 16, No. 2, pp. 399-432, 1990. 

  20. Hair, J. F., Hult, G. T. M., Ringle, C. M., and Sarstedt, M., A Primer on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age, Thousand Oaks, 2013. 

  21. Hair, J. F., Sarstedt, M., Pieper, T. M., and Ringle, C. M., "An Assessment of the Use of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Marketing Research,"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 40, No. 3, pp. 414-433, 2012. 

  22. Homans, G. C., Social Behavior: Its Elementary Forms. New York: Harcourt, Brace & World, 1961. 

  23. Hormozi, A. M. and Dube, L. F., "Establishing Project Control: Scheduling, Cost, and Quality," SAM Advanced Management Journal, Vol. 64, No. 4, pp. 32-39, 1999. 

  24. Jung, B. K., "A Theoretical Study on the Variables of the Intra & Inter Organization Trust," Journal of Management & Economics, Korea, Vol. 25, No. 2, pp. 97-113, 2003. 

  25. Kerzner, H., Project Management A Systems Approach to Planning, Scheduling and Controlling. Van Nostrand Reinhold, 1987. 

  26. Kim, B. Y., Hahm, Y. K., and Park, S. I., "PMO Operational Case Studies on Projects for Government Agencies: PMO Introduced around and Compare Before and After,"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Vol. 13, No. 1, pp. 11-28, 2016. 

  27. Kim, E. H. and Kim, W. Y., "The Effects of the Project Managers' Competency and Leadership Style on the Performance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SI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Vol. 31, No. 4, pp. 157-179, 2006. 

  28. Kim, H. S., Ahn, Y. S., and Kim, D. S., Project Management. Korea: The Electronics Times, 2008. 

  29. Kim, S. B., Nam, Y. S., and Chang, B. M., "Study on Factors Related to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PMO Worker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 14, No. 3, pp. 147-161, 2016. 

  30. Kim, Y. K. and Oh, J. H., "Empirical Study of Conflict and Conflict Management on the Dual Commitment in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Organizations," The E-Business Studies, Korea, Vol. 12, No. 2, pp. 3-26, 2011. 

  31. Lee, J. B., Lee, J. C., and Jang, Y. H., "A Research on the Core PMO Function and Operation Type for the IT Project of Financial Industry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Korea, Vol. 7, No. 3, pp. 35-47, 2009. 

  32. Lee, J. B., Jang, Y. H., and Kim, S. Y., "A Research on the PMO Functions and PMO Management Level to Increase the IS Project Performa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9, No. 2, pp. 111-129, 2011. 

  33. Lee, J. S. and Kim, S. K., "An Empirical Study on Effects of PMO Governanc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Korea, Vol. 19, No. 1, pp. 61-83, 2012. 

  34. Lee, S. M., Kim, E. H., and Moon, S. C., "The Effect of PMO Service and Capability on Project Performanc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Korea, Vol. 20, No. 1, pp. 107-132, 2013. 

  35. Lee, S. W., Cho, Y. U., and Lee, K. S., "The Role of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in the relation between measurement diversity and managerial performa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1, pp. 219-231, 2013. 

  36. Leem, T. J. and Lee, S. W., "The Effects of Interactive Use of MCS to the Perception Degree of Managers about Procedural Justice and Trust in Supervisors and Managerial Performance," Korean International Accounting Review, Vol. 47, pp. 167-196, 2013. 

  37. Lerner, M. J., "The Justice Motivates: Some Hypotheses as to Its Origins and Forms," Journal of Personality, Vol. 45, No. 3, pp. 1-52, 1977. 

  38. Leventhal, G. S., What Should Be Done with Equality Theory? New Approaches to the Study of Fairness in Social Relationships. In Social Exchange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Plenum, 1980. 

  39. Mata, F. J., Fuerst, W. L., and Barney, J. B., "Information Technology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a Resource-based Analysis," MIS Quarterly, Vol. 19, No. 4, pp. 487-504, 1995. 

  40. Moorman, R. H., Blakely, G. L., and Niehoff, B. P., "Do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OCB,"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41, No. 3, pp. 351-357, 1998. 

  41.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Korea, 2012. 

  42.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Software Engineering White Book, Korea, 2015. 

  43. NIA(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Operational Management Manual of Information Strategy Business, pp. 14-21, 2011 

  44. Nitin, A. and Urvashi, R., "Defining Success for Software Projects: An Exploratory Reve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Vol. 24, pp. 1-7, 2006. 

  45. Pinto, J. K. and Slevin, D. P., "Critical Success Factors across the Project Life Cycle," Project Management Journal, Vol. 19, No. 3, pp. 67-75, 1988. 

  46. PMI, What is Project Management?: A Guide to the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4th ed, USA, 2008. 

  47. Rai, A. and Al-Hindi, H., "The Effects of Development Process Modeling and Task Uncertainty on Development Qual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 37, No. 6, pp. 335-346, 2000. 

  48. Ross, J. W., Beath, C. M., and Goodhue, D. L., "Develop Long-term Competitiveness Through IT Assets," Sloan Management Review, Vol. 38, No. 1, pp. 31-45, 1996. 

  49. Spriha, M., Abha, S., and Sakshi, M., "Organizational Justice in Relation to Competence, Commitment and Self Motivat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ian Psychology, Vol. 3, No. 2, No. 5, pp. 1-27, 2016. 

  50. Seo, J. H., "The Influences of Decision Participation and Job Insecurity on POS, Organizational Trust and In-Role Behavior,"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Korea, Vol. 13, No. 1, pp. 173-198, 2005. 

  51. Seo, S., "The Effects of Choice Attributes Between Travel Agencies(B2B) and Travel Franchiser's Fairness on Travel Franchisee(B2C)'s Performance," Tourism Study, Vol. 26, No. 4, pp. 279-298, 2011. 

  52. Suh, B. S., Hwang, K. H. and Kim, S.K.,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Adapt PMO in Public Secto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Korea, Vol. 12, No. 5, pp. 159-169, 2014. 

  53. The Standish Group, The Standish Group Report: Chaos. USA, 2013. 

  54. The Standish Group, The Standish Group Report: Chaos. USA, 2015. 

  55. Thibaut, J. and Walker, L., Procedural Justice: A Psychological Analysi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75. 

  56. Venkatesh, V. and Davis, F.,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Vol. 46, No. 2, pp. 186-204, 2000. 

  57. Wateridge, J., "IT Project: A Basis for Suc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Vol. 13, No. 3, pp. 169-172, 1995. 

  58. Yang, D. H. and You, Y. Y., "A Study on Competitive Analysis Using Multidimensional Efficiency Analysis,"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ol 17, No. 4, pp. 117-140, 2012. 

  59. You, Y. Y. and Roh, J. W., "The Analysis for the determinant Factors on the Outcome of Technology Innovation Among Small and Medium Manufacturers,"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ol. 15, No. 1, pp. 61-87, 2010. 

  60. Zviran, M. and Erlich, Z., "Measuring IS User Satisfaction: Review and Implications,"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 12, No. 1, pp. 81-103,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