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 환자의 문제행동을 위한 자극지향적 중재의 효과 연구: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Stimulation-Oriented Interventions for Behavioral Problems among People with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4, 2016년, pp.475 - 489  

김은영 (경일대학교 간호보건대학 심리치료학과) ,  황성동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  김은주 (대전대학교 보건의료과학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imulation-oriented interventions for behavioral problems among people with dementia. Methods: Based on the guidelines of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음악요법과 다감각자극중재를 적용한 실험연구를 통해 효과성이 보고되기도 했지만[21-23] 중재 프로토콜과 연구 방법의 제한성, 결과의 일관성 결여로 인해 미국정신의학회에서도 실무 활용을 강력히 권하지 않는 실정이다[8].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까지 진행된 자극지향적 중재 무작위실험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치매 문제행동 감소의 효과성과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 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연구 간 효과크기가 서로 다른 배경 즉, 효과크기 이질성에 대한 탐색적 설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연구의 방법론적인 질(methodological quality)을 조절변수로 선정하여, 개별 연구의 질에 따라 치료효과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연구의 질을 기준으로 질평가 결과가 ‘++’로 평가된 연구들과 ‘+’로 평가된 연구들간의 효과크기의 차이를 메타-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매 환자의 문제 행동에 대한 자극지향적 중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체계적 고찰방법을 통한 선행연구들을 개관하고,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자극지향적 중재 효과의 효과크기를 분석하고, 자극지향적 중재의 종류, 중재횟수, 측정도구, 중재기간 등의 자세한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치매환자들을 위한 시설 및 보호자들을 위한 자극지향적 중재의 활용에 대한 안내지침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나 의학 주제 목록(Medical Subject Headings: MeSH)에 의하면 초조는 심리운동적인 부분만을 포함시키지만 문제행동은 공격성, 망상, 비인간화, 우울, 강박적 행동, 편집증적 행동, 자신에게 위협이 되는 행동, 배회 등이 포함되는 보다 광범위하며 포괄적인 개념이다. 따라서, 자신과 타인, 보호자들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본 연구의 주제에 부합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문제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치매 환자들의 문제 행동에 대한 자극지향적 중재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한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 치매로 인해 나타나는 행동으로 자신이나 타인에게 심리, 정신, 신체적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부적절한 행동이다[3]. 본 연구에서는 공격성, 정신증적 행동, 강박적 행동, 편집증적 행동, 위협적인 행동, 배회 등을 포함하는 치매 환자의 문제행동을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는 치매 환자에게 적용한 자극지향적 중재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무작위실험설계(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자극지향적 중재의 효과크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치매 환자의 문제행동에 자극지향적 중재가 미치는 효과에 대해 관련 무작위실험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자극지향적 중재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자료는 2014년까지 발표된 16편의 무작위실험연구로서 그 중재유형은 7가지 즉, 자극지향적 중재유형은 음악요법을 비롯하여 빛요법, 다감각 자극중재, 아로마테라피, 체험중재, 운동중재, 자극통합중재이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매 환자의 문제 행동에 대한 자극지향적 중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체계적 고찰방법을 통한 선행연구들을 개관하고,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자극지향적 중재 효과의 효과크기를 분석하고, 자극지향적 중재의 종류, 중재횟수, 측정도구, 중재기간 등의 자세한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치매환자들을 위한 시설 및 보호자들을 위한 자극지향적 중재의 활용에 대한 안내지침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체계적 고찰 연구는 무엇보다 검색과정 전반에 걸쳐 민감도(sensitivity)와 정밀도(precision)의 원칙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의에서는 최근 발표된 유사주제 연구인 Livingston 등[24]의 연구와 Cabrera 등[25]의 연구, 두 편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민감도와 정확도에 관하여 논하려 한다. Livingston 등[24]의 연구는 비약물 중재의 치매 초조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연구이며, Cabrera 등[25]의 연구는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치매 환자 삶의 질에 효과적인 비약물적 중재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란? 이러한 치매의 빠른 증가율과 한국의 고령화 사회화로 인해 치매에 대한 관심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치매(dementia)는 노년기에 많이 나타나기 쉬운 신경정신질환으로, 치매 환자에게는 기억 장애와 같은 인지적 증상 뿐만아니라 문제 행동이 또한 나타난다[2]. 여러 학자들은 치매 환자의 배회, 불안, 공격적 행동, 방해가 되는 소리내기, 부적절한 성 행위등과 같은 행동을 문제 행동으로 규정하고 치매 환자들의 문제 행동에 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3].
치매 환자들의 문제 행동이 심각한 이유는? 여러 학자들은 치매 환자의 배회, 불안, 공격적 행동, 방해가 되는 소리내기, 부적절한 성 행위등과 같은 행동을 문제 행동으로 규정하고 치매 환자들의 문제 행동에 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3]. 치매 환자는 인지 기능의 퇴화로 그들의 행동의 통제를 상실하고 심지어 자신의 문제 행동을 인식조차할 수 없기 때문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실제로, 치매 환자의 배회로 인해 경찰청에 접수되는 실종신고가 2008년의 4,246명에서 2012년에는 7,650명으로 4년 사이에 80.
치매 환자의 문제 행동은 무엇이 있는가? 치매(dementia)는 노년기에 많이 나타나기 쉬운 신경정신질환으로, 치매 환자에게는 기억 장애와 같은 인지적 증상 뿐만아니라 문제 행동이 또한 나타난다[2]. 여러 학자들은 치매 환자의 배회, 불안, 공격적 행동, 방해가 되는 소리내기, 부적절한 성 행위등과 같은 행동을 문제 행동으로 규정하고 치매 환자들의 문제 행동에 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3]. 치매 환자는 인지 기능의 퇴화로 그들의 행동의 통제를 상실하고 심지어 자신의 문제 행동을 인식조차할 수 없기 때문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dementia strategy 2013-2015[Internet]. Seoul: Author; 2012[cited 2012 July 27]. Available from: http://www.silverweb.or.kr/_data/board_list_file/1/2012/1207301339541.pdf. 

  2. Kong EH, Evans LK, Guevara JP.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or agitation in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ging & Mental Health. 2009;13(4):512-520. http://dx.doi.org/10.1080/13607860902774394 

  3. Slone DG, Gleason CE. Behavior management planning for problem behaviors in dementia: A practical model. Professional Psychology. 1999;30(1):27-36. http://dx.doi.org/10.1037/0735-7028.30.1.27 

  4. Medical World News. During past 5 years number of dementia patients increased 17% and missing rates increased 80%[Internet]. Seoul: Author; 2013[cited 2013 April 19]. Available from: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newsid1366370094. 

  5. Schneider LS, Dagerman K, Insel PS. Efficacy and adverse effects of atypical antipsychotics for dementia: Meta-analysis of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s.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6;14(3):191-210. http://dx.doi.org/10.1097/01.JGP.0000200589.01396.6d 

  6. Talerico KA, Evans LK, Strumpf NE. Mental health correlates of aggression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The Gerontologist. 2002;42(2):169-177. http://dx.doi.org/10.1093/geront/42.2.169 

  7. Cohen-Mansfield J, Billig N. Agitated behaviors in the elderly. I. A conceptual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1986;34(10):711-721. http://dx.doi.org/10.1111/j.1532-5415.1986.tb04302.x 

  8. Rabins PV, Rovner BW, Rummans T, Schneider LS, Tariot PN. Guideline watch (October 2014):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4. p. 1-26. 

  9. Rabins PV, Blacker D, Rovner BW, Rummans T, Schneider LS, Tariot PN, et 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lzheimer' disease and other dementias. 2nd ed.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7. p. 1-86. 

  10. Harbour R, Miller J. A new system for grading recommendations in evidence based guidelines. BMJ: British Medical Journal., 2001; 323(7308):334-336.http://dx.doi.org/10.1136/bmj.323.7308.334 

  11. Hwang SD. Meta analysis. Seoul: Hakjisa Corp.; 2014. p. 1-318. 

  12. Kong EH, Park M. Effects of music therapy on agitation in dementi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5;27(1):106-116. http://dx.doi.org/10.7475/kjan.2015.27.1.106 

  13. Brodaty H, Arasaratnam C. Meta-analysi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neuropsychiatric symptoms of dementia.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012;169(9):946-953. http://dx.doi.org/10.1176/appi.ajp.2012.11101529 

  14.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 50: A guideline developer' handbook[Internet]. Edinburgh, UK: Author; 2011 [cited 2014 November 20]. Available from: http://www.sign.ac.uk/guidelines/fulltext/50/index.html. 

  15. Borenstein M, Hedges LV, Higgins JPT, Rothstein HR.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Chichester, UK: John Wiley & Sons, Ltd; 2009. p. 1-452. 

  16. Schwarzer G. Meta: General package for meta-analysis. R package version 4.3-2[Internet]. Berkeley, CA: The Comprehensive R Archive Network; 2015[cited 2015 December 2]. Available from: https://cran.r-project.org/web/packages/meta/index.html. 

  17.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p. 1-567. 

  18. Higgins JPT, Green 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Internet]. London, UK: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1[cited 2011 March 2]. Available from: http://handbook.cochrane.org/. 

  19. Littell JH, Corcoran J, Pillai V.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20. Egger M, Davey Smith G, Schneider M, Minder C.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a simple, graphical test. BMJ: British Medical Journal. 1997;315(7109):629-634. http://dx.doi.org/10.1136/bmj.315.7109.629 

  21. Baker R, Bell S, Baker E, Gibson S, Holloway J, Pearce R,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s of multi-sensory stimulation (MSS) for people with dementia. The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1;40(Pt 1):81-96. http://dx.doi.org/10.1348/014466501163508 

  22. Cooke ML, Moyle W, Shum DH, Harrison SD, Murfield J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xploring the effect of music on agitated behaviours and anxiety in older people with dementia. Aging & Mental Health. 2010;14(8):905-916. http://dx.doi.org/10.1080/13607861003713190 

  23. Raglio A, Bellelli G, Traficante D, Gianotti M, Ubezio MC, Gentile S, et al. Efficacy of music therapy treatment based on cycles of session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Aging & Mental Health. 2010;14(8) :900-904. http://dx.doi.org/10.1080/13607861003713158 

  24. Livingston G, Kelly L, Lewis-Holmes E, Baio G, Morris S, Patel N, et al.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agitation in dementi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014;205(6):436-442. http://dx.doi.org/10.1192/bjp.bp.113.141119 

  25. Cabrera E, Sutcliffe C, Verbeek H, Saks K, Soto-Martin M, Meyer G, et al.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as a best practice strategy in people with dementia living in nursing homes. A systematic review. European Geriatric Medicine. 2015;6(2):134-150. http://dx.doi.org/10.1016/j.eurger.2014.06.003 

  26. Yury CA, Fisher JE.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atypical antipsychotics for the treatment of behavioural problems in persons with dementia.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2007;76(4): 213-218. http://dx.doi.org/10.1159/000101499 

  27. Ueda T, Suzukamo Y, Sato M, Izumi S. Effects of music therapy 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geing Research Reviews. 2013;12 (2):628-641. http://dx.doi.org/10.1016/j.arr.2013.0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