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의 동북아 육상물류체계 위상과 발전 전략에 관한 연구
The Strategy for the Position and Development of the Land Logistics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32 no.2, 2016년, pp.1 - 24  

김홍섭 (인천대학교 무역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북아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변화하는 지역중의 하나다. 세계경제에서의 위상이 점증되고 있으며 다양한 물류체계와 Network이 구축되고 있다. 한국,북한,중국,일본과 러시아, 몽골 등의 국가가 연해있는 동북아지역은 원활한 경제발전과 국제적 교역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체계적인 물류 체계의 구축과 발전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한반도는 분단으로 육상물류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인 상태에서 오래 그 체제가 유지되어 왔고, 새로운 변화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동북아 육상물류체계에서 남한은 하나의 섬으로서 인식되었고, 한반도도 대륙과 원활하게 연계되지 못하여 효율적인 물류체계의 구축과 발전전략에 대한 연구와 비전제시가 부족하였다. 동북아경제권(통일한국, 일본, 중국 동북3성, 극동러시아, 몽골)은 2050년 북미경제권, 유럽경제권에 버금가는 세계 최대 경제공동체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통일 한반도는 동북아경제권의 Land Bridge로서 그리고 동북아 물류 허브로서 중요한 역할이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에서 한반도의 물류위상과 과제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발전전략과 비전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철도로 대표되는 육상물류체계 상의 문제를 파악하고 미래지향적인 발전 전략을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한반도가 동북아 물류중심 국가로 발전하고 육상 물류영역에서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는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와 현장의 자료들을 통한 문헌적 연구로서 이론적 틀과 비전 및 전략의 제안에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넓은 연구범위로 세부적인 대안제시에 미흡한 부분들은 향후연구에 더 보완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rtheast Asia is changing rapidly, including becom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part of the world economy. Various logistical systems and networks are being established in this area, including South and North Korea, China, Japan, Russia, and Mongolia. Thus, a new systematic logistical network and d...

주제어

참고문헌 (26)

  1. 강문성 외(2014), "점진적 통일과정에서의 동북아경제협력과 남북한 경제통합방안", 중장기통상 전략 연구, 14-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 김영윤 외(2007), "남북물류.운송 활성화 및 협력 방안 연구", 통일연구원. 

  3. 김형태 외(2009), "동북아 물류중심항만정책의 평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4. 박용안(2011), "동북아 국제복합운송 전망과 통과운송 협약의 추진방안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2호, 2011.6, 163-182. 

  5. 박창호, 강상곤(2015), "통일한국의 유통물류체계 구축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1권 제1호. 

  6. 성원용(2002), "TKR-TSR 연결의 의의와 파급효과: 동북아경제협력의 관점에서", 동북아경제연구, 제14권 제3호, 35-75. 

  7. 엄선희(2009), "남북한 물류체계 통합에 대한 전문가 설문결과", 북한해양수산리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8. 오승렬, 조명균, 정운영, 고일동(2003), "동북아경제중심국가 건설과 남북경협", 통일연구원 학술회의총서, 03-01, 60-93. 

  9. 원동욱, 안병민(2008), "북한 경제특구개발에 따른 연계교통망 구축방안, 교통개발연구원. 

  10. 이정남(2005), "동아시아 협력 네트워크와 지방의 역할: 동북아 자치단체연합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제9권 제4호, 279-305. 

  11. 한국경제연구원(2015), "한반도 통일전망과 글로별 경제에 대한 영향", 국제세미나 자료집, 5-15. 

  12. 홍완석(2004), "유라시아대륙횡단철도 국제화의 정치, 경제적 함의와 한국의 전략적 선택", 국제지역연구, 제8권 제1호, 한국외국어 국제지역연구센터. 

  13. 황진회 외(2009), "남북한 물류체계 통합 및 활용방안 연구(III)",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4. 황진회, 엄선희, 허소영(2010), "북극해 활용전략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5. 日本 國土計劃省(1962), 全國總合開發計劃. 

  16. Drewry(2011), Container Market Review and Forecast, 2011-12. 

  17. Gotov, D.(2012), Final national report of GTI transport corridors, Mongolia. 

  18. GTI(2013), Integrated Transport Corridors Study. 

  19. Miller, M., Holm A. and Keller T.(1991), "Tumen River Area Development: Mission Report, UNDP," Consultation with Participant Government, Pyongyang, 16-18, October. 

  20. "NORTHERN SEA ROUTE: MODERN STATE AND CHALLENGES," proceeding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Ocean, Offshore and Arctic Engineering, June 8-13, 2014, 5. 

  21. IMF(2015), Oxford Economic Database. 

  22. WTO(2016),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23. UNCTAD(2016), Statistics. 

  24. www.alphaliner.com 

  25. www.wsj.com 

  26. www.ce.cn/xwzx/gnsz/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