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아파트 커뮤니티 활성화 사업'에 대한 입주자의 평가 및 개선방안
A Study on a Improvement Plan and Resident Assessment for 'Projects to Promote Community Activities' in Seoul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4 no.4 = no.142, 2016년, pp.127 - 138  

지은영 (Department of Housing & Interior Design, Kyung Hee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sess the perspectives of residents in apartment complexes regarding the 'Projects to Promote Community Activities' publicly implemen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City since 2011 to derive necessary suggestions thereof. For this purpose, community leaders in the 7 apar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울시 커뮤니티 활성화 공모사업의 목적은? 본 연구는 서울시 ‘커뮤니티 활성화 공모사업’에 대한 입주자의 평가를 통하여 향후 사용자 지향의 공모사업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주민활동가와 입주자의 공모사업과 커뮤니티 활동, 커뮤니티 의식에 대한 만족도와 평가를 통하여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하고 공모사업의 그 성과와 한계점을 바탕으로 향후 공모사업의 개선사항 제시하고자 하였다.
커뮤니티 활성화 공모사업이 가지는 의의는? 이러한 공모사업은 입주자가 커뮤니티 활동에 관심을 갖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사업 시행 6년차에 접어든 2016년 현재, 입주자 측면에서 공모사업과 커뮤니티 활동에 대한 평가나 문제점 등을 피드백 하여 사업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커뮤니티 활성화 공모사업의 내용은? 이에 서울시는 2011년부터 ‘커뮤니티 활성화 공모사업’을 통하여 입주자들이 아파트에서 필요로 하는 사업을 자발적으로 기획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해 더불어 사는 공동체 문화를 만들어가고자 하였다. 공모사업의 내용을 살펴보면 시는 자치구와 매칭하여 100만원~1,000만원 이내의 사업비와 커뮤니티 전문가(커뮤니티플래너)를 자치구에 배치하여 인적·물적 지원을 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우수단지를 선정하여 표창과 경연대회 등 대시민 홍보와 사례 공유 등을 통하여 관리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ae, H. W. (2004). Development of resident management for enhancement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multi-family housing resi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2. Chun, H. S., Eun, N. S., Jee, E. Y., & Chae, H. W. (2013). Assessment and support of the apartment community. Korea Research Institute Human Settlement. 

  3. Glynn, T. (1981).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Measurement and application. Human Relations, 34, 789-818. 

  4. Hong H. O., Jee, E. Y., & Chae, H. W. (2016). Housing and community. Seoul: eTeSys. 

  5. Jee, E. Y., Chun, H. S., Eun, N. S., & Chae, H. W. (2014). A study on a revitalization plan for community project of inhabitants initiativ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5(5), 51-61. 

  6. Kang, S. J. (2012). Plan to enhance sense of community among apartment residen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8(7), 99-106. 

  7. Kim, K. J. (1998). A study on the sense of community in local commun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8. Kim, S. M. (2013). A study on the forming of apartment community sense by the different types of resident particip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9. Lee, R. Y. (2009). A sense of commun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exterior spatial composition in apartment complex.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10. MaCMillan, D. W., & Chavis, D. M. (1986). Sense of community: A theory and definition.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 6-23. 

  11. Park, E. C. (2011). A study on a revitalization plan for community in apartment complex. Report for the policy of SDI. 87, 1-17. 

  12.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6). press release 20th Jan. Constrains and self-sufficient of a community plan in apartment complex. 

  1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2). press release 17th May. A plan for community project of inhabitants initiative. 

  14. Statistics Korea (2010). Social indicators in Korea. Daejeon: Natioal Statistical Office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