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 및 우울과 공동체 의식 간의 종단적 관계 연구 : 성취가치의 매개효과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Youth's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nd Community Sense Using Latent Growth Model : A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Value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5 no.1 = no.145, 2017년, pp.125 - 137  

오민아 (Department of Educ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  조혜영 (Center for Excellence in Learning and Teaching, Soonchunhyang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youth's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nd community sense mediated by achievement value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ree years of the longitudinal panel data (2011-2013)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중학생의 공동체 의식은 사회적 위축 및 우울과 성취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동시에, 성취가치를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 및 우울과 공동체 의식 간의 종단적 관계를 살펴보고, 성취가치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여 공동체 의식 증진 방안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 이에 따라 높은 교육열이 개인의 과도한 스트레스로 이어지기보다 바람직한 성취가치의 성장으로 연결되고 이것이 공동체 의식의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 한국 사회의 교육환경을 점진적으로 개선하는데 시사점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교 시기에 대표적으로 발생하는 정서문제인 사회적 위축 및 우울과 공동체 의식 변화양상과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성취가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 및 우울과 공동체 의식 간의 종단적 관계를 살펴보고, 성취가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이들의 공동체 의식 증진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의 한계점에 따른 후속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및 우울과 공동체 의식 간의 종단적 관계를 살펴보고, 성취가치의 매개 효과를 검정하여 공동체 의식 증진 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주요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2-4차년도의 3년 동안 시간 추이에 따라 조사된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 및 우울과 공동체 의식 변인들의 종단적 변화양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무변화 모형과 선형변화 모형을 [figure 2]에 제시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우울과 사회적 위축을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주된 정서문제로 정의한 후 개인의 문제가 공동체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음을 가정한 뒤 이들이 공동체 의식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984)은 간이정신진단검사를 통하여 우울을 13문항으로 알아본 반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는 3문항을 제외(예_‘어떤 함정에 빠져 헤어날 수 없는 기분이 든다’, ‘허무한 느낌이 든다’, ‘기분이 울적하다’)한 후 총 10문항으로 사용하였다. 사회적 위축과 우울은 독립된 변수이지만,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호소하는 정신건강의 절반에 가까운 비율이 우울과 위축 문제였음을 감안한다면 동일한 입시 경쟁 문화와 학업적 압박 하에 있는 청소년들이 호소하는 우울과 위축문제가 일정 정도 동일한 차원에서 취급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실제로 2차년도 자료를 통하여 우울과 사회적 위축을 측정하는 문항에 대하여 주성분분석을 수행한 결과 도출한 스크리도표와 제1요인이 설명한 총 분산이 44.
  • 첫째, 사회적 위축 및 우울과 공동체 의식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경향이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동체 의식이란? 공동체 의식은 개인이 속한 집단과의 원만한 상호작용을 이끌어 유대감과 결속력을 다질 수 있는 공통된 의식을 의미한다. G.
성취가치가 높은 아동의 특징은? C. Kim(2014)은 청소년의 높은 성취가치는 높은 학업성취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긍정적인 학교적응으로 이어져 성취가치가 학업 뿐만 아니라 학교공동체 적응에도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이렇듯, 성취가치가 청소년들의 활동참여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감안하여 본다면(H.
성취 가치가 공동체 의식의 변화 값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이유는? 성취가치가 공동체 의식의 변화값에 부적으로 영향을 주는 이유는, 성취가치가 높은 청소년일수록 공동체 의식의 초기 수준이 높기 때문에 이들의 공동체 의식 수준은 공동체 의식이 초기 수준이 낮았던 이들에 비하여 급격한 수준으로 공동체 의식 수준이 높아지진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초기 공동체 의식의 중앙값인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ayram Ozdemir, S., Cheah, C. S., & Coplan, R. J. (2015). Conceptualization and assessment of multiple forms of social withdrawal in Turkey. Social Development, 24(1), 142-165. 

  2. Boivin, M, Hymel, S., & Bukowski, W. M. (1995). The roles of social withdrawal, peer rejection, and victimization by peers in prediction loneliness and depressed mood in childhood.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7(4), 765-785. 

  3.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Bollen, K. A. & Long, J. S.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Beverly Hills, CA: Sage. 

  4. Caldwell, C. H, Zimmerman, M, A., Bernat, D. H., Sellers, R. M., & Notaro, P. C. (2002). Racial identity, maternal support, and psychologica distress among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73(4), 1322-1336. 

  5. Chiessi, M., Cicognani, E., & Sonn, C. (2010). Assessing sense of community on adolescents: Validating the brief scale of sense of community in adolescents( SOC-A).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8(3), 276-292. 

  6. Cho, Y. J., & Han, S. G. (2015). An analysis of student and parent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The Journal of Education Assignment Institute, 21(2), 117-144. 

  7. Cho, S. J., Jeon, H. J., Kim, M. J., Kim, J. K., Kim, S. U., Lyoo, I. K., & Cho, M. J. (2001).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adolescents in an urban area in Korea.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0(4), 627-639. 

  8. Cho, A. N., Lee, E. K., & Jang, M. k. (2016).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ndom activities and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The Journal of Humanities, 40, 201-226. 

  9. Choi, K. R. (2010). The effect of family environment, academic performance and peer factor on adolescents'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Management Association, 28(6), 95-111. 

  10. Crockett, L. J., & Crouter, A. C. (2014). Pathways through adolescence: Individual development in relation to social contexts. Philadelphia: Psychology Press. 

  11. Dong, Y. J., Jeon, M. A., & Kim, Y. H. (2012). Effects of achievement pressure and entrance-exam burden on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support.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9(2), 101-119. 

  12. Heo, G. (2014). The effects of attainment value on achievement with focusing on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and self-esteem. The Journal of Thinking Development 10(2), 113-126. 

  13. Joo, C. A. (200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community.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Idea, 21(1), 201-224. 

  14. Jung, S. H., & Yang, S. E. (2011). The influences of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adolescents' self-discrepancies on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9(3), 23-37. 

  15. Kang, G. Y., & Jang, Y. M. (2013). A study on sense of community of adolescents.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10(1), 97-123. 

  16. Kang, T. H., Jo, H. Y., & Oh, M. A. (2013). A study on the use-realitie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5(3), 521-541. 

  17. Kim, S. Y. (2006).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internet activities, self-control,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University, Seoul, Korea. 

  18. Kim, B. Y., & Chang, E. B. (2015). Influence of social withdrawal on career identity: Test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and accomplishment value through depressive symptom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7), 31-52. 

  19. Kim, S. H., & Kim, K. Y. (1998). Development of behavior problem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ce. Journal of Korean Management Association, 16(4), 155-166. 

  20. Kim, K. I., Kim, J. H., & Won, H. T. (1984). Korean manual of symptom checklist-90-revision. Seoul: Chungang Aptitude Research Institute. 

  21. Kim, H. S., & Lee, J. M. (2016). The effect of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adolescents on social withdrawal : The mediator effect of ego-resilience. Journal of Korean Management Association, 34(3), 77-88. 

  22. Kim, T. J., Oh, M. A. & Lee, Y. H. (2015). A study on measurement of Korean youth competency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II: ICCS 2016. Sejong :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3. Kwon, H. W. (2004). A study on the democratic citizenship of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University, Seoul, Korea. 

  24. Lim, H. J., & Kim, J. C. (2014).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ttainment value, self-regulatory strategies, achievement, and academic adjustment for middle school students: A moder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6), 161-190. 

  25. Macromill Embrain. (2015). Trend Monitor 2015. Retrieved September 29, 2016 from https://books.google.co.kr/books?idPxNwBgAAQBAJ&pgPA320&lpgPA320&dq%EA%B3%B5%EB%8F%99%EC%B2%B4+%EC%9D%B8%EC%8B%9D+%EC%A1%B0%EC%82%AC&sourcebl&otsyi6hTXPCci&sigzLsahWVlHNlmZjCpr_iT8BXDgko&hlko&saX&ved0ahUKEwiv4r2sx7TPAhWCKJQKHWYzBS4Q6AEIPzAH#vonepage&q%EA%B3%B5%EB%8F%99%EC%B2%B4%20%EC%9D%B8%EC%8B%9D%20%EC%A1%B0%EC%82%AC&ffalse 

  26. McMillan, D. W., & Chavis, D. M.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1), 6-23. 

  27. Park, H. B. (2016).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adolescents' the sense of commun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8. Park, K. J. (2008). Direction of ethics education for enhancing community spirit: In search of application possibilities of inquiry community. Journal of Ethics and Philosophy Education, 10, 23-38. 

  29. Patrick, H., Ryan, A. M., & Kaplan, A. (2007). Early adolescents' perceptions of the classroom social environment, motivational beliefs, and engag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9(1), 83-98. 

  30. Pelkonem, M., Marttunen, M., & Aro, H. (2003). Risk for depression: a 6-year follow up of finnish adolescenc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77(1), 41-51. 

  31. Son, M., Seo, M., Park, J. I., Kim, Y. & Lee, H. (2015). Analysis of implementing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in high schools and the directions for its improvement. Seoul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32. Song, Y. J., Kim, D. H., & Lee, S. S. (2015). The relation between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s in adolescents during a transition period: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63(2), 207-231. 

  33. UNICEF (2006). Comparing child well-being in OECD countries: Concepts and methods. Retrieved September 29, 2016, from https://www.unicef-irc.org/publications/pdf/iwp2006_03_eng.pdf 

  34. Wigfield, A., & Eccles, J. S. (1992).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task values: A theoretical analysis. Developmental Review, 12(3), 265-310. 

  35. Woo, S. J. (2014). The effects of undesirable parenting behavior, children's peer relationship and self-regulated learning on children's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3(5), 759-771. 

  36. Woo, Y. R., & Nho, C. R. (2014). Mediating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solidarity between emotional and aggressive problems and school adjustments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6(2), 203-227. 

  37. Yang, M. H. (2000).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8. Yang, J. W., Kim, J. H., & Oh, K. J. (2006). Selective attentional bias for negative emotional faces in social anxiety: Comparison of three age group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5(1), 237-255. 

  39. Youth Counseling and Support Center (2012). 2011 Counseling trend analysis report. Seoul: Youth Counseling and Support Center. 

  40. Zaff, J. F., Malanchuk, O., & Eccles, J. S. (2008). Predicting positive citizenship from adolescence to young adulthood: The effect of a civic context. Applied Development Science, 12(1), 38-5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