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추씨 중 농약 잔류와 고추씨 기름으로 농약의 이행
Pesticide residues in chili pepper seeds and their transfer into the seed oil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4, 2016년, pp.317 - 322  

이미경 (국립안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종성 (국립안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지재배 고추(chili pepper)에 difenoconazole, lambda-cyhalothrin 및 lufenuron 세 성분 혼합 농약을 안전사용기준 보다 5배 높은 농도로 살포한 후 수확기에 홍고추를 수확했다. 수확한 고추를 수세 및 건조한 후 고추씨로부터 기름을 추출하고 이들 각 시료에 대해 농약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확한 생 홍고추에 difenoconazole, lambda-cyhalothrin 및 lufenuron 성분이 각각 4.43, 0.334, 1.56 mg/kg으로 잔류했으며 수세에 의해 각각 91.4, 94.3, 85.3% 수준으로 잔류농도가 낮아졌다. 건조에 따른 difenoconazole, lambda-cyhalothrin 및 lufenuron 성분 각각의 농약 가공계수는 5.01, 4.94, 4.19로서 고추 건조에 따른 무게 증가 비율 4.6배를 잘 반영했고 건조과정 중 농약성분의 소실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음을 나타냈다. 고추씨에서는 difenoconazole과 lambda-cyhalothrin은 정량한계 이하(<0.005 mg/kg) 그리고 lufenuron은 두 시료에서 정량한계 이하(<0.005 mg/kg), 한 시료에서 0.0075 mg/kg으로 검출되어 고추 과피에 잔류하는 농약이 고추씨까지 이행되는 양은 거의 무시되는 수준임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고추씨 기름에서 difenoconazole과 lufenuron이 각각 0.0263, 0.0295 mg/kg으로 검출되어 고추씨 기름에서의 농약 농축계수가 difenoconazole 5.26, lufenuron 4.72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용성이 강한 농약성분의 유지에 대한 이론적 농축계수 6.8배를 잘 설명해준다. 정제과정 없이 압착 방식에 의해 추출되는 고추씨와 같은 식용유지에서 농약성분이 검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앞으로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pesticide mix solution containing difenoconazole, lambda-cyhalothrin, and lufenuron was applied 3 times on field grown chili pepper at a fivefold overdose dilution concentration of the spray solution at a pre-harvest interval of 7 day. Difenoconazole, lambda-cyhalothrin, and lufenuron were dete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국내외적으로 연구된 바 없는 고추씨 및 고추씨 기름에서의 농약 잔류량을 분석하여 고추씨 중 농약 잔류수준과 기름에서의 농약 농축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노지에서 고추를 재배하면서 고추씨 기름에 더 많이 잔류할 가능성이 있는 지용성이 큰 difenoconazole, lambda-cyhalothrin 및 lufenuron 농약성분이 함유된 농약을 살포하고 수확한 홍고추를 수세 및 건조한 후 건고추로부터 분리한 고추씨로부터 기름을 제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식품 안정성을 위해 고추 과실에 대한 농약 잔류 뿐만 아니라 고추씨와 고추씨 기름에 대한 농약 잔류에 대한 정보도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같이 고추에 대한 잔류농약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지만 고추씨에 잔류하는 농약 함량과 고추씨로부터 고추씨 기름으로 농약이 이행되는 수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국내외적으로 보고된 연구결과를 찾을 수 없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원료 고추의 고추씨를 고춧가루 제품에 포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춧가루 제조 시 부산물이라 볼 수 있는 고추씨로 기름을 제조하여 식용유지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고추 과실에 대한 농약 잔류 뿐만 아니라 특정 부분인 고추씨와 그 가공품인 고추씨 기름에서 검출될 수 있는 농약 잔류량에 관한 정보도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요구된다.
국내 그린하우스에서 풋고추 재배 시, 평균 농약의 살포 횟수는? 고추의 재배를 위해서는 농약의 살포가 요구되는 데 우리나라 그린하우스에서 재배되는 풋고추의 재배 시 평균적으로 10.5회 농약을 살포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2). 노지에서 재배되는 홍고추의 경우도 유사한 살포 횟수를 가질 것으로 추정된다.
고추 재배 시, 잔류농약에 대한 안정성 측면을 주목하는 이유는? 노지에서 재배되는 홍고추의 경우도 유사한 살포 횟수를 가질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살포된 농약은 과실의 주로 겉 부분에 잔류하게 되는 데 고추의 경우 과피를 섭취하기 때문에 잔류농약에 대한 안전성 측면에서 특히 국내에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Lee(3)와 Chun과 Lee(4)는 홍고추의 세척 및 건조에 따른 농약 감소에 대해 그리고 Lee 등(5)과 Kim 등(6)은 유통 고춧가루 중 농약 잔류 현황에 대해 그리고 Noh 등(7,8)은 고추의 주된 유통 형태인 건고 추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의 설정 필요성에 따른 농약 가공계수(processing factor)에 관해 연구결과를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im SH. World Trends in Dried Chili Pepper Industry. Vol. 166. pp. 73-92. In: World Agriculture. Kim TG, Han SH (ed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Naju, Korea (2014) 

  2. Lee MG, Hwang JM, Lee SR. The usage status of pesticides for vegetables under greenhouse cultivation in the Southern area of Korea. Korean J. Pestic. Sci. 9: 391-400 (2005) 

  3. Lee MG. Reduction of chlorpyrifos and fenitrothion residues in red pepper peel by washing and drying. Food Sci. Biotechnol. 10: 429-432 (2001) 

  4. Chun MH, Lee MG. Reduc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the production of red pepper powder. Food Sci. Biotechnol. 15: 57-62 (2006) 

  5. Lee MG, Lee JH, Chung KM. Determina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red-pepper powder by GC-ECD. Food Sci. Biotechnol. 11: 220-225 (2002) 

  6. Kim KI, Kim HT, Kyung KS, Jin CW, Jeong CH, Ahn MS, Sim SW, Yun SS, Kim YJ, Lee KG, Lee KD, Lee WJ, Lim JB. Monitoring pesticide residues in peppers from farmgate and pepper powder from wholesale market in Chungbuk area and their risk assessment. Kor. J. Pestic. Sci. 10: 15-21 (2006) 

  7. Noh HH, Lee JY, Park SH, Jeong OS, Choi JH, Om AS, Kyung KS. Residual characteristics and processing factors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 rotenone in chili pepper. Korean J. Pestic. Sci. 16: 302-307 (2012) 

  8. Noh HH, Lee JY, Kim JC, Jeong OS, Kim HS, Lee YH, Choi JH, Om AS, Hong SM, Paik MK, Kim DH, Kyung KS. Processing factor of matrine in chili pepper. Korean J. Pestic. Sci. 17: 244-248 (2013) 

  9. Lee MG, Hwang JM. Residue distribution of chlorothalonil, kresoxim-methyl and procymidone among different parts of hot pepper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722-726 (2009) 

  10. Lee HD, You OH, Ihm YB, Kwon HY, Jin YD, Kim JB, Kim YH, Park SS, Oh KS, Ko SL, Kim TH, Noh JG, Chung KY, Kyung KS. Residual characteristics of some pesticides in/on pepper fruits and leaves by different types, growing and processing conditions. Korean J. Pestic. Sci. 10: 99-106 (2006) 

  11. Lee MG, Jung DI. Processing factors and removal ratios of select pesticides in hot pepper leaves by a successive process of washing, blanching, and drying. Food Sci. Biotechnol. 18: 1076-1082 (2009) 

  12. Cabras P, Angioni A, Garau VL, Melis M, Pirisi FM, Karim M, Minelli EV. Persistence of insecticide residues in olives and olive oil. J. Agr. Food Chem. 45: 2244-2247 (1997) 

  13. Miyahara M, Saito Y. Pesticide removal efficiences of soybean oil refining processes. J. Agr. Food Chem. 41: 731-734 (1993) 

  14. Abdel-Gawad H, Mahdy F, Hashad A, Soliman SM, Ahmed EA. $^{14}C$ -Prothiofos residues in the presence of deltamethrin and dimilin pesticides in cotton seeds and oils, removal of prothiofos residues in oils and bioavailability of its bound residues to rats. J. Environ. Anal. Chem. 2: 145-152 (2015) 

  15. MFDS. Food Cod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Korea. p.28 (2015) 

  16. Lee CW, Shin HS. Removal of pesticide residues in rice bran oil by refining process. J. Food Hyg. Saf. 11: 89-97 (1996) 

  17. Hiskia AE, Atmajidou ME, Tsipi DF. Determination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 residues in Greek virgin olive oil by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J. Agr. food Chem. 46: 570-574 (1998) 

  18. RDA. 8th Revision Standard Food Composi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Korea. p. 124 (2011) 

  19. Kim HA, Kim BC, Kim YK.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ausages added with pepper seed powder and pepper seed oil. Korean J. Food Cook. Sci. 29: 283-289 (2013) 

  20. Choi SR, An MS, Song EJ, Su SY, Choi MK, Choi YH, Kim YS, Song YJ, Kim MJ, Park JS, Lee DH, Chun YG, Lee GG, Kim SG, Lee SG. Report-Se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red pepper seed extracts and development of production methods of seed oil for a increase in use of red pepper. Jeonbuk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ksan, Korea (2014) 

  21. Ku KH, Choi EJ, Park JB. Chemical component analysis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seeds with various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084-1089 (2008) 

  22. KCPA. Guideline on Plant Protection Products.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Seoul, Korea (2012) 

  23. MFDS. Food Cod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Korea. p.28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