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가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Adolescents on Social Withdrawal : The Mediator Effect of Ego-resilience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4 no.4 = no.142, 2016년, pp.77 - 88  

김혜선 (Department of Family and Housing Studies, Yeungnam University) ,  이지민 (Department of Family and Housing Studies, Yeungnam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protective factors on adolescent's social withdraw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or effects of adolescent's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 between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s and adolescent's social withdrawal. The data were c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99보다 작으므로 자유도가 더 큰 간명한 완전매개의 연구모형이 대안모형보다 더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간명하며 좋은 적합도 기준을 만족하는 연구모형을 최종적으로 채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애정적인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자녀의 사회화 과정에 있어 부모의 영향은 자녀의 성장 초기에는 중요하나 청소년기에 들어서며 가정변인 외의 다른 요인의 영향력이 커질 수 있음을 주장한 J.
  • 부모, 교사 및 청소년 현장 관련 실천가는 눈에 잘 띄지 않는 사회적으로 위축된 청소년의 부정적 행동양상 이면에 긍정적 동기를 찾아줄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관점으로 애정적 양육태도의 중요성을 다시금 상기시키며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에 대해 사전 예방적 측면에 초점을 맞춰 보호요인인 자아탄력성의 영향력을 밝히고자 한 점과 상대적으로 눈에 띄지 않는 위축된 청소년에 초점을 두고 효과적 개입방법을 논의한 데에 있어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 자아탄력성, 사회적 위축이 서로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가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함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위와 같이 사회적 위축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개인의 심리 내적 어려움들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된 T. M. Li and P. W. Wong(2015)의 관점과 같이 사회적 위축과 관련된 긍정 요소를 염두에 두고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사회적 위축에 대하여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개인의 강점에 초점을 맞춰 설명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개인의 보호요인으로써 자아탄력성은 개인의 적응을 위협하는 외적 자극으로부터 잠재적인 적응을 유지하는 기회로 전환하려는 기제를 의미한다(M.

가설 설정

  • Note 1. Bootstrap = 200, Estimation is standardized coefficient.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현화된 문제행동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청소년의 심리적 부적응 양상은 다양한 형태의 문제행동으로 표출되는데, 크게 외현화 문제행동과 내재화 문제행동으로 분류된다. 외현화된 문제행동은 과소통제(undercontrol)와 관련된 문제로 공격적인 행동과 비행 등을 포함하며 내재화 문제행동은 과잉통제(overcontrol)와 관련되어 우울, 불안, 사회적 위축 등으로 자신의 내적 감정과 태도로 표현되는 문제를 말한다(T. M.
2016년 청소년 통계에 조사된 바로 2007년 이래로 청소년 사망원인의 1위는 무엇인가? 199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집단따돌림의 대상을 의미하는 ‘왕따’와 같은 은어가 생겨났고, 현재에 이르러서는 ‘왕따’는 유행어가 되었다. 2004년에는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법률 제7119호)이 시행되어 현재까지 개정이 이뤄지고 있으며, 2016년 청소년 통계에 조사된 바로는 2007년 이래로 계속해서 청소년 사망원인의 1위가 자살로 나타났다(Statistics Korea &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6). 이러한 과정 속에서 청소년의 문제행동의 심각성이 사회적으로 대두되며, 국가와 실천현장, 학계에서는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대해 수년간 연구를 거듭하고 있다.
자아탄력성의 다른 하위요인들과 달리 감정조절 요인은 사회적 위축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는 것은 어떤 의미로 해석되는가? 하지만 본 연구의 상관분석 결과 중 좀 더 눈여겨 봐야할 부분으로, 자아탄력성의 다른 하위요인들과 달리 감정조절 요인은 사회적 위축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사회적 위축이 높은 청소년은 감정적 조절이 높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사회적 위축이 과소통제(undercontrol)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달리, 과잉통제(overcontrol)된 내재화 문제임에 기인한다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Achenbach, T. M. (1991). Manual for the youth self-report and 1991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2. Achenbach, T. M., & Edelbrock, C. S. (1978). The classification of child psychopathology: A review and analysis of empirical efforts. Psychological Bulletin, 85(6), 1275-1301. 

  3.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4. Arrindell, W. A., Sanavio, E., Aguilar, G., & Ende, J. (1999). The development of a short form of the EMBU: Its appraisal with students in Greece, Guatemala, Hungary, and Ital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7(4), 613-628. 

  5. Baek, H. J., Hwang, H. J. (2006). The effects of parents-related variables and self-related variables on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9(3), 1-27. 

  6. Baumrind, D. (1971). Current patterns of parental authority. Developmental Psychology, 4(1, pt.2), 1-103. 

  7. Bayram Ozdemir, S., Cheah, C. S., & Coplan, R. J. (2015). Conceptualization and assessment of multiple forms of social withdrawal in Turkey. Social Development, 24(1), 142-165. 

  8. Becker, W. C. (1964). Consequences of different kind of parental discipline. In M. L. Hoffman, and L. W. Hoffman (Eds.),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 NY: Russell Sage Foundation. 

  9. Boivin, M., Hymel, S., & Bukowski, W. M. (1995). The roles of social withdrawal, peer rejection, and victimization by peers in predicting loneliness and depressed mood in childhood.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7(4), 765-785. 

  10. Boulton, M. J., & Smith, P. K. (1994). Bully/victim problems in middle-school children: Stability, self-perceived competence, peer perceptions and peer acceptance.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2(3), 315-329. 

  11. Bowker, J. C., & Raja, R. (2011). Social withdrawal subtypes during early adolescence in India.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9(2), 201-212. 

  12. Browne, M. W., & Cudeck, R. (1992).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21(2), 230-258. 

  13. Cho, G. Y., & Lee, E. H. (2007). Early adolescent's ego-resiliency: Mediational links between parenting behaviors, family strength, and behavior problems. Studies on Korean Youth, 18(1), 79-106. 

  14. Cho, Y. J., Ju, H. W., & Hyun, M. H. (2015).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victimization in adolescents. Studies on Korean Youth, 26(2), 59-81. 

  15. Chung, K. M., Shin, M. J., Kang, J. H., & Kim, E. S. (2013). Identification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social withdrawal in male adolescents: A two-year longitudinal study using growth modeling.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2(1), 177-197. 

  16. Coplan, R. J., & Rubin, K. H. (2004). Paying attention to and not neglecting social withdrawal and social isolation. Merrill-Palmer Quarterly, 50(4), 506-534. 

  17. Coplan, R. J., Rose-Krasnor, L., Weeks, M., Kingsbury, A., Kingsbury, M., & Bullock, A. (2013). Alone is a crowd: Social motivations, social withdrawal, and socioemotional functioning in later childhood. Developmental Psychology, 49(5), 861-875. 

  18.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MA: Addison-Wesley. 

  19. Gazelle, H., & Ladd, G. W. (2003). Anxious solitude and peer exclusion: A diathesis-stress model of internalizing trajectories in childhood. Child Development, 74(1), 257-278. 

  20. Greenberg, L. S. (2004). Emotion-focused therapy. Clin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 11(1), 3-16. 

  21. Han, H. A., & Doh, H. S. (2008). The effects of family risk factors, ego-resilience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on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1), 87-101. 

  22. Harris, J. R. (1995). Where is the child's environment? A group socialization theory of development. Psychological Review, 102(3), 458-489. 

  23. Heinze, U., & Thomas, P. (2014). Self and salvation: Visions of hikikomori in Japanese manga. Journal of the German Institute for Japanese Studies Tokyo, 26(1), 151-169. 

  24. Hinshaw, S. P. (1992).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academic underachievement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Causal relationships and underlying mechanisms. Psychological Bulletin, 111(1), 127-155. 

  25. Hong, E. S. (2006). Conceptual understanding of resilience and instructional suggestion.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tion, 41(2), 45-67. 

  26. Jang, D. H. (2001). Intervention of social work services on children exposed to family viol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Gyeongbuk, Korea. 

  27. Jang, J. A., & Shin, H. C. (2006). The influence of marital conflict on adolescent's maladaptation: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y,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social support.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8(3), 569-592. 

  28. Jo, H. I. (2011).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internet use motives on internet addiction: Self-control as a mediator.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3(4), 269-287. 

  29. Jwa, H. S. (2014).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child abuse and aggression on harmful media overus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9, 511-533. 

  30. Kim, M. H. & Kim, S. H. (2010). Development of an ego-resilience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1(1), 189-206. 

  31. Kim, M. J. (2005). The effect of parental conflict and children's ego-resiliency on the children's internalizing - externaliz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buk, Korea. 

  32. Ku, H. M., & Hwang, S. T. (2001). A validity study on ego resilience scale and ego control scale of California Child Q-set(CCQ).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2), 345-358. 

  33. Lazarus, R. S. (1966). Psychological stress and the coping process. NY: McGraw-Hill 

  34. Lee, B. J., Min, W. H., & Kim, J. E. (2014). A study for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social withdrawal in adolescence: An exploratory approach based on developmental-contextualism perspectiv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8), 317-346. 

  35. Lee, H. S., & Lim, J. H. (2013).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20.0. Seoul: Jyphyunjae 

  36. Lee, S. G. (2008).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arenting behaviors on the relation between deviant peer's influences and delinquency in adolesc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7, 121-151. 

  37. Lee, S. H. (2008). A Study on the validity of protective factors in juvenile delinquenc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5(1), 223-246. 

  38. Lee, W. J., & Jung, H. J. (2010). Childhood experiences of violence and mental health in young people.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14(3), 385-407. 

  39. Li, T. M., & Wong, P. W. (2015). Youth social withdrawal behavior (hikikomori): A systematic review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49(7), 595-609. 

  40. Little, T. D., Cunningham, W. A., Shahar, G., & Widaman, K. F. (2002). To parcel or not to parcel: Exploring the question, weighing the meri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 151-173. 

  41. Masten, A. S. (2001).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56(3), 227. 

  42. Nam, S. I., Nam, B. Y., & Jang, E. H. (2014). The effects of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Mediating effect of withdrawn behavior.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6(4), 57-80. 

  43. Noh, M. H., Heo, M. J., & Choi, Y. S. (2015).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Mediating effects of ego resilience and car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3(2), 119-134. 

  44. Oh, K. J., Lee, H. L., Ha, E. H., and Hong, K. H. (1997). K-CBCL child youth behavior checklist. Seoul: Ceteral Aptitude Publisher. 

  45. Rohner, R. P., & Pettengill, S. M. (1985).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parental control among Korean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56(2), 524-528. 

  46. Rubin, K. H., & Kennedy, A. E. (2002). Social withdrawal in childhood. child psychopathology(2nd ed., pp.372-402). NY: Guilford. 

  47. Rutter, M. (1979). Protective factors in children's responses to stress and disadvantage. In M. W. Kent, & J. E. Rolf(Eds.), Primary prevention of psychopathology: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49-74). Handover, NH: University New England. 

  48. Schaefer, E. S. (1959). A circumplex model for maternal behavior.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9(2), 226. 

  49. Sohn, B. Y., Kim, S. J., Park, J. A., & Kim, Y. H. (2012). The effects of desirable parenting attitudes upon life satisfaction in early adolesc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and ego-resilience and multiple group analysis across gender. Studies on Korean Youth, 23(1), 149-173. 

  50. Sohn, S. H., Noh, K. S., Huh, M, Y., Jung, H. O., Lee, S. H., & Kim, S. J. (2001). A study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and parenting behavior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0(4), 605-615. 

  51. Statistics Korea &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6). 2016 Youth statistics 

  52. Symonds, P. M. (1949). The dynamics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NY: Bureau of Publication.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53. Wolpe, J. (1968). Psychotherapy by reciprocal inhibition. Conditional Reflex: A Pavlovian Journal of Research & Therapy, 3(4), 234-240. 

  54. Yu, S. G., Hong, S. H., & Choe, B. Y. (2004).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attachment, and existential spirituality between family risks and adaptat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8(1), 393-408. 

  55. Yun, M. S., & Lee, D. H. (2015). Social withdrawal subtypes and socio-emotional functioning of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9), 301-3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